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IT동아 남시현 기자]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차례씩 스마트폰 화면을 보며 일상적인 작업을 하고, 사진이나 영상을 공유한다. 이때 스마트폰 화면의 크기는 활용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휴대 여부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거나, 여러 사람과 함께 스마트폰 화면을 본다면, 6.5인치 대화면을 장착한 아이폰 11 프로 맥스조차도 작다고 느낄 때가 많다. 스마트폰 자체가 한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여야 하니, 세 네 명만 되어도 다 같이 한 화면을 보기가 어렵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좌측부터 6.5인치 아이폰 11 프로 맥스, 5.8인치 갤럭시 S8, 4인치 아이폰 5
<좌측부터 6.5인치 아이폰 11 프로 맥스, 5.8인치 갤럭시 S8, 4인치 아이폰 5>

스마트폰 제조사들 역시 이 같은 문제에 공감하고, 손쉽게 대화면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마련해놓았다. IT하는법을 통해 스마트폰 화면을 텔레비전, 모니터같이 큰 화면으로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텔레비전에 스마트폰 화면을 옮기는 법

스마트 TV, 혹은 무선 연결 기능이 있는 TV는 바로 미라캐스트를 쓸 수 있다.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스마트폰은 미라캐스트(Miracast), 혹은 구글 크롬캐스트를 활용해 텔레비전에 화면을 옮길 수 있다. 미라캐스트는 스마트폰 와이파이 기능으로 텔레비전에 영상을 송출하는 기능이다. 텔레비전이 무선 디스플레이 연결을 지원하는 스마트 TV여야 하고, 스마트폰의 화면을 그대로 복제해서 보여준다.

구글 크롬캐스트는 미라캐스트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서비스다. 미라캐스트가 스마트폰 화면을 그대로 복제해서 보여주는 것과 달리, 크롬캐스트는 특정 화면을 전송하면서 스마트폰은 다른 화면을 보여준다. 활용도만 보자면 스마트폰으로 조작하는 스마트 TV에 가깝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기능은 동일하지만, LG 및 삼성 스마트폰의 설정 방식은 조금 다르다.

텔레비전 상에서 무선 공유, 무선 디스플레이, 미라캐스트 등 스마트폰 무선 연결과 관련된 설정이 마련돼있다면, 해당 기능을 켜 검색 상태로 둔다. 그다음 삼성 스마트폰은 스마트 뷰(Smart View) 앱을, LG 스마트폰은 설정의 연결 및 공유에서 화면 공유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를 검색해 연결하면 끝난다. 만약 텔레비전이 무선 디스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HDMI로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을 연결한 예시

미라캐스트를 지원하지 않지만, HDMI 포트는 있는 텔레비전이라면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스마트폰과 연결할 수 있다. 하나는 HDMI 포트에 꽂는 미라캐스트 지원 장치(동글)이나 크롬캐스트를 활용하는 것이다. 미라캐스트 동글이나 크롬캐스트는 별도로 구매해야한다.

또 한가지 방법은 HDMI에서 USB C 규격 혹은 마이크로 USB(5핀)로 전송하는 케이블을 활용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단자가 HDMI 출력을 지원하고, 텔레비전이 HDMI 입력을 지원하는 경우에 한해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텔레비전이 스마트 TV가 아니더라도 괜찮고, 데스크톱용 모니터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스마트폰을 윈도우 10 PC에 연결하자.

윈도우10의 '연결' 앱으로 스마트폰 미라캐스트를 쓸 수 있다.

윈도우 10에는 스마트폰 화면을 컴퓨터 모니터로 복제하는 기능이 기본 제공된다. 윈도우 좌측 하단에서 '연결'을 검색하면 나오는 파란색 앱을 실행하면 사진과 같이 파란색 창이 뜬다. 컴퓨터가 무선 기능을 지원한다면 '무선으로 연결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문구가 나오며, 컴퓨터에 무선 랜카드가 없으면 '디바이스에서 Miracast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무선으로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온다.

전자라면 앱을 실행해 연결하면 되고, 후자라면 미라캐스트를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뜻이다.

와이파이를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는 별도로 무선랜카드를 장착해야 쓸 수 있다.

'디바이스에서 Miracast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무선으로 디바이스에 표시할 수 없습니다'는 컴퓨터에 무선 랜카드가 없다는 말이다. 미라캐스트가 와이파이로 연결하는 기술인데, 와이파이 신호를 보낼 장치가 없다는 의미다. 따라서 USB 형태로 된 무선 랜카드를 꽂거나, PCI 슬롯에 장착하는 무선 랜카드를 꽂으면 즉시 컴퓨터 모니터에 스마트폰 화면을 띄울 수 있다.

미라캐스트는 화면을 복제해서 보여주기만 하는 것이므로 텔레비전, 모니터를 터치해도 반응하지 않는다. 모니터가 터치패널이더라도 말이다. 또한,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가 멀리 있거나, 전송 상태가 불량할 경우 화면이 흐트러질 수 있다.

애플 아이폰은 Airplay를 활용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애플 아이폰은 에어플레이 지원 제품에서 화면 공유를 쓸 수 있다.

애플 아이폰 역시 구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미라캐스트와 비슷한 기능이 있다. 스마트TV나 애플 아이맥, 맥북 시리즈와 애플 아이폰을 연결하는 에어플레이(AirPlay)다. 사용 방법은 앞서 구글 미라캐스트와 거의 비슷하지만, 애플의 에어플레이를 지원하는 제품에서만 쓸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제조사를 통해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스마트폰 화면, 더 넓게, 다 같이 보자

휴대폰에서 가로 화면을 띄우면, 미라캐스트 화면도 가로로 돌아간다.

미라캐스트를 활용하기 위한 조건이 다소 까다로운 것은 사실이다. 스마트 TV라면 손쉽게 쓰겠지만, 스마트 TV가 아니라면 미라캐스트 동글이나 HDMI 케이블, 스마트폰 단자가 HDMI를 지원하는지도 따져야 한다. 컴퓨터 연결 역시 윈도우 10 운영체제를 갖췄고, 무선 인터넷을 지원하야 한다. 덧붙여, 와이파이 신호가 끊어지지 않게끔 장애물 없이 가까운 거리를 유지해야 하고, 고해상도 화면을 감상할 시 일시적으로 화면이 끊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이나 데스크톱 모니터로 스마트폰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편리하다. 유튜브나 넷플릭스라면 활용도가 높을 것이고,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을 다함께 보거나 발표를 진행하는 상황에도 좋다. 평소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면, 텔레비전과 모니터의 미라캐스트를 활용해보자.

글 / IT동아 남시현 ()

[IT동아 정연호 기자] 스마트폰을 쓰면 화면이 작아서 답답할 때가 있다. 큰 화면으로 영상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하면 몰입감이 더 느껴지지 않을까?

그런 사람을 위해서 스마트폰 화면을 TV에 연결하는 방법을 준비했다. 1부에선 ‘미러링’ 방법을, 2부에선 ‘캐스팅’ 방법을 소개한다.

미러링(화면전송)은 스마트폰 화면을 TV에 똑같이 복사하는 기능이다. 미러링은 출력하는 기기에 맞게 화질을 재구현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속 사진/영상을 큰 화면으로 감상하기에 좋다. 또한, 게임/문서 등 다양한 스마트폰 앱을 넓은 화면에서 사용하는데에도 쓸 수 있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TV와 스마트폰이 미러링 된 화면.

미러링 상태에서 스마트폰 화면이 가로 모드면, TV 영상도 스마트폰 화면처럼 가로로 나온다. TV에 그대로 전송되는 구조라 스마트폰 영상을 끄면, TV 영상도 꺼진다. 스마트폰 화면을 계속 켜놔야 해서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

(1) HDMI 케이블 연결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HDMI 케이블, 출처= 에누리 쇼핑몰

TV에 달린 HDMI 포트를 HDMI 케이블로 스마트폰과 연결하면, TV와 스마트폰이 미러링(거울처럼)된다. 당연히, 스마트폰과 TV 모두 HDMI 출력을 지원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TV 뒤에 달린 HDMI 포트

이 HDMI 케이블을 구매할 때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TV 화면 해상도다. TV 해상도에 최적화된 버전에 따라 HDMI 포트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HDMI 포트는 1.0부터 2.1버전까지 있는데, 1.4/2.0/2.1 세 버전을 많이 쓴다. HDMI 1.4버전으로도 대부분 TV 연결에 사용할 순 있다. (일반적으론 'HDMI 케이블 1.4 버전'이라 부른다.)

HDMI 1.4 버전은 풀HD(Full HD, 1,920 x 1,080)뿐 아니라, 4K인 UHD(Ultra High Definition, 3, 840 x 2,160)도 지원한다. 단, HDMI 2.0 버전이 4K에 최적화됐기 때문에, 4K 영상을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HDMI 상위 버전은 하위 버전과 호환된다. TV와 스마트폰 사양이 4K 출력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HDMI 케이블 구매 시 주의해야 한다.

케이블은 스탠다드(Standard) 하이스피드(High Speed) 등 총 4가지로 구분되지만, 케이블이 1.4/2.0/2.1 중 어느 버전과 호환되는지를 확인하면 된다. HDMI는 같은 버전에서도 가격 차가 크다.

특정 제품에선 HDMI 케이블 단자가 금도금 됐거나, 케이블 안정성을 위해 내부 재질을 고가의 부속품으로 채웠기 때문이다. 케이블 길이가 긴 경우에도 제품 가격이 올라간다. 케이블을 오래 쓰려거나 길이가 반드시 길어야 하는 게 아니라면, 저가 제품을 사도 된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HDMI 케이블 크기, 출처=에누리 쇼핑몰

둘째, 케이블 포트 크기를 확인해야 한다. TV의 HDMI 포트는 보통 A 타입(가로 14mm x 세로4mm)이다. 케이블 포트가 A 타입 크기와 맞는지 살펴봐야 한다. 나머지 한쪽은 최신 스마트폰 기종에 호환되는 C 타입(Mini HDMI 가로 11mm x 세로 3mm)이거나, 마이크로 5핀(Micro HDMI 가로 6mm x 세로 2.5mm)인지 확인하면 된다. 즉 TV는 A타입, 스마트폰은 C타입이면, ‘Type C TO HDMI’라 표기된 케이블을 구매하면 된다.

미러링을 할 땐, HDMI 케이블을 TV의 HDMI 포트에 꽂으면 된다. HDMI 1/HDMI 2 처럼 표기된 포트가 2~4개가 있는데, 빈 곳에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케이블을 스마트폰과도 연결한 다음, TV 리모컨으로 '외부입력' 버튼을 눌러, 해당 HDMI 입력을 선택해야 한다. 만약 'HDMI 2' 포트에 케이블을 꽂았다면, 영상입력(소스)를 HDMI 2로 설정해야 하는 것이다. 이후 스마트폰 화면이 TV 화면에 그대로 미러링 된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TV에 알람이 뜨지 않게 하는 방법

HDMI 케이블로 미러링하면, 스마트폰-TV간 반응속도가 빠르고, TV 영상 끊김도 적다. 그런데, 미러링 방식은 스마트폰에 뜬 알림이 TV 화면에도 나와서 불편하다. 스마트폰 설정을 들어가 ‘모두 숨기기’ 기능을 활성화하면, 잡다한 알림이 TV에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를 아끼기 위해서 스마트폰 화면을 어둡게 해도, TV 화면에 연동되지 않는다.

(2) 미라캐스트 연결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미라캐스트, 출처=쿠팡

미라캐스트(Miracast)는 와이파이(Wi-Fi) 연결이 안될 때, 스마트폰 영상을 TV에 미러링하는 데 유용하다. 제품 구매 시, 선호하는 TV 화질을 지원하는 기기를 구매하면 된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마이크로소프트 미라캐스트,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미라캐스트 사용법은 HDMI 단자를 TV HDMI 포트에 연결하고, 딸려오는 USB 케이블은 미라캐스트와 충전 어댑터에 꽂으면 된다. 그리고 이후의 방법은 HDMI 케이블-TV연결과 유사하다. TV 리모컨으로 '외부입력' 버튼을 누른 뒤 해당 HDMI 입력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면, TV 화면엔 연결 방법이 뜨는데, 삼성폰은 ‘Smart View’ 기능을 LG폰은 '화면공유' 기능을 사용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아이폰은 에어플레이(AirPlay) 기능을 지원하는 미라캐스트로만 미러링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미라캐스트를 TV와 연결한 뒤, 아이폰 와이파이로 미라캐스트를 연결하면 된다. TV 화면에 뜬 비밀번호가 와이파이 암호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애플 에어플레이, 출처=애플

*OTT(Over the Top, 인터넷 기반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서 영상 콘텐츠에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권리 관리)을 적용하면, 스마트폰을 TV와 미러링해도 TV에선 영상을 보지 못한다. 그래서, 미라캐스트가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고대역 디지털 콘텐츠 보호)기능을 제공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미라캐스트에서 HDCP기능을 제공하면, 콘텐츠에 DRM이 걸려있어도 TV로 영상을 볼 수 있다.

(3) 스마트TV 연결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스마트TV, 출처=삼성

최신 스마트TV 대부분은 미러링 기능을 지원한다. 삼성 스마트TV는 2020년 이후 모델이면 미러링 기능을 지원한다. (그전 모델은 개별 확인이 필요하다). TV와 연결할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4.1/에어플레이2 구동 시 iOS 12.3 버전 이상이어야 한다.

LG 스마트TV 최신 모델도 대부분 미러링 기능을 지원하지만, 이전 모델은 고객센터에 문의하거나, 미러링 기능이 있는지 TV에서 직접 확인해야 한다. 안드로이드는 'Smart view'나 '화면공유'기능이 있거나, iOS 버전 12.4 이상이면 스마트TV와 미러링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Smart view' 활성화하는 법, 출처=삼성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화면 비율 조정

삼성 스마트폰으로 'Smart view'를 누르고 TV와 연결하면 된다. 화면 비율이 맞지 않는다면, 스마트폰 설정에 들어가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전체화면 기능'을 활성화하면 된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LG 스마트TV 화면공유 기능 활성화, 출처=LG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LG 스마트TV 화면공유 기능 활성화, 출처=LG

LG 스마트폰은 ‘화면 공유’기능을 누르고, 스마트TV와 미러링하면 된다. 그리고 TV에서 연결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가 뜨면 ‘예’를 선택하면 된다.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에어플레이 사용법, 출처=LG
스마트폰을 tv로 보기 - seumateupon-eul tvlo bogi
에어플레이 사용법, 출처=LG

아이폰의 경우엔 '화면 미러링'기능을 써서 스마트TV와 연결하고, TV에 나오는 암호를 스마트폰에 입력하면 된다.

글 / IT동아 정연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