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 청구 방법 - silsonboheom cheong-gu bangbeob

📌 미리보기

– 실손보험은 어디까지 보장해주나요?
– 보험금은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나요?
– 실손청구서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 실손보험은 청구 기간이 정해져 있나요?
– 가장 많이 물어보는 실손 청구 TOP 5


우리는 왜 실손 청구를 못 할까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가입했다는 실손보험! 여러분도 가입되어 있나요?

어렸을 때 부모님이나 친척이 대신 가입해줬거나 성인이 된 후 회사 단체보험 가입 등 여러 경로로 가입했지만, 막상 실손보험이 무엇인지,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방법을 몰라 보험금을 청구하지 못하신 분들이 계실 텐데요. 실제로 2021년 금융소비자연맹에서 실시한 보험금 청구 인식 조사에 따르면 실손보험을 가지고 있지만 청구하지 않는 사람은 무려 47.2%나 된다고 합니다.

실손보험을 가입한 2명 중 1명은 청구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죠. 다시 말해, 우리는 매달 실손 보험료는 꼬박꼬박 내고 있지만, 제대로 돌려받지는 못해 돈이 새고 있다는 것! 그래서 매달 돈은 나가는데 보장받지 못해 아까움을 느낄 여러분들을 위해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실손보험에 대해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릴게요!


#1. 실손보험이란 무엇인가요?

실손 의료비 또는 실비라고도 불리는 실손보험은 사고를 당했거나 질병에 걸려 치료를 위해 병원에 방문했을 때 발생하는 병원 진료비 또는 진료 후 처방받은 약제비를 보장해주는 보험입니다. 자주 아파서 병원에 자주 가는 분들이라면 병원 진료비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의료 보험이죠.

#2. 실손보험은 어디까지 보장해주나요?

그렇다면 실손보험으로 병원 진료비 전액을 다 보장받을 수 있나요?

→ 치료 목적으로 받은 진료비의 급여 항목 + 치료 목적의 일부 비급여 항목 보장

실손보험 청구 방법 - silsonboheom cheong-gu bangbeob
실손 보장 범위


실손보험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병원 진료비를 100% 다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랍니다. 병원 방문 목적과 실손 보장 항목에 따라 보장받지 못하거나 병원 진료비의 일부를 보장받을 수 있죠.

  • 병원 방문 목적

실손보험은 치료를 목적으로 한 진료에 대해서만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사고 혹은 질병으로 다치거나 아파서 병원에 방문했을 때 실손보험 청구를 할 수 있다는 것이죠. 반대로 치아 미백, 주름 개선을 위한 보톡스 주사 등 치료가 아닌 미용 목적이라면 보장받지 못한답니다.

  • 실손 보장 항목

또한 실손보험은 급여 항목과 치료 목적의 일부 비급여 항목을 보장해주고 있습니다. 건강보험 적용되는 것을 급여, 적용되지 않는 것을 비급여라고 하죠.


#3. 실손보험금은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나요?

실손보험금 = 진료비 – 공제 금액
*공제 금액 = 2가지 계산법 중 공제 금액이 큰 것을 기준으로 공제

[공제 계산법 2가지]
방법 1. 자기부담금 공제: 대학병원급 2만 원, 종합병원급 1.5만 원, 의원급 1만 원 공제
방법 2. 자기부담률 공제: 4세대 실손 기준, 급여 20% 비급여 30% 공제
**4세대 이전 실손의 경우 보험사, 가입한 시기에 따라 자기부담률이 다를 수 있습니다


치료 목적으로 받은 진료비의 급여 또는 일부 비급여를 보험 청구했다면? 공제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를 보험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데요. 공제 금액 계산법인 자기부담률과 자기부담금 중 더 큰 금액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을 보험금으로 받을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만약, 동네 병원에서 급여 항목에서 2만 원의 진료비가 나왔다면,

방법 1. 급여 항목 자기부담률 20% 공제 → 4,000원
방법 2. 의원급 자기부담금 공제 → 10,000원

둘 중 금액이 큰 자기부담금 1만 원을 공제한 나머지 1만 원을 실손 보상받을 수 있다는 사실!

실손보험 청구 방법 - silsonboheom cheong-gu bangbeob
보험금 계산법

실손보험 청구 방법 - silsonboheom cheong-gu bangbeob
자기부담금 vs 자기부담률

질문 있어요!

제가 받은 진료비에서 급여, 비급여 항목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진료비 속 급여와 비급여를 구분하는 방법은? 진료비 영수증을 확인해보세요. 병원 진료 후 원무과에서 진료비 영수증을 발급받으면 해당 영수증 속에 구분되어 표시된 급여, 비급여 비용을 확인하실 수 있답니다.

실손보험 청구 방법 - silsonboheom cheong-gu bangbeob
급여, 비급여 구분 방법


#4. 실손 청구 서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기본적인 실손 청구 서류 5가지

1. 진료비 영수증
2. 진료비 세부내역서
3. 진단서
4. 약제비 영수증
5. 처방전

기본적인 실손 청구 서류는 크게 5가지가 있는데요. 모든 진료비 청구에 5가지 서류가 다 필요한 것은 아니랍니다. 진료비에 따라 다르게 준비하시면 되는데요. 진료비가 10만 원 이하라면 진료비 영수증을, 10만 원 이상이라면 진료비 영수증과 진료비 세부내역서 또는 진단서를 챙겨주세요. 이때, 진료 후 약 처방을 받았다면? 약제비 영수증과 처방전을 함께 챙겨주시면 완료!

실손보험 청구 방법 - silsonboheom cheong-gu bangbeob
필수 실손청구서류 5가지


#5. 실손보험은 청구 기한이 정해져 있나요?

몇 년 전에 청구하지 못한 병원비가 있는데 지금 청구해도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요?

실손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유효기간은 3년입니다. 진료일 기준으로 3년이 지난 병원비는 청구유효기간이 지났기 때문에 청구가 어렵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이외에도 실손 청구 방법에 대해 자주 궁금해하시는 질문을 모아봤어요! 질문에 대한 자세한 해답은 각각의 질문을 눌러 확인해보세요.

#6. 가장 많이 물어보는 실손 청구 질문은?

  1. 착한 실손 vs 4세대 실손 장단점은?
  2. 처방 받은 약값 청구하는 방법은?
  3. 위,대장내시경 실손 청구 되나요?
  4. 피부과 치료도 실손 청구할 수 있나요?
  5. 도수치료 후 실손 보상 되나요?

⚡메디패스로 한번에 끝내주는 보험청구!

불편하고 어렵던 보험 청구 절차를 메디패스 앱 하나로 간편하게!

서류 없이 무료로 진행하는 패스청구!

국내 40여 개 보험사에 간단하게 사진청구!

지금 바로 메디패스로 집에서 간편하게 실손 청구를 시작해보세요.

메디패스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