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 및 종료 링크 속도 - WOL mich jonglyo lingkeu sogdo

[ 랜카드 옵션 - 리얼텍 내장랜 기준 ]

ARP  오프로드

- 추천값 : 사용

ARP란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이며 IP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인 MAC 어드레스로 대응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ARP 오프로드는 컴퓨터의 절전 모드를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ARP 요청에 응답하기 위한 랜카드의 기능입니다. 윈도우에서의 ARP 오프로드의 쓰임은 컴퓨터에 실제로 액세스하지 않고 컴퓨터가 네트워크상에 아직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ARP 오프로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유지 관리하는 목적을 위해 시스템의 절전모드가 종료되는 일이 없어집니다. ( WOL을 사용으로 안했는데도 켜지는 시스템은 본 설정값이 사용안함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 )

IPv4 체크섬 오프로드

- 추천값 : Rx 및 Tx 사용(& )

체크섬이란 통신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는 방식입니다. OS에서 수행해야하지만 근래의 랜카드는 NIC에서 직접 수신하며 체크섬을 진행하므로 시스템 성능을 향상 시켜 줍니다. IPv4 체크섬 오프로드를 사용한다고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되는게 아니므로 사용을 추천합니다.

Jumbo 프레임

- 추천값 : 사용 안함

네트워크의 기본 데이터 전송 프레임의 크기는 1,500Byte를 기준으로 하여 전송하며 이를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라고 하며 점보프레임은 이 값을 4KB~9KB까지 늘려주는 겁니다. 가령 A시스템에서 B시스템으로 1.5MB의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하면 점보프레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각 프레임은 1,000개 생성되고 각 프레임마다 데이터 무결성 확인을 위해 헤더가 생성되므로 헤더 크기, 개수, 부하 감소 등을 위해 점보프레임을 사용합니다. 이사를 가면서 1.5톤 트럭에 10대에 보냈을 때의 톨게이트 비용과 15톤 트럭 한대로 보냈을 때의 톨게이트 비용  정도로 기억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점보프레임을 설정할 경우 설정값에 따른 기기 간 호환성이 없으므로 네트워크상의 시스템들의 점보프레임 크기가 같아야 합니다. 또한, 설정하지 않은 기기들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필자가 테스트해 본 경험에 의하면 기가비트에서는 점보프레임을 설정한다고 처리량이 향상되지는 않았습니다.

LSO( Large Send Offload ) v2 ( IPv4 )

- 추천값 : 사용

TCP 세그멘테이션을 오프로드하여 CPU 작업 로드를 줄임으로써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해주는 기능입니다. 저사양 CPU일 경우 사용하면 좋습니다.

LSO( Large Send Offload ) v2 ( IPv6 )

- 추천값 : 사용 안함

근래에는 IPv6를 지원하는 공유기가 많습니다만 IPv6 주소체계를 지원하는 사이트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NIC와 OS 양쪽 다 사용하지 않음으로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NS 오프로드

- 추천값 : 사용

앞서 ARP 오프로드는 NIC에서의 ARP 프로토콜 응답을 하지 않는 기능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만 NS 오프로드는 같은 맥락으로 라우터의 알림을 통해 네트워크 환경 검색 요청에 응답하는 NIC의 기능입니다. 사용으로 설정해 두시면 됩니다.

TCP 체크섬 오프로드( IPv4 )

TCP 체크섬 오프로드( IPv6 )

UDP 체크섬 오프로드( IPv4 )

UDP 체크섬 오프로드( IPv6 )

체크섬 오프로드를 TCP 영역과 UDP 영역에서의 사용 여부를 선택. IPv6는 사용하지 않음으로 선택하고 IPv4는 선택.

Wake on Magic 패킷

Wake on 패턴일치

Wake-On-Lan 종료

WOL 및 시스템 종료 연결속도

WOL은 NIC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시스템 종료 연결 속도는 가장 낮은 10Mbps를 선택하는 게 전력 소모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 10Mbps 링크 상태에서 대기하며 매직패킷을 기다리기 때문에 좀 더 절전 효과가 발생합니다. )

네트워크 주소

랜카드의 MAC 어드레스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속도 및 이중 ( & )

- 추천값 : 1.0Gbps 전이중 또는 자동 협상

일반적인 용도에서는 반이중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수신/전송 버퍼

- 추천값 : 수신 256, 송신 128

수신/전송 버퍼를 늘리면 시스템의 물리 메모리를 잡아 먹으면서 좀 더 원활한 송수신이 가능합니다만 서버나 NAT 테스트때나 유용합니다.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버퍼를 늘린다고 처리량 값이 높아지지 않으며 오히려 과도하게 늘린 경우 딜레이가 생기는듯한 느낌.

우선 순위 및 VLAN(& )

- 추천값 : 우선순위 및 VLAN 사용

인터럽트 조절

- 추천값 : 사용 안함

데이타와 대기열 처리를 CPU에 보고해서 처리할지 랜카드가 직접 처리할지 정해주는 기능입니다. 쿼드코어 이상의 개인 PC라면 랜카드에서 인터럽트 조절을 처리하는 것보다는 CPU에서 처리하도록 하면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됩니다.

흐름 제어

- 추천값 : Rx 및 Tx 사용

전송 패킷의 양이 수신자의 패킷 버퍼를 넘어서지 않게 조절해 주는 기능.

리얼텍 랜카드에 있는 기능 이외 인텔 서버형 랜카드에 있는 옵션 추가 정리

[ 인텔 랜카드 옵션 ]

낮은 대기 시간 인터럽트

어댑터가 인터럽트 조절을 무시하고 TCP 패킷이 도착하면 바로 인터럽트 생성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이 패킷을 빠르게 처리 


링크 상태 이벤트 기록

- 추천값 : 비활성화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링크 상태인 링크 속도 변경, on/off 등 변경 사항을 기록하는 기능입니다. 비활성화 추천

수신측 배율

- 추천값 : 사용

RSS( Recieve Side Scale )라고 불리는 수신 측 배율의 활성화 여부를 지정합니다. RSS를 활성화 하면 CPU 코어 개수에 따라 수신 트래픽의 균형을 조절합니다. 

최대 RSS 대기열 수

- 추천값 : 시스템 코어 개수에 따라 각자 설정

RSS의 대기열 수를 지정합니다. SMB3.0 멀티채널의 경우 본 RSS 대기열이 양측 시스템에 2개 이상 같은 개수로 지정되어 있어야 지원합니다.

인터넷 딜레이, 속도 개선을 위한 랜카드 설정 최적화 방법 안내드립니다. 유튜브나 인터넷 속도가 느리거나 딜레이가 발생할 때, OS 최적화 외에도 사용 중인 랜카드를 최적화하여 인터넷 속도를 높이고 렉과 끊김, 딜레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혼자 PC를 사용한다면 랜카드 설정 최적화를 해도 큰 효과가 없을 수가 있으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여러 모바일, PC 등을 사용 중이라면 랜카드 설정 최적화가 인터넷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WOL 및 종료 링크 속도 - WOL mich jonglyo lingkeu sogdo

인터넷 속도와 딜레이, 렉, 핑 같은 품질 저하는 문제의 크기가 작은 반면에 쾌적한 PC사용에는 상당히 방해되어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도 유튜브 4K영상 이상에서 영상 시작이 느리고 영상 건너뛰기가 둠떠서 알아보게 된 랜카드 설정 최적화가 도움이 되었기에 아래와 같이 설정을 공개하지만, 대부분은 인터넷 서비스 자체가 문제이거나 사용 중인 OS 환경에 문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만약 100MB 이상의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때는 랜카드 설정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본인 기본값을 꼭 기억해서 설정을 변경하고 문제 발생시 본인의 기본값으로 재설정 하시기 바랍니다.

이더넷 랜카드 구성정보 보는 방법

WOL 및 종료 링크 속도 - WOL mich jonglyo lingkeu sogdo

윈도우 네트워크 연결에서 사용 중인 이더넷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 메뉴가 표시됩니다.

이 팝업 메뉴에서 속성 항목을 클릭하세요

WOL 및 종료 링크 속도 - WOL mich jonglyo lingkeu sogdo

이더넷 속성이 표시되면 '구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WOL 및 종료 링크 속도 - WOL mich jonglyo lingkeu sogdo

구성 창에서 고급탭을 열면 이 네트워크 어댑터에 사용하는 속성이 표시됩니다. 각 속성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속성 값을 변경하면 원하는 최적화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속성을 선택해야 하는지는 아래 정보를 보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어댑터 속성을 바꿨다면 확인 버튼 누르면 끝이 납니다. 속성을 바꿨다면 네트워크 어댑터를 다시 시작하세요.

랜카드 어댑터 속성값 변경으로 최적화하기

네트워크 어댑터의 속성은 무척 많은데, 이 중에 인터넷 속도나 딜레이 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속성은 몇 개 안됩니다. 아래 항목에서 빨간색 글씨로 된 속성은 그런 중요한 속성으로 추천 값 보시고 자신이 CPU 자원을 아낄지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지 선택해 옵션 사용을 고려하시면 됩니다.

본 블로그에서 추천 값은 네트워크 어댑터 자원을 절약해 인터넷 응답 시간 등 성능 개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본인 PC환경에 따라 게임 성능, 유튜브 성능이 나빠지면 해당 옵션을 변경하며 최적의 설정값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1. Advanced EEE

Advanced Energy Efficient Ethernet (EEE)는 절전 기능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 없을 경우 어댑터의 일부 기능을 꺼서 전력 사용을 줄이는 기능입니다. 데이터 전송을 쉬었다가 다시 시작할 때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딜레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2.ARP 오프로드

어댑터가 ARP 요청에 응답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으로 이 속성을 사용 시 절전모드를 유지하고 CPU와 메모리의 부하를 줄여줍니다. 

*기본값: 사용

*추천값: 사용

3. EEE Max Support Speed

Energy Efficient Ethernet (EEE)를 지원하는 최대 속도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기본값: 1.0 Gbps 전이중

*추천값: 1.0 Gbps 전이중

4. Gigabit Lite

과거 2P 케이블로 멀리 500 Mbps를 전송하기 위한 레거시 속성입니다. 

*기본값: 사용

*추천값: 사용 안 함

※ 사용 안 함으로 선택하면 일부 PC에서 100 Mpbs로 동작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5. IPv4 체크섬 오프로드

어댑터가 OS 대신 패킷의 체크섬을 계산하여 CPU 사용률을 줄이는 기능입니다. 

*기본값: Rx/Tx 사용

*추천값: 사용 안 함

6. Large Send Offload v2 (IPv4)

TCP/IP 패킷의 프레임 전송 데이터를 네트워크 어댑터가 v2 규격인 최대 256 KByte까지 모아서 전송하도록 하여 CPU 부하를 덜어주는 기능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전송 시 스텍에 모은 다음 보내게 되어 데이터 전송 효율은 높아지지만 모으는 동안의 시간 지연이 발생하고 일련의 작업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 부하가 발생합니다. 과거 CPU 성능이 낮을때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옵션으로 게임이나 유튜브 사용에는 좋지 못한 옵션입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7. Large Send Offload v2 (IPv6)

IPv6에 Large Send Offload v2의 사용 여부를 묻는 것으로 IPv6를 사용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음.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8. NS 오프로드

네트워크 어댑터가 Neighbor Discovery Neighbor Solicitation 요청에 응답하도록 하는 기능으로 사용 시 cpu와 메모리의 부하를 줄여주고 절전상태에서 깨어나지 않게 합니다.

*기본값: 사용

*추천값: 사용

9. Power Saving Mode

절전 기능으로 성능을 위해서는 사용 안 함으로 하세요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10. RSS 대기행렬의 최대수

CPU 성능이 낮다면 2개의 대기행렬로 사용하는 등 속성 값을 낮춰야 하지만 최근 CPU들은 성능이 충분해서 최대치인 4개의 대기행렬로 지정하는 것이 네트워크 속도가 좋아집니다.

*기본값: 4개의 대기행렬

*추천값: 4개의 대기행렬

11. TCP 체크섬 오프로드(IPv4)

TCP Segment data 송신 도중 발생될 수 있는 비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체크섬을 계산해서 TCP 헤더에 삽입하는 처리를 네트워크 어댑터가 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으로 설정하면 CPU 사용이 낮아지고 네트워크 어댑터가 바빠집니다. 반대로 '사용 안 함'은 CPU가 체크섬을 계산하게되어 네트워크 어댑터 리소스가 여유롭게 되고 인터넷 응답 시간이 줄어 듭니다. 따라서 인터넷 속도나 딜레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 안 함'을 추천합니다. 

*기본값: Rx/Tx 사용

*추천값: 사용 안 함

12. TCP 체크섬 오프로드(IPv6)

IPv6에서 TCP 체크섬 계산을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할지 결정합니다. IPv4를 사용 중일 때는 의미가 없습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13. UDP 체크섬 오프로드(IPv4)

UDP Segment data 송신 도중 발생될 수 있는 비트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체크섬을 계산해서 UDP 헤더에 삽입하는 처리를 네트워크 어댑터가 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으로 설정하면 CPU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사용 안 함'은 네트워크 자원의 여유로 인터넷 응답 시간이 줄어 듭니다. 따라서 인터넷 속도나 딜레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 안 함'을 추천합니다.  

*기본값: Rx/Tx 사용

*추천값: 사용 안 함

14. UDP 체크섬 오프로드(IPv6)

IPv6에서 UDP 체크섬 계산을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할지 결정합니다. IPv4를 사용 중일 때는 의미가 없습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15. VLAN ID

VLAN이란 Virtual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여기에 VLAN ID는 이 VLAN의 구분 ID값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할 일이 없겠습니다.

*기본값: 0

*추천값: 0

16. Wake on magic packet when system

WOL(Wake on LAN)을 이용해 원격 부팅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용 안 함'으로 하세요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17. WOL 및 종료 링크 속도

WOL(Wake on LAN)을 사용 안 한다면 어떤 값을 지정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기본값: 속도 저하 안 함

*추천값: 속도 저하 안 함

18. 네트워크 주소

MAC 주소를 변경할 경우 이곳에 MAC 값을 넣으면 됩니다.

*기본값: 없음

*추천값: 없음

19. 매직 패킷 웨이크 온

WOL 사용 시 PC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기능입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20. 속도 및 이중

네트워크 어댑터 속성 중에 가장 민감한 속성입니다. 기가랜을 사용 중이라면 '1.0 Gbps 전이중'을 선택하고 그 외에는 '자동 교섭'을 선택하세요. 값이 잘 안 맞으면 속도가 많이 떨어집니다. 

*기본값: 자동 교섭

*추천값: 자동 교섭

21. 송신버퍼

송신 데이터를 메모리로 복사할 때 어댑터에서 사용하는 송신 버퍼의 수를 설정합니다. 이 값을 높이면 송신 성능이 향상되지만 PC 메모리 자원 소비가 높아집니다.

*기본값: 128

*추천값: 128

22. 수신 버퍼

수신 데이터를 메모리로 복사할 때 어댑터에서 사용하는 수신 버퍼의 수를 설정합니다. 이 값을 높이면 수신 성능이 향상되지만 PC 메모리 자원 소비가 높아집니다.

*기본값: 512

*추천값: 512

23. 수신측 조정

멀티코어 CPU 또는 다중 CPU에서 수신 패킷을 동적 처리하도록 하는 기능 2개 이상의 물리적 프로세서 코어 이상의 시스템에서는 '사용'이 추천 값이지만 CPU 사용률이 높다면 '사용 안 함'으로 하세요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24. 에너지 효율적인 이더넷

절전 기능 기능입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25. 우선순위 및 VLAN

어댑터가 전송과 수신에 대한 우선순위 및 VLAN 태그의 삽입/제거를 오프 로드할 수 있습니다.

*기본값: 우선 순위 및 VLAN사용

*추천값: 우선 순위 및 VLAN사용

26. 웨이크 온 랜 종료

WOL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용 안 함'으로 값을 사용하세요

*기본값: 사용

*추천값: 사용 안 함

27. 인터럽트 완화

데이터와 대기열 처리 시 CPU로 처리할지 랜카드가 직접 처리할지 정해주는 기능으로 쿼드코어 이상의 PC에서는 '사용'으로 지정하여 CPU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 네트워크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PC 사용 목적에 따라 체감 성능이 다를 수 있고 게임처럼 CPU 자원 사용에 민감하다면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사용 안 함'으로 지정하면 인터럽트가 많아질 경우 딜레이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하라는 거야 말라는 거야?라고 하실 것 같은데요. 본인에게 맞는 값을 찾으라는 제안이며 유튜브 등 인터넷 서비스 위주로 사용한다면 '사용', 게임을 주로 한다면 '사용 안 함'으로 하세요. 

*기본값: 사용

*추천값: 사용

22. 절전형 이더넷

절전 기능입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23. 점보 프레임

MTU를 늘려서 데이터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으로 과거 대역폭이 낮은 네트워크에서 대용량 자료를 받을 때 유용했던 기능으로 현재는 사용 안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24. 패턴 일치 웨이크 온

WOL 기능으로 WOL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용 안 함'으로 하세요

*기본값: 사용 안 함

*추천값: 사용 안 함

25. 흐름 제어

흐름 제어 패킷을 전송해 송신 측을 일시 정지시켜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를 일치시키는 기능으로 이를 지원하는 연결에서는 트래픽 제어에 도움이 됩니다. QoS에서 잘 동작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동작이 잘 안되기 때문에 '사용 안 함'으로 하여 시간 초과를 줄이고 처리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본값: Rx/Tx 사용

*추천값: 사용 안 함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