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해외여행이나 출장을 가는 기회가 늘어나면서 외국에서의 생활이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이때, 전기제품과 개인용 컴퓨터, 조명기구 등의 전기를 사용해서 작업하는 경우도 있는데, 전원 사정은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로 인한 문제가 늘고 있다. 여기서는 외국의 가정용 전원의 전압, 주파수의 차이와 콘센트, 플러그의 형상 차이 등에 대해 설명하고 주의점을 소개한다.

각 국의 전압, 주파수와 사용 플러그 형상

일본에서는 전원의 전압으로 100V를, 전원의 플러그는 2매의 금속날이 나란히 돌출된 것을 사용하는데, 각 국의 전기 사정을 보면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전압과 주로 사용하는 플러그의 형상만 하더라도 그림 1과 같이 나라마다 다양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압, 주파수, 콘센트(및 플러그) 형상 등 크게 3항목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전압은 100V 계열(대략 100∼130V 범위에서 나라마다 다르다)과 200V 계열(대략 200∼400V), 주파수는 50Hz와 60Hz, 그리고 콘센트 및 플러그 형상은「A」「B」「C(S 포함)」「O」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또 A, B, C 및 S, O라는 타입 호칭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음 항에서 설명하겠지만, 이 호칭은 통칭이며 공적으로 규정된 것은 아니다.

국제적 규격인 IEC 규격(IEC60083)에서는 일찍이 A, B, C 3 종류에 대해서는 규정했지만 현재 이 호칭은 사라졌다.

전기 분류 항목 내용의 조합이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해외에 갈 때에는 휴대형 전기기구의 전원을 접속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표 1).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 그림 1. 세계의 전압과 플러그 타입

플러그의 형상 차이

표 1과 같이 플러그 및 콘센트는 형상이 다른 4가지 타입을 사용하고 있다.

  A 타입 : 아메리칸 타입

  B 타입 : U.K 타입(별칭 : 브리티시 타입) *BS 타입, BF 타입을 포함

  C 타입 : 유러피안 타입(별칭 : 콘티넨탈 타입) *S 타입을 포함

  O 타입 : 오스트레일리안 타입(별칭 : 오세아니아 타입)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 표 1. 각국의 전압, 주파수와 콘센트 타입

표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형상적으로는 거의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타입이 다른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을 수 없다. 따라서 기기의 사용 전압은 같아도 플러그와 콘센트의 타입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한 나라에서 여러 타입이 적용되는 경우도 많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 표 2. 타입별 플러그 형상

예를 들면 표 2에서, A 타입의 대표적인 사용 국가로 중국이 있는데, O 타입에도 대표적인 사용 국가에 중국이 들어 있다. 모두 중국의 국가표준(BG) 안에 규격화되어 있으며 같은 220V용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호환성은 없다.

실제로 중국의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전기기기의 플러그에는 두 타입 모두 채용되어 있으므로 콘센트는 플러그에 맞는 형상의 콘센트를 일체화한 것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플러그 및 박스 타입

앞 항에서는 플러그의 형상에 대해 설명했는데, 다음으로 플러그가 접속되는 콘센트의 삽입구 형상(=플러그의 타입과 동일)과 콘센트를 설치하는 박스의 형상에 대해 알아본다. 플러그의 분류에 사용한 타입 분류를 이용해서 콘센트의 삽입구 형상, 박스의 형상과 대표적인 사용 국가를 정리하면 표 3과 같다.

일본에서는 A 타입의 박스가 JIS 규격화되어 표준적으로 사용되며 다른 형상의 박스는 쉽게 찾아볼 수 없지만 B, C, O 타입을 채용한 나라에서는 형상이 다른 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외형과 취부용 나사 간격 치수를 비교하면 A 타입의 박스가 그 이외의 박스와 가장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A 타입의 박스를 사용하는 나라에서도 대만과 태국, 베트남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콘센트의 형상이 다르기도 한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 표 3. 콘센트, 박스의 형상과 플러그 타입

(1) 각 국의 규격

나라마다 콘센트와 플러그 등 배선기구의 규격이 제정되어 있으며 상용 목적으로 제3국에서 규격 이외의 제품을 반입하는 것 및 그 국가에서 제조, 판매하는 하는 일은 제한되어 있다. 그래서 이 장에서는 각 국의 규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나라별 규격 명칭과 안전 규격은 표 4와 같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 표 4. 국가별 규격 명칭과 안전 규격

(2) 국제규격과 정합화

이상과 같이 배전과 배선기구에 관한 규격은 나라마다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콘센트와 플러그의 형상이 각각 다른 등 불편한 점이 많다. 그래서 이 항에서는 국제적인 규격 정합 동향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국제적인 자유무역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세계무역기관(WTO : World Trade Organization)이라는 조직이 있는 것은 다 알고 있는 바이다.

WTO에서는 비관세 장벽을 없애기 위한 협정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에「무역의 기술적 장해에 관한 협정」(통칭 TBT협정)이 있다.

TBT 협정 안에서「각 국의 강제 규격에는 국제 규격을 인용해야 한다」고 명기되어 있다.

WTO에 가맹한 나라는 그것을 준수해야만 하며 준수하지 않은 국가를 그 이외의 국가가 제소할 수도 있다.

전기에 관한 국제규격으로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규격(IEC 규격)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일본도 WTO에 가맹했기 때문에 기존 전기용품의 기준에 추가해 IEC 규격에 준거한 IEC-J가 제정되었다. WTO에 가맹한 많은 나라에서도 같은 내용의 시책을 실시하고 있다.

각 나라마다 그동안 과거의 축적이 있기 때문에 단숨에 세계적으로 통일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그렇게 하기 위해 행동에 나선만큼 앞으로가 기대된다.

해외 도항 시의 주의사항

마지막으로 해외여행을 갈 때 유의해야 할 점을 소개한다.

(1) 감전

일본 이외의 많은 국가에서는 사용 전압이 200V 이상이며 감전된 경우의 위험성은 매우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 전압의 확인

도항 시에는 도항지의 사용 전압을 잘 확인하는 것이 좋다. 최근의 노트북 컴퓨터나 디지털카메라 등의 기기는 입력전압이 100V∼240V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속 AC어댑터의 표기를 사전에 확인해 두면 특별히 대응하지 않아도 된다.

(3) 현지에서의 콘센트 사용

해외에 가져간 전기제품의 플러그와 현지 콘센트의 접속이 불량인 경우나 통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잘 확인하면 휴대전화₩디지털카메라의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또한 접속이 느슨한 경우는 플러그가 빠질 수 있으므로 감전 사고에는 주의해야 한다.

(4) 플러그₩어댑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라마다 콘센트의 삽입구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휴대한 전기제품의 전압이 같아도 사용할 수 없는 사태가 발생한다.

가기 전에 행선지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 타입을 조사해서 어댑터를 준비해 두면 안심하고 전기제품을 휴대할 수 있다.

플러그의 어댑터 형상은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여행용품점이나 전기용품 판매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콘센트의 삽입구 형상에 따라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잘 확인한 후 구입해야 한다.

생활 | 나라별 플러그 모양과 전압

페이지 정보

작성자 elecfelis 작성일17-05-25 20:32 조회11,490회 댓글58건

  • 목록

본문

다소 블펌도 있습니다^^

대충 이미지 검색을 플러그 전압등으로 하시면 외국어자료로 더 잘나온것도 있습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이 링크가 전압이 제대로 나옵니다

http://kcm.co.kr/mission/map/voltage.html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맨 아래 표는 많이 잘못나온게 있네요^^ 물론 220도 많이 쓰긴 쓰는데, 해외는 230이나 240전용이 많거나 그러한 국가가 많습니다

 

110이라고 되있는곳은 대부분 북미에서  승압깔짝깔작하다가 올린 120볼트거나 일본같이 마이너하게 100볼트 (마이너가 아니라 오리지널이지만...) 거나 동남아는 130 140 150!! 도있습니다

11자라고 막 연결했다가 펑하는, 승압도 하는데 소켓은 안갈아끼우는 (최소한 락카칠이라도... -_-) 마인드라서 그런것입니다

 

L타입플러그나 그규격과 접지극빼고 호환되는 국가들 졸지에 공짜근성, 과제버스근성이라고 욕먹는군요.....

약간 블로그 식으로 이야기 풀어갈거라서 곧 나오지만,  규격 자체는 모르겠지만,  이때문에 절연내력이 달라서 고장나기에,  우리나라나,  유럽에선 이런 규격땜에  펑!!  지직!! 혹은 어뎁터나 충전기인데  못막아줘서 엄한 핸드폰 사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베이나 아마존 대다수 유럽지역과  이상한 변종 220소켓쓰는 국가들에서 정품이나 양품인 서드파티와,  비품이 해당국가에 판매시 리뷰가 천지차이입니다. 전자는,  아, 사장님 이게뭐양, 이고 후자는 가격까지 만족!!!  강추 이런투입니다)

 

 

왠만해선 유럽형은 접지극의 형태가 있는가?  사진처럼 접지극 자체가 없는 타입이라서,  구형 플스나  텔레비전, 소형 카세트 라디오등에 쓰는 무접지 타입인 얇은것인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노트북이나 모니터처럼 접지형인데, 어떤접지냐 차이가 있는것이죠

왜 접지단자 달린건,  멀티탭빼고^^  중앙에 홈이 났는가 궁금하셨죠??   대표적으로 프랑스가 쓰는, 콘센트에 접지막대가 달린 타입때문입니다.

영국처럼 그냥 자기들 맘대로 만든것같습니다 

(PAL을 뜯어서 완전 개량한 SECAM과 동유럽에서 라이센스한  사회주의 국가출신끼리도 비호환인 아날로그TV규격보다는 나은듯)

 

 

 물론 영국이나 기타 동남아나 중동국가의  이건 뭐밍싶은것도 있습니다.  

 국기로 나와있는건 적게 나오는데,  따로 찾아보시면, 국가이름나오고 기타.. 눌러보면 정말 기타 국가 나오는 사이트를 보시면 더 자세히 나오겠지만.. 접지극을 빼고 유럽형은 대부분,  어느정도는 호환이 되는 구조입니다.

 

 궁금하다고 해외 위키결과를 보며 어떤 역사가 있는지 찾아보고 싶진않았는데 꼭 보고 싶으시면 보셔도...^^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우리나라는 F형 접지극을 쓰고,  대부분 유럽형 쓰는 나라는 C형이나 대응되는 플러그지만,

접지극만 신경안쓰면 D형은... 굵기땜에 좀 힘들겠지만, C, E, F,  K 까지는 잘맞고

M타입은... D타입처럼 다소 어려울수 있겠습니다

H나 I도 유럽형 전압을 씁니다.   

 

자 그러면  11자는  일본이나 일부 국가 미승압지역이나 쓰는 100볼트나,  미국형 120이나 변종 130 140은 대충 있다는거 아실거고...

어짜피  프리볼트인 어뎁터로 쓰시고, 돼지코는 너무 흔해서 그걸 쓰시거나, 현지에서  120볼트플러그형 (B타입 120V 형) 플러그를 사시던지 하시면 되고....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젤 이상한 규격 L타입을 보곘습니다

J타입도 접지극위치빼고 호환이 됩니다.  문젠... 이플러그는 접지극 없는 규격이 충전기같은거나 해당한단거지만...

 

 

희안하게  위아래 접지극 차이로 또 나뉘는것같습니다.... 그건 진짜 변태같네요


http://www.iec.ch/worldplugs/typeL.htm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네 아까 브라질도 쓴다고 했죠?  이탈리아처럼 일자로 접지까지 박힌타입과  스위스와 브라질이 쓰는  비뚫어진 접지극이 있습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이런 소켓도 있지만 대부분은  변태같이 두개로 나옵니다. 

이게 무슨  유럽 국경지대에 궤간 두규격깐것도 아니고 뭐하는건지...-_-    구멍도 안쪽은 작아야할텐데...  만든사람맘인가 봅니다.  

 

 본래는 안쪽 직경것이 구경이 많이 작습니다.

중국도  110 120 쓰는 동네가 있거나 옜날 아파트처럼 두개전압을 쓰는 구조인지, 미니 타입을 많이쓰는가 봅니다

또 소형화도 되면서 걸쳐서 끼우면 유럽표준같은 모양이니깐^^

이상한 비품 충전기나, 전기충전식 램프에 이런게 달린것도 보았습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이게, 돼지코랑 맞춰보면 극간격도 딱 11자랑 맞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영문위키도 대충 살펴보니,  

" 승압을 하면 절연도 올려야되서  (기존시설 활용은 다거짓말!!)  그냥 승압만 하고 절연규격이나 암페어를 낮췄다" 란것입니다 하하하하-_-  

 

그러니깐 승압공사하면서 쓸만하지않은 시설을 뜯어고치지않고 그냥 110시설에다가 220넣고 절연고려해서 20A미만의 용량정도를 넣는 집이 과거엔 있었다란거죠-_-   

웃긴게,  요즘 전력수요 대응겸,  이 L타입 J타입의 멀티탭은 우리가 쓰는 플러그보다는 미묘하게 굵은듯한데,  D나 M타입보다는 훨씬 가는,  우리가 쓰는 규격은 좀 밀어넣으면 들어갈 정도사이즈로 나와서 어쩌다 보니 두개규격-_-


안드로이드폰은 그래도 미니충전기가 나오기 시작해서 아예 죄다 미니충전기가 되버린시기지만,

아이폰은 이때싸진 그놈의  덕헤드분리하신다고 -_-  그냥...  11자에 유럽형 쓰는 젠더를 소비자가 별매로 사게 하면 될거아닌가 싶게말이죠... (아님 규제따라서 어뎁터를 동봉하던가..)

 

그래서 이때까진 이탈리아나 베트남등 스토어에 직접 주문해야만 살 수 있었던!!! 초 레어한 플러그만 아이폰용 미니플러그였던거죠 

그런데 아까 이야기했듯이  이게 정품이나  A급 서드파티를 팔아도 영국 프랑스 독일쪽 사람들이 사가는 유럽 이베이 아마존은  싸우자!! 고

이탈리아나  일부 동남아,  혹은 스위스, 브라질등은  비품을 팔아도  사장님 싸게 팔아서 감사하고 참 좋습니다란 투의 댓글이더라고요

참.... 남 헐뜯는 말은 번역기가 잘도 번역하더라고요 하하하-_-  

 

이걸 찾아본게  아이폰충전기가 통학하던 시절에 부피가 부담되서였는데...  사서 보니 헐겁고,  몇번 꽂았더니 약간 덜렁덜렁하고...  표준 유럽형으로 개조하려다가 쇼트나서 날려먹고 안좋은 기억만 가득합니다 

결국...  아이폰5S가 2A (10W) 충전이 안된단 이유로-_-  1A전용 충전기가  이탈리아 베타테스트이후 드디어  표준유럽형 전원을 견디고, 안부러지는 제품이 출시되었고,

 

 

용량은 지금도 1A입니다-_-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https://www.apple.com/kr/shop/product/MF033KH/A/apple-5w-usb-%EC%A0%84%EC%9B%90-%EC%96%B4%EB%8C%91%ED%84%B0?fnode=97 

 

 

지금은 안팔겠지만 진짜로  이거 출시전에 이탈리아나 배트남 스토어 가보면 이사진보다 좀더 얇아보이는 극을 가진 충전기가 있었습니다.

본체도 살짝 절삭한것같은 정도의 크기였고요

 

 


관련링크

  •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http://sweetmong.tistory.com/60
  •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http://www.iec.ch/worldplugs/typeL.htm

  • 시스템 보기

      elecfelis 시스템CPUi5 3230m (Ivy)보드, 메모리기가바이트OEM , DDR3 8GVGA지포스 GT 730MSSD, HDD쿠르시얼 CT 512MX 100, 라이트온 IT LMT-128M6M케이스, 파워CPU 쿨링쿨링키보드,마우스A1048 (M9034KH/A), JUSO 저소음사운드,스피커리얼텍OEM, 애플이어팟모니터HP ZR24W, cpd 520GS악세사리캐논프린터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
.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추천 11 신고 0


    총 58 개의 댓글 ───────────────────────

댓글 페이지:  1페이지 2페이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planel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planel= (작성일 17-05-25 20:59)

이런건 국제 표준 규격으로 통일 안되려나..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5 21:12)

그나마 유럽형하고,  초기 토마스 투 더  직원업적을 교수처럼 가로채는 에디슨께서 만든 AT&T이 만든 11자에서 나온 100볼트기반이 표준이라고 봐야죠

(네 제너럴익렉하고 이거 다 분사한 기업맞습니다 독점법이나 기타 이유로)

주파수는 좀 애매한게 50Hz도 미국이 만든규격이고 60Hz도 미국입니다

오히려 옜날엔 산업용 장비가 (지금도 인버터로 낮추는거 있다네요) 25의 절반즈음에서 어느정도 조잡한 주파수다운을 해서 1X hz 가 들어오는거였기에 더더욱 유럽은 그걸썼고,

미국처럼 큰맘먹고 10hz상향해서 돌리는 우렁찬 기계를 돌릴이유도 여유도 없었죠

웃긴게 독일에 있는 에디슨연구소 지사가 이걸 전파한겁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5 21:13)

전압은... 실제 교민들이 애로사항이 있는것이,  변환기쓰자니,  돈아끼자고 현지에서 안사고 급조&개조 자작한-_-  변환기쓰는 의미가 없고 (소용량도 그렇지만 대용량 변환기기는 비싸고 거대함) 

주파수도 대충, 리니어모터이전의 구모델을 약간 부품개조해서 전원부 조작으로 굴리는식으로 때우는거라서 좀 애로사항있다고하네요

그래서,  비회원도 글써지던당시에 해당 교민카페등이나 전기기사 카페에 물었습니다

냉장고가 중요하니까 탭달린 두꺼비집이면 220맞춰버리고, 나머진 변압기쓰던가, 집에서 가져온 국산쓰고 냉장고 죽으면 국산을 귀국하는 사람한테 염가에 팔고 다 현지걸로 사면 안되냐하자,

 

설명이 길거나,

어떻게 다 조달하냐고 하던데, 결론은 0쳤냐라는 답변이었습니다

220도 110이 아주 비주류는 아니지만,  100볼트에서 미국이 처음 승압시도한 107볼트,

그다음 110&  우리나라가 일본 미국 중간전압으로 만들던가 대부분 100볼트때 국가가 하던대로 한 전압의 배수전압이

220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형전압쓰는국가는 곧 117, 120으로 승압을 했지만요^^

일본내수용 앰프도 117기기도 있고,  내수용 티비인데도 120볼트인게 있습니다

(어짜피 일본도 부분적으로 변압기써서 상호변압해서 쓰거나 100~120대응기기 쓴다네요)

 

230은...  아마도..117배수면 애매하니까 115로 잡고 승압해서??^^  

애매하게 210볼트인 국가도 있던것같습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치킨사오면알려줌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치킨사오면알..= (작성일 17-05-25 21:03) 랜덤보너스

유럽형인 c형은 생긴건 비슷해도 국내보다 약간 얇습니다. 그래서 직구 제품을 국내에서 사용시 연결이 헐겁거나 접촉이 불량할수가 있습니다. 

독일은 우리나라와 똑같은 f 형이라 바로 사용가능하고요.

대신에 간혹 모다 들어가는 제품중에 220~230V 50Hz~60Hz 가 아니라 230V에 50Hz 전용 제품이 있는데 이럴 경우 토크가 살짝 모자를 수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커피 머신 같은 경우 추출이 제대로 안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생길수는 있으나 대부분은 별 신경 안써도 됩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5 21:22)

네 그렇습니다. 

얼마전에 소켓안맞는다고 질문하신분있어서 떠올랐는데, 유럽정규규격도 있고, 이상한 중국산 L형규격도 있어서 좀 헷갈렸는데, 답변은 L형같다고 말씀드렸죠-_- 

L형플러그 결속문제와 지~잉하는 소리문제로 아예 현지 소켓과, 국내규격을 머리와 꼬리를 잘라붙이는 개조할려고 찾아본적있는데, 이 경우도 진지하게 고민해봤습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5 21:22)

개인적이야기고 여담인데,  아이맥케이스에 모니터 넣으려고 16:10모델을 일부러 사서 

천천히 기약없는 개조준비를 하는데,  플러그도 애플정품!! 하자고 마음을 잡고 보니,

현지소켓으로 개조를 고민해보게 되었습니다

무슨 괴상한 발상이냐면, F형은 애플이라도 안이쁜데, 다른유럽형도 중앙, 사이드 접지가 다있어서 이걸로 사야지하고 보니 물량도 적고 비쌉니다 (역시...)

C형처럼 어정쩡할수도 있겠죠...

어짜피 벽콘센트에 꽂긴하나, 가끔 뽑고 다른거 꽂을때도 있고 (어짜피 흰색인데?-_-)

그래서 F형처럼 밉지않고 이쁘고 유럽형전압 인것을 보다보니,  H나 I형을 쓸지도 모르겠다싶습니다 

재고랑 가격문제땜에요....   

콘센트야....   전용 변환 단구~2구 멀티탭을 조립하거나 (국내+현지출력소켓)  아예 벽콘센트부품을 두개 준비해서 혼종을 만들까 별생각을 해봤습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절대불가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절대불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5 22:21)

치킨 사줘야 하는겁니까?

 

진지 궁서체..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내장형그래픽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내장형그래픽= (작성일 17-05-25 21:17)

알리에서직구시 EU코드를사도 헐렁헐렁해서 그냥 EU-한국형돼지코 꽂아서쓰죠 ㅠㅠ 예전에 EU플러그 그냥 멀티텝에 꽂아쓰다 툭건들엿는데 펑하면서 터진적이잇어서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BabyMind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BabyMind= (작성일 17-05-25 22:47)

이렇게나 다양할줄은 몰랐네요.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MD테스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MD테스= (작성일 17-05-25 22:48)

호오~ 신기하네요~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별UP는SA랑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별UP는SA랑= (작성일 17-05-25 23:15)

와 좋류 진짜많네요 ㄷㄷ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 (작성일 17-05-25 23:42)

한국 플러그는 왜 유럽 모양만 따라하다가 굵어진건지... ㅡㅡ 생각해보면 한국 전기가 제대로 변태죠... 220v/60Hz 플러그도 변태고...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6 12:11)

네 그렇긴한데...

100볼트 120볼트중간점이면서, 120볼트는 애매해서 110근처 쓰는 국가들과 맞춘전압이고,

60Hz는 미국령국가가 어짜피 외따로 사는경우는 쓰는데(섬이나 비슷한)

우리나라는 한국전부터 미국현지공수가 많고 밀수방지(승압도 그이유)라서 뭐 쓸떼없는짓거린아니라봅니다

 

220을 쓰는 유럽국가나, 220전원도 나오는 국가도 많아요 

원래 배수대로면 220근처나 240나와야하지만 

110딱 맞춰쓰지않는경우도 있고 기타이유에 230을 많이쓰니 그쪽으로 간듯합니다.

아주옜날기기아닌이상 5~7볼트정도올려도 되고, 고려해서 5V아래에서 서서히 전국적인 승압해서 5~7V구간부터는 공식적으로 절연에 변화를 주어도 되겠죠

미국은 동남아처럼 130 140만들련건아닐테고^^  그냥 용량증대겠지만..  

승압시 240이나, 덜들어와도 되고 오차가 커도 동작하거나, 정류기작동하니까 230근처로 할려는것같고,

우리나라도 230으로 올리는듯합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6 18:23)

보통 220-230/50 이나 110-120/60인데 한국은 보기 드문 중간의 짬뽕..... 세계 몇 나라 없어요 이런 콤비네이션..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쿨심슨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쿨심슨=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8 17:18)

그래서 짬뽕해서 제일 좋은 케이스죠. 세계적으로 60hz가 80%입니다. 전압도 220v이상이 대부분이죠.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5-28 20:55)

겹치는 케이스가 거의 없는데 좋다고 말하긴 힘들죠.

60hz가 대부분이고 220v가 대부분인데 그 교집합이 거의 없다는 건 홍준표님이 말하시는게 사실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쿨심슨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쿨심슨=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6-01 18:07)

전압이 다른건 변압하면 됩니다. 주파수는 바꾸기가 힘들어요. 60hz고 110v 쓰면 그냥 소형변압기로 변압만 해주면 됩니다. 주파수변환기는 비싸요. 50hz 220v가 더 까다롭다는거죠. 어차피 110v나 220v나 안전에 대한 신경은 똑같이 써야해서 같은 전력이어도 전류량이 적은 220v인게 좋고 주파수는 대부분 국가가쓰는 60hz인게 좋다는 말이죠.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DDz1818=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작성일 17-06-02 01:34)

대부분 국가가 60HZ라는 건 또 어디서 나온 근거 없는 이야기인지 휴....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바리칸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바리칸= (작성일 17-05-26 01:14)

여러가지인줄은 알았지만 생각보다 엄청 많내요;;;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ian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ian= (작성일 17-05-26 11:01)

좋은 정보네요. 유용할 듯 합니다.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Walther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Walther= (작성일 17-05-26 12:56)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ㅎㅎㅎ

제목에 오타 수정 하면 좋을 거 같아요~!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KeyBenDer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KeyBenDer= (작성일 17-05-26 12:57)

요즘은 어지간한면 프리볼트로 나오고 해외직구도 보통 미국형이라 신경을 안썼는데...정말 복잡하네요.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핫셀블러드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핫셀블러드= (작성일 17-05-26 13:56)

헤르츠도 중요합니다.

프리볼트 신경안쓰고 볼트 수 맞다고 꽃고 쓰시면 큰일 날 수도있습니다

한국같은경우는 220v 50/60헤르츠를 사용합니다.

다른 헤르츠 제품 같은경우 단기적으로 잠깐잠깐 사용하면 문제는 없겠지만

장기간 오래 사용할 경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님의 댓글

220V 콘센트 규격 - 220V konsenteu gyugyeog
elecfelis= (작성일 17-05-26 14:48)

* 대한민국은 50헤르츠를 쓰지않습니다

 산업용 장비의 경우는 아예 별개로, 50헤르츠와도 호환안되고 별도의 변환장치가 필요합니다.

 

50헤르츠는 유럽과 많은 국가가 쓰고,  (에디슨연구소가 50개발하고 60을 미국전용으로 만든 "산업용"이라는 이야기도 있고요)

60헤르츠가 미국이나 미국과 우호적인 나라에서도 일부가 사용중입니다

서일본도 동일본과  오래전부터 사이가 않좋고,  나중엔 정부가 하나가 되었어도 경쟁을 한답시고  동일본은 초창기는 직류 저압으로,  서일본은 교류저압으로 하고, 

나중에 미국식 유럽식으로 나뉜것입니다

 

옜날엔 50헤르츠가 박살났는데 (정밀하거나 대전원기기)  오히려 숫자가 큰 미국형이 튼튼한게 아니라,  주파수사이클차이로써,  60헤르츠가 유럽형에 가게되면 흡수를 더잘해서  타버리고, (주파수에 맞춘 동작이야 느려지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