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일본 유튜버 오스시가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인 ‘아트브리더’(Artbreeder)로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의 주인공 ‘짱구’를 실사화 했다. [유튜브 캡처]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인기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를 실사화한 모습이 화제다.

일본 유튜버 오스시(おすし)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을 실제 사람처럼 실사화 한 이미지를 잇달아 공개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말엔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의 등장인물을 실사화해 화제가 된 바 있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일본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의 주인공(왼쪽)과 ‘짱구’가 실사화된 모습. [유튜브 캡처]

7일 오스시 유튜브 채널에 따르면 오스시는 ‘이웃집 토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하울의 움직이는 성’ 등 유명 애니메이션의 주인공들을 실제 사람처럼 만들어 공개하고 있다.

실사화에 사용된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은 ‘아트브리더’(Artbreeder)다. 이 프로그램은 이미지·음성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비교해가면서 실제와 유사한 모습으로 자동 생성해내는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벼랑 위의 포뇨’에서 ‘포뇨’(왼쪽)와 그의 실사화 이미지. [유튜브 캡처]

다양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시키는 딥러닝으로 얼굴, 풍경 등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같은 기술로 애니메이션 등장 인물이 실제 사람의 모습처럼 재탄생됐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천공의 성 라퓨타’의 여주인공 ‘시타’(왼쪽)와 그의 실사화 이미지. [유튜브 캡처]

오스시가 제작한 이미지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가 제작한 ‘이웃집 토토로’가 대표적이다. 주인공 ‘메이’와 ‘사츠키’가 실제 사람의 모습으로 구현됐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일본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의 주인공 ‘메이’(왼쪽)가 사람의 형상으로 구현된 모습. [유튜브 캡처]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이웃집 토토로’의 ‘사츠키’(왼쪽)가 사람의 형상으로 구현된 모습. [유튜브 캡처]

지브리의 또 다른 유명 애니메이션인 ‘센과 치히로의 행방 불명’의 주인공도 실사화됐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남자주인공 ‘하울’(왼쪽)이 사람의 형상으로 구현된 모습. [유튜브 캡처]

이외에도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주인공 소피와, 소피가 마녀의 저주로 인해 할머니로 변한 모습까지도 실제 사람의 모습으로 재탄생됐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여자주인공 ‘소피’가 저주에 걸려서 노년이 된 모습(왼쪽). 오른쪽은 사람의 형상으로 구현된 모습. [유튜브 캡처]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다시 젊어진 ‘소피’(왼쪽)와 그가 사람의 형상으로 구현된 모습. [유튜브 캡처]

아트브리더 등 AI 기술은 ‘디지털 아트’ 분야에서도 적극 활용되는 추세다. 실제 해외에서는 과거 조각품 등의 예술 제품을 실제 사람의 모습으로 실사화해 새로운 작품으로 탄생시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원령공주(모노노케 히메)’의 주인공 ‘산’(왼쪽)이 사람의 모습으로 재탄생한 모습. [유튜브 캡처]

국내에서는 AI를 활용한 복원 사례가 있는데, 가수 고(故) 터틀맨과 고 김현식의 목소리를 구현했으며, 고 신해철이 진행했던 라디오 프로그램인 ‘고스트스테이션’을 통해 그의 목소리를 복원하는 시도가 있었다.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짱구는 못말려’의 짱구 아빠(왼쪽)과 그가 실사화된 모습. [유튜브 캡처]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짱구는 못말려’의 짱구 엄마(왼쪽)과 그가 실사화된 모습. [유튜브 캡처]

Ai 실사화 프로그램 - ai silsahwa peulogeulaem

‘짱구는 못말려’의 강아지 흰둥이(왼쪽)과 그가 실사화된 모습. [유튜브 캡처]

한영혜 기자

[세소식] 2편. 스튜디오 지브리 캐릭터, AI로 실사화 하다! (Feat.GAN)

[세소식] 2편. 스튜디오 지브리 캐릭터, AI로 실사화 하다! (Feat.GAN)

세상의 다양한 AI 새 소식, 세소식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2편. 스튜디오 지브리 캐릭터, AI로 실사화 하다! 입니다.

얼마전 뉴스기사로 지브리 캐릭터들을 실사화 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실사화 된 얼굴들을 보고 오 너무 참신한데?! 라는 생각에

어떤 기법을 사용 하였는지 궁금하여 찾아보았고

여러분께도 소개드리고 싶어 작성하였습니다 :)

오늘의 소재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 입니다.

 진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브리 소개 및 대표 작품들
  2. 지브리 애니메이션 실사화된 사진들
  3. AI 기술 : 생성적 대립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GAN)

* 본 포스팅은 데이콘 서포터즈 “데이크루" 1기 활동의 일환입니다.

1.    지브리 소개 및 대표 작품들

다들 지브리는 한번쯤 들어보셨을텐데요,

지브리 애니메이션을

한번도 보지 않은 사람은 있어도,

한번 보게 되면 너무 몰캉몰캉 말캉말캉,, 귀여워서

계속 보게되는 그런 애니메이션이죠 !

수많은 명작과 수많은 주제가를 남기고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님과 함께하는 제작사입니다.

지브리 스튜디오는 처음엔 '톱 크래프트 스튜디오’ 이름으로 시작하였습니다.

1985년 6월 15일에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를 처음으로 제작하였죠.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이후 ‘천공의 성 라퓨타’ 를 제작할 시기에

회사이름을 지브리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천공의 섬 라퓨타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그리고 꾸준히 수많은 명작을 낳았는데요,

‘마녀 배달부 키키’

마녀 배달부 키키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귀를 기울이면’

귀를 기울이면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바다가 들린다’

바다가 들린다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그리고 우리에겐 너무나도 친숙한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

이웃집 토토로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또또로 굿즈 갖고싶어요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하울의 움직이는 성’

하울의 움직이는 성 中 한 장면
출처 – STUDIO GHIBLI 공식 홈페이지

제가 지브리 덕후라 그런지,, 짤을 많이 삽화했네요,, (수집하면서 행복했습니다,,)

그래도 정말 애니메이션들이 하나같이 다 주옥같네요..!

여담으로 애니메이션 성우로는

더빙과는 거리가 좀 있는 사람들을 캐스팅한다고 합니다.

미야자키 감독은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성우는 목소리가 아니라 그 인물 자체의 존재감이 필요하다"

미야자키 감독은 극 중 뛰어난 연기가 아니라

캐릭터 그 자체를 원하는 것 같습니다.

2.   지브리 애니메이션 실사화된 사진들

그럼 실제로 지브리 캐릭터들을 AI를 이용하여 사람처럼 구현하였다는데요,

사진 먼저 보고 가실까요 :)

‘이웃집 토토로' 주인공 사츠키가 실제 사람의 모습으로 구현된 모습
출처 - YouTube 'おすし'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주인공 치히로가 실제 사람의 모습으로 구현된 모습
출처 - YouTube 'おすし'
'하울의 움직이는 성' 하울이 실제 사람의 모습으로 구현된 모습
출처 - YouTube 'おすし'

싱크로율이 상당한 것 같습니다 ..

독자님들은 어떤 느낌을 받으시나요? :)

3. 지브리 AI 기술 : 생성적 대립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GAN)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어떤 AI 테크를 이용하여 지브리 캐릭터를 실제 사람처럼 구현을 했을까요?

유튜버 오스시(おすし)는 아트브리더(Artbreeder) AI 프로그램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아트브리더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 기술로 얼굴·풍경 등 이미지를 만들어낸다고 합니다.

여기서 사용된 딥러닝 기법은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생성적 대립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GAN) 이란?

생성모델과 판별모델이 경쟁하면서 실제와 가까운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을

자동으로 만들어 내는 딥러닝 기법 중 하나입니다.

처음 들어보시는 분은 많이 생소하시죠?

그래서 제가 준비해 보았습니다.

1. 이론

'[딥러닝] 생성적대립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

2. 실습

'[GAN] 딥러닝 생성적 대립 신경망 GAN 기초 실습 입문하기'

GAN에 대하여 보다 자세한 설명을 기술하였습니다.

위의 링크를 클릭하여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열심히 작성 하였으니 한번씩 보고 가세요,,! (성냥팔이 소년 재질,,))

 이로써 지브리,

지브리 애니메이션에 실사화된 사진들,

실사화에 사용 된 AI 프로그램

딥러닝 GAN 기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딥러닝을 이용한 AI 기술이 더욱 보편화 되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상 세상의 다양한 AI 새 소식, 세소식 이었습니다.

끝까지 읽어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https://namu.wiki/w/스튜디오 지브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11924&cid=42346&categoryId=42346
https://www.sedaily.com/NewsVIew/260SBTBI4E
https://m.blog.naver.com/horajjan/221426061372


jihyeheo

2022.01.19 16:42


DATA MONK

2022.01.19 2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