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단증 유효 기간 - taegwondo danjeung yuhyo gigan

태권도는 한국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무도&스포츠라 할수 있죠.


남녀노소 태권도를 접해보지 않은 사람이 드물정도로 널리 퍼져있고 올림픽 등으로 세계로도 퍼져나갔죠.


태권도단증도 스펙의 한 종류로도 여겨지기에 쓰이기에 자격증처럼 조회를 할 경우가 생긴다고 해요.


태권도단증 조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권도 단증 유효 기간 - taegwondo danjeung yuhyo gigan


태권도단증은 수련의 결과로 승단을 했을때 주어집니다.


태권도 승품, 승단 심사는 국기원이 주관합니다.


태권도단증 조회는 국기원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포털에서 국기원으로 검색하면 사이트가 검색되는데 클릭하여 접속할게요.



국기원 홈페이지 접속화면입니다.


첫번째 국기원 메뉴에 유품단 조회버튼이 있는데 이를 클릭해주세요.


유품단 조회 화면입니다.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조회가 가능해요.



어렸을때 태권도를 하신분이라면 아마 단 대신에 품으로 나오실거에요.


15세 이전에는 품으로 나오며 15세 이상이 되면 품을 단으로 전환하실수 있습니다.


품단전환은 국기원 페이지 상단의 발급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아까의 화면에서 발급서비스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하위메뉴가 나오는데 이중 품단전환 및 재발급을 클릭합니다.



품단전환 화면입니다.


여기에서는 품단전환도 가능하고 우리은행 제휴 단증카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품단전환의 경우는 신청하기를 바로 클릭하시면 되고 카드의 경우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클릭하세요.


태권도 사범으로 활동하려면 4단 이상의 단증을 소유해야 합니다.


또한 직종에따라서 취업시 단증이 있어야 하거나 있으면 가산점이 부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증이 필요하면 꼭 챙기셔야 할거에요.



태권도단증 조회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어렸을때 태권도 대신 합기도를 하고 군대에서 태권도를 했었는데 지금 보니 단증을 안땄는지 조회가 안되는군요.


오래되서 기억은 가물가물하지만 태권도도 참 재밌었는데 단증을 땄었어야 됐는데 하고 후회가 살짝됩니다.


지금이라도 태권도를 다시 배워보면서 젊음을 다시 느껴볼까하는 생각도 드네요. ^^;;;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언제부터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제가 어릴 때도 그랬고

요즘도 많은 어린 자녀분들이 필수 코스처럼 태권도를 배우고 있습니다.

단순히 무술을 배우는 개념이 아니라 신체 발달과 자신감을 키워주고

태권도 정신인 예절도 함께 배울 수 있어서 부모님들이 많이 좋아하시는 것 같습니다.

흰띠로 시작해서 빨간띠 까지는 태권도장에서 심사를 보지만

품띠로 승급하기 위한 심사는 국기원에 가야 합니다.

우스갯소리로 1단 정도는 군대 갔다오면 기본으로 받아오는거 아니야?

라는 말씀을 하시는데요. 군대에서의 1단은 솔직히 속성반이긴 합니다만...

태권도장에서 정식으로 흰띠부터 시작해서 1품을 따는 과정은 결코 속성이 아닙니다.

띠 색깔이 변할때마다 승급심사를 거치고 국기원에 가서 떨리는 가슴을 부여잡고

지금까지 배워온 것을 제대로 보여줘야 통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는 모르지만 품이 있으면 군대에서 태권도 교육을 받지 않아도 됩니다.

공무원시험에도 가산점을 준다고 하니 품증이 있는 분은 반드시 조회를 해보셔야겠습니다.

품과 단 구분
태권도 단증 유효 기간 - taegwondo danjeung yuhyo gigan

만 15세를 기준으로 이하는 품증을 발급하고 이상은 단증을 발급합니다.

1품~3품까지는 만 15세가 넘으면 단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4품의 경우 만18세 이상이 넘어야 단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전환교육을 수료해야 합니다.

태권도 단증 조회

녹색창에서 태권도 단증 조회 등을 검색 하시면 ITF 국제태권도연맹 사이트가 제일 먼저 뜨는데요.

우리나라는 WTA 태권도 이며 국기원에서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국기원 검색을 하시거나 녹색창에서는 두번째로 보이는 국기원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첫 화면에 보이는 유품단 조회 버튼을 누르시면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품/단을 조회 할 수 있습니다.

저도 어릴때 잠깐 태권도를 했었는데요.

제 정보를 넣어서 조회를 해보겠습니다.

이름, 현품단, 품단번호, 최종 승단일자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1품을 보고 있자니 좀더 열심히 해서 4품까지 따놓을걸 그랬나 싶기도 합니다.

품단 전환 및 재발급

저처럼 만15세 이하 때 태권도를 하신 분은 단이 아니라 품이실텐데요.

만 15세 이상이 되면 품을 단으로 전환 하실 수 있습니다.

발급서비스에 들어가시면 품단 전환 및 재발급을 하실 수 있습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품단 전환을 하시거나

이미 유단자의 경우 단증을 재발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군대에서는 별도의 단증 제출을 요구하지 않았고

품단증 유무만 조사를 했었습니다.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알면 누구나 조회가 가능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태권도 단증 조회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있는 태권도는 무술 보다는 심신수련 스포츠에 가깝지만

기본은 발 기술에 특화된 세계 최강의 투기라 할 수 있습니다.

올림픽 공식 종목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앞으로도 많은 응원을 해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엄청 파워풀한 88올림픽 첫 태권도 시범경기 영상을 링크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