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영어문법 정리 pdf - toig yeong-eomunbeob jeongli pdf

안녕하세요. 뤼이드 튜터 입니다! 공인 어학 시험인 토익 시험에서 문법은 7개의 파트 중 파트5와 6에 걸쳐 출제됩니다. 파트5는 문장 빈칸 채우기 문제, 파트6은 장문 빈칸 채우기 문제가 나오는데, 직접적으로 문법 개념을 물어보는 것은 아니지만 토익기초문법 을 어느 정도 알아야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를 수 있죠. 그래서 토익 시험에 응시하려면 영어 문법 공부는 필수입니다.

토익 공부를 시작하기로 마음은 먹었는데 문법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몰라 막막한 분들 계신가요? 토익기초문법을 공부하기로 마음먹으셨다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문법 개념은 바로 품사와 문장형식입니다. 오늘 그 두 개념을 설명해드릴 테니, 뤼이드 튜터와 함께 토익기초문법 공부를 시작해보시죠.

토익기초문법의 첫걸음! 영어의 8품사란?

우리가 문장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어들을 품사라고 합니다. 영어에는 총 8개의 품사가 있어요. 그래서 흔히 8품사라고 하죠.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볼게요.

첫 번째 품사는 명사입니다.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말해요. 사람 이름인 John, 사물인 book, desk 등이 명사에 해당하죠.

그런데, 영어는 같은 단어가 반복되는 걸 싫어해요. 그래서 글에서 같은 명사를 반복해서 사용해야 할 경우, 반복되는 명사를 대체해줄 무언가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개념이 영어의 두 번째 품사인 대명사입니다.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말이죠. 예를 들어, “John is reading a book. John thinks the book is interesting.”이라고 써야 할 것을 John과 book이 반복되는 것을 피하고자 대명사인 “he”와 “it”을 사용해 “John is reading a book. He thinks it’s interesting.”이라고 쓰는 겁니다.

그다음으로 알아볼 품사는 동사입니다. 토익기초문법을 공부하고 계신 여러분을 가장 괴롭힐 품사가 바로 이 동사가 아닐까 싶어요. 동사는 동작을 나타내는 말로 walk (걷다) / have (가지다) / go (가다) 등이 있어요. 문장은 크게 주어(명사, 대명사 등)의 동작을 묘사하는 문장과 주어의 상태를 묘사하는 문장으로 나누어볼 수 있어요. 동사는 동작을 나타내는 말인 만큼 문장 내에서 그 형태를 다양하게 바꾸어 가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동사가 동작을 나타낸다면 명사의 상태/모양은 어떤 품사가 나타낼까요? 바로 형용사가 그 역할을 합니다. Excellent (훌륭한) / possible (가능한) 등이 영어의 형용사에요. 

그런데 형용사는 명사만을 꾸며줘요. 그럼 동사 등 다른 품사는 무엇이 수식해줄까요? 정답은 바로 부사입니다.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를 수식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문장 전체를 수식할 수도 있습니다. 단, 부사가 명사는 수식할 수 없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전치사는 명사나 대명사 앞에 쓰여 다른 명사/대명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를 말합니다. 명사(대명사) 간의 위치, 시간, 방향, 소유 관계 등을 나타낼 수 있어요. In (~안에) / on (~위에) 등이 전치사에 해당합니다.

전치사가 명사와 명사의 관계를 나타낸다면, 이를 연결할 수 있는 건 접속사에요. “I ate a chocolate and a cake last night.”에서 and가 a chocolate이라는 명사와 a cake라는 명사를 연결하는 것처럼 말이죠. 접속사는 또한, 절(문장)과 절(문장)도 이을 수 있답니다.

토익기초문법 영어의 8품사 중 대망의 마지막 품사는 감탄사입니다. 여러분이 모두 아실 “Oh my god!”이 바로 감탄사에 해당해요. 놀람, 기쁨 등 감정을 나타내는 말이죠.

영어의 8품사, 이제 조금 정리가 되시나요? 그런데 이 낱개의 단어들을 그냥 이어붙이기만 한다고 해서 문장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문장 내에서 품사별로 들어갈 수 있는 자리가 정해져 있고, 이 자리에 맞게 들어갔을 때 문법적으로 맞는 문장이 돼요. 품사가 들어갈 자리에는 주어 자리(S), 동사 자리(V), 목적어 자리(O, 보어 자리(C), 이렇게 4개가 있어요. 이 4개의 자리가 어떻게 구성되며 문장을 만드는지, 지금부터는 영어 문장의 5형식에 대해 알아봅시다.

토익기초문법 – 영어의 5형식

먼저, 1형식은 문장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주어와 동사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He arrived. (그가 도착했다.)”라는 문장처럼요. 문장 안에 주어와 동사 외 다른 성분이 없기 때문에, 1형식 문장에는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은 자동사만 올 수 있습니다.

2형식은 주어, 동사에 이어 보어까지 있는 문장 형식입니다. 보어란 ‘보충해 주는 말’이에요. 보어 자리에는 명사 또는 형용사가 올 수 있습니다. 명사가 오면 주어와 보어가 동격임을 나타낼 수 있고, 형용사가 오면 주어의 상태/속성을 보충해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He is a student. 그는 학생이다.”라는 문장에서는 보어 자리에 “a student”라는 명사가 와서 문장의 주어인 “he”와 동격이 되었어요. 즉, he (그) = a student (학생)라는 것이죠. “He is kind. (그는 친절하다.)”라는 문장에서는 보어 자리에 “kind”라는 형용사가 왔어요. 이 형용사 “kind (친절하다)”는 주어인 “he (그)”의 속성을 보충해줍니다.

다음으로 3형식은 주어, 동사, 목적어로 이루어져 있는, 가장 많이 쓰이는 문장 형식입니다. 토익에서도 가장 많이 출제되는 문장 형식이에요. 목적어 자리에는 동사의 대상이 되는 명사가 옵니다. “I like a dog.”라는 문장처럼 ‘~을 좋아한다’는 뜻인 like는 뒤에 좋아하는 대상이 와야 해요. 이 대상이 바로 목적어랍니다.

4형식은 3형식(주어+동사+목적어)에서 목적어가 하나 더 추가된 문장 형태입니다. 이 두 개의 목적어를 각각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로 부르죠. ‘Give (주다)’라는 동사의 경우에는 문장 내에 ‘누가 (주어), 무엇을 (직접목적어), 누구에게 (간접목적어) 주는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목적어가 2개가 오는 거죠. 우리말에서는 동사의 직접적인 대상이 되는 직접목적어가 간접목적어보다 앞서지만, 영어에서는 직접목적어가 맨 뒤에 오니 유의하세요!

마지막으로 5형식은 3형식(주어+동사+목적어) 뒤에 보어를 추가한 문장 형식입니다. 앞 내용을 떠올려 보면, 2형식 문장에서도 보어가 등장했었죠? 2형식 문장의 보어는 주어를 보충하는 반면, 5형식의 보어는 목적어를 보충합니다. 그래서 5형식 문장에 나오는 보어를 목적보어라고 부르죠. “People call him John.”이라는 문장을 예시로 보면, 문장 맨 뒤의 목적보어 John은 주어인 People을 보충하는 말이 아니라 목적어인 him을 보충해서 ‘him = John’ 임을 나타내요.

영어의 8품사와 문장형식, 토익 실전 문제에 적용하기!

그럼 이번에는 지금까지 배운 토익기초문법 영어의 8품사와 문장의 5형식 개념을 토익 실전 문제에 적용하며 복습해볼게요.

첫 번째 문제입니다.

Question 1.

All of the bicycles at Velosport Cycles are available in aluminum ——- titanium frames.

(A) like

(B) or

(C) so

(D) then

잘 풀어보셨나요?

풀어보셨다면 이제 정답을 확인해볼게요.

정답은 바로 (B) or 입니다. 이 문제는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접속사를 고르는 문제에요. 빈칸 앞뒤를 보면 선택 가능한 두 가지 재질 aluminum(알루미늄) 과 titanium(티타늄) 이 제시되어 있죠? 동일 요소가 나오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이를 연결할 수 있는 접속사가 와야 합니다. 네 개의 보기 중 접속사에 해당하는 것은 (B) or 와 (C) so 에요. 그 중 의미가 적절한 (B) 가 정답입니다. 앞서 배운 영어의 8품사 개념을 떠올리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을 거예요.

한 문제 더 같이 풀어볼게요.

Question 2.

The proposal includes ——- of a new factory.

(A) construct

(B) constructive

(C) construction

(D) constructively

다 풀었다면 이제 정답을 확인해볼게요.

이 문제의 정답은 바로 (C) 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품사를 고르는 문제였어요. 문제의 문장은 <주어 (The proposal) + 동사 (includes) + 목적어 (_______ of a new factory)>로 이루어진 3형식 문장입니다. 빈칸 이하는 문장의 목적어이기 때문에 빈칸 안에는 명사가 와야 합니다. 따라서 네 개의 보기 중 유일한 명사인 (C) construction 이 정답이에요. (A) construct(건설하다)는 동사, (B) constructive(건설적인)는 형용사, (D) constructively(건설적으로)는 부사로 목적어 자리에 맞지 않는 품사라 오답이에요.

어떠셨나요? 실전 토익 문제에 적용까지 해보았으니 영어의 8품사와 문장의 5형식 개념이 기억에 더 오래 남을 거예요. 토익기초문법을 한 개념, 한 개념씩 차근차근 공부해서 목표하는 토익 점수를 받으실 수 있도록 뤼이드 튜터가 응원할게요!

뤼이드 튜터 (Riiid TUTOR)는 AI 기술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토익 점수 상승을 돕는 효율적인 토익 솔루션입니다.

토익 최신 기출 경향을 반영한 문제부터 토익 무료 인강, 나에게 딱 맞는 토익 공부법까지 뤼이드 튜터 (Riiid TUTOR) 앱에서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