볼펜 의 구조 - bolpen ui gujo

1. 깃털펜
    깃털펜은 보통 중세를 묘사한 그림에서 자주 보는 것일 것입니다. 깃털펜은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만듭니다. 
    a. 거위의 왼쪽 날개에서 깃털을 뽑습니다.
       (오른손잡이가 쓰기좋은 모양으로 왼쪽을 많이씁니다. 
반대로, 왼손잡이

        용은 오른쪽에서 <SPAN style="FONT-FAMILY:굴림체">뽑아서 씁니다.)

    b. 뽑은 깃털을 오랜 시간동안 물속에 담궈놓습니다. 그러면 이 깃털이

       부드러워져서 쓰기가 좋아집니다.
    c. 물에서 꺼낸 다음 건조시키고, 뜨거운 모래로 담금질을 합니다.
    d. 깃의 끝을 비스듬히 잘라 낸 다음, 잘린 부분의 중간을 세로로 베어냅니다.

       (펜에 모세관 현상으로 잉크를 빨아들이는 갈라진 부분 있죠? 바로 그

        부분입니다.)
    e. 깃털 끝을 골라 내어 부드럽게 만든 다음, 다듬어서 뾰족한 촉을 만들면

       완성!! 이렇게 만들어진 깃털 펜은 닳으면 써지지가 않았기 때문에, 책을

       베끼는 필경사나 고관대작의 비서와 이 펜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작은

       문구용 칼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고 전해집니다.

       촉이 망가지면 연필 깎듯이 깃털 펜을 손질해서 다시 쓸 수 있게 해야

       했거든요.
2. 금속펜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어 온 깃털펜이 금속 펜으로 진화하게 된 것은 18세기

   중엽 이후의 일입니다. 교육의 확대와 더불어 글을 쓰는 것은 더이상 소수 지식

   인들의 특권이 아니었기 때문에 필기구의 수요도 늘었던 것이 발명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금속펜이 처음 어디서 개발되었는지는 정확한 설이 없습니다.
   미국의 신문 <보스턴 미캐닉>지는 보스턴의 유지인 페레그린 윌리엄슨이라는

   사람이 금속펜을 발명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만, 1808년에 발간된 독일의

   정기간행물은 쾨니히스베르크의 학교 선생이 발명했다고 주장했고 또 어떤

   프랑스 소책자에서는 프랑스 사람이 금속펜을 처음 발명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뭐 일반적으로는 수요로 인해 거의 동시다발적으로 기술 혁신이

   이루어진 게 진실이 아닐까 싶습니다. 금속펜도 처음에는 품질이 좋지

   않았습니다. 금속 가공 기술이 별로였기 때문에 초기의 만년필과 같이 이따금

   종이를 찢기 일쑤였습니다. 황금으로 펜촉을 만들면 그런 일은 없어졌습니다만

   그건 너무 비쌌습니다. 약간 더 시간이 흘러 품질이 충분하게 향상된 후에야

   금속펜은 산업사회 최초의 소모품으로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3. 만년필

1883년 미국의 모험판매원인 워터맨이 발명한 워터맨 만년필이 현대식 만년필의

시초입니다. 워터맨이 커다란 보험 계약을 하려고 계약자에게 잉크를 찍은 펜을

건넸는데 그 펜에서 잉크가 쏟아져 계약서가 엉망이 되었습니다.
불길한 징조라고 믿은 계약자는 보험 계약을 엎어버렸고 뚜껑이 열린 워터맨은 잉크가 새지 않는 새로운 펜을 만들기 위해 노력, 만년필을 개발해 낸 것입니다.
만년필은 볼펜의 등장으로 인해 역사 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 후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에 대한 인간의 향수가 다시 돌아오고, 만년필이 사회적 성공, 지배 계급의 상징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자 고급 만년필 시장은 다시 폭발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의 DNA를 잉크에 심어서 위조를 원천 봉쇄하는 주문생산 만년필이나 수백여 개만 한정 생산하는 수백 ~ 수천만원이상
하는 심지어 억대흫 호가하는 만년필도 있습니다.

4. 볼펜

 펜 끝에 볼을 달아 종이 위에 글씨를 쓴다는, 즉 펜 끝이 이동할 때 볼이 굴러 위쪽에 있던 잉크가 아래쪽 종이에 묻게 한다는 아이디어는 17세기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생각해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볼펜을 만들려고 시도한 사람은 19세기 영국의 가죽가공업자인 존 라우드다. 당시 주된 필기도구인 만년필로는 가죽에 글씨를 쓸 수 없어 고민하다가 볼펜을 생각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