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습진 무좀 차이 - bal seubjin mujom chai

갑자기 발 껍질이 막 벗겨지기 시작하길래 별거 아니겠지 하고 그냥 두었는데, 점점 더 심각하게 벗겨져 이러다가 발 껍질을 전부 들어내는거아니야? 싶을정도로 벗겨지기 시작했습니다. 양쪽 다 그러더라구요. 이렇게 껍질이 벗겨지면 발 습진인지 무좀인지 아리송해지는데요. 오늘은 발 습진과 무좀 차이와, 그에 따른 치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무좀은 발가락 사이가 짓무르면서 가렵고, 고약한 냄새가 나게 되는데요. 물집이 잡히기도 하고, 각질이 가루처럼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가장 큰 차이는 무좀은 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것이고, 습진은 균을 통한 감염이 아니라 피부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것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도 이 중 한 특징인데요. 제가 아토피를 오래 앓았거든요. 그래서 생긴게 아닌가 싶네요. 

발 습진 무좀 차이 - bal seubjin mujom chai

그런데 습진이 이런 무좀이랑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둘을 헷갈리기가 어려워요. 습진 역시 발가락이 가려울 수 있고, 진물이 날 수 있으며 통증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습진은 다른 부분으로 옮겨가기가 쉬워요. 방치해두면 손이나 몸으로도 전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생명이라고 하더라구요. 사실 저는 발껍질이 이렇게 벗겨졌지만 로션 발라주면 낫겠지, 하고 방치를 해두었는데 습진이 무좀이 될 수도 있다고 해서 병원에 가보려고 합니다.

피부과를 방문하면 되는데 스테로이드 로션과 크림, 그리고 항생제 등을 이용한 치료를 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것들은 다들 아시겠지만 통풍이 잘 되지 않아서 생기는 경우가 많아요. 아무래도 발은 늘 신발을 신고 있어 축축하고 환경이 영 좋지 않은데요.

회사에서는 슬리퍼를 신어서 통풍이 잘 되게 해주고, 신었던 신발은 햇볕에 말려서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 좋답니다. 습진이 생기지 않은 분들은 이 수칙을 잘 지켜주시고요, 만약에 저처럼 피부가 벗겨지고 있다면 빠르게 병원을 내원해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얼른 병원 방문을 해서 치료를 해야겠어요. 

손이나 발에 물집, 각질,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될 경우 우리는 흔히 습진이나 무좀을 의심합니다.

하지만 두 질환은 전혀 다른 질환이기 때문에 임의로 질환을 잘못 판단, 자가치료를 하다가 증상이 더욱 심해 질 수도 있습니다.

둘 다 약을 바르면 쉽게 호전되는데, 가장 큰 차이는 무좀 치료에는 항진균제가 동반된다는 것입니다.

항진균제는 가벼운 무좀에는 바르기만 하는데, 심한 경우는 먹는 약도 동반됩니다.

아래는 ​피부과 전문의가 전해드리는 습진과 무좀차이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합시다.

무좀

습진

원인

백선균이라는 곰팡이가 원인.

이 곰팡이가 피부의 각질을 영양분으로 삼아 피부 속에 기생, 번식하여 무좀이 발생

병원균에 의한 감염이 아닌 피부 염증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다.​

(주부습진, 유아습진, 한포진, 건피증, 아토피 피부염 등이 습진에 속한다)​

증상

가려운 물집이 잡히기도 하지만 종종

가려움증 없이 발바닥 각질이 전체적으로 두꺼워져 하얀 가루가 떨어지도 한다.

수포가 생길 뿐만 아니라 가렵고 붉어지고 붓고, 진물이 나오기도 한다.

발생 부위

환부가 발가락 사이, 발등으로 퍼진다.

곰팡이는 피부 어디든 생길수 있기 때문에 발뿐만 아니라 얼굴, 음낭, 사타구니에도 생길 수 있다. ​

한 부위에 계속적으로 난다.

손습진 외 사타구니 습진이 있다. ​

주의 사항

전염성이 있기 때문에 타인이에

전염되지 않도록 양말, 발수건을 꼭 구분해 사용한다. 특히 당뇨환자 등 만성질환자의 가족들은 특별히 발관리에 신경쓴다.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고 가렵다고 긁을수록 악화되기 때문에 긁지 않는 것이 좋다.

습진과 무좀 차이 치료법도 다르다.

습진이나 무좀과 같이 피부에 발생하는 질환들은 보통 약물 치료를 꾸준히 병행하면 증상의 대부분이 호전됩니다.

습진은 염증과 가려움증 등을 가라앉혀 주는 약물만 사용해도 충분히 호전되지만 무좀은 위의 약물과 함께 항진균제라는 무좀 원인균을 박멸하는 약물이 추가로 처방됩니다.

항진균제 중 바르는 항진균제는 약국에서도 쉽게 구입가능하지만, 먹는 항진균제는 처방전이 반듯이 필요하다. 

항진균제를 포함한 모든 항생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의사의 처방전 없이 구매하실 수 없습니다.

항진균제는 곰팡이 감염 치료제이고 항생제는 박테리아 감염 치료제이고, 지루성피부염은 두피에 기생하느며 피지를 먹고 생존 번식하는 말라세씨아라는 곰팡이가 즉 이스트가 피지를 먹고 올레익산을 분출하여 가려움증과 각질 즉 비듬을 만들고, 안면 지루성피부염 역시 올레익산 분출로 홍조, 가려움증, 인설형 각질을 만들어 항진균제 처방이 주어집니다.

항진균제 복용은 간에 치명적 손상을 주니 지루성피부염에 항진균제 복용보다는 외용제 연고 사용을 권고합니다.

습진과 무좀 차이는 전문의가 아닌이상 육안으로 구별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진 보고는 구별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처방없이 민간요법에 의존하면 절대 안됩니다. 예를 들어 무좀이나 습진에 식초를 사용할 경우 화상을 입거나 2차 감염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진으로 구별이 힘드니 꼭 피부과에서 세균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 받으세요.

그럼 주로 처방 받는 약을 한번 정리해 보자.

발 습진 무좀 차이 - bal seubjin mujom chai
발 습진 무좀 차이 - bal seubjin mujom ch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