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금리 확인 - saema-eulgeumgo geumli hwag-in

두 번째 사진에서 위치 옆에 "금리"를 클릭할 경우 금리 안내 페이지로 들어가게 됩니다. 보시게 되면 요구불 예탁금, 거치식 예탁금, 적립식 예탁금이 나옵니다. 계약기간에 따른 기본 이율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

2021.07.22 - [은행금리] - 거치식 예탁금(예금 통장), 적립식 예탁금(적금 통장) 차이

 

이 페이지에서 특판 금리 또한 볼 수 있습니다. 

 

 

 

연관 글>

 

2021.07.22 - [은행금리] - 예금, 적금 이자 계산기

 

예금, 적금 이자 계산기

예금, 적금 이자 계산기 (PC버전) - 저축은행 중앙회 소비자포털 계산기 //www.fsb.or.kr/ratcalc_0200.act?ETC_YN=Y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중앙회 www.fsb.or.kr 예금, 적금 이자 계산기(모..

whitekimland.tistory.com

2021.07.22 - [은행금리] - 본인 돈 저축할 경우 예금, 적금 이자 계산하는 법

 

본인 돈 저축 할 경우 예금, 적금 이자 계산 하는법

본인돈을 저축할 경우 특히 예금과 적금으로 은행에 돈을 넣을 경우 만기시 받게되는 원금과 이자를 쉽게 계산하는 방법에 관해 소개하겠습니다. 예금 이자 계산 하는법 금융기관에서 제공되는

"정기예금은 커녕 적금 들기도 빠듯합니다. 저도 고금리 예금 가입하겠다고 은행 문 앞에 줄 서보고 싶네요. 주담대 금리가 정말 7%가 되다니…이자지옥 빠진 일개미 같은 인생이 된 기분. 복지는 사치에요, 조금이라도 돈 더 주는 직장 가야죠." -경기 광주에 사는 워킹맘 유 모씨(37)시장금리가 치솟으면서 금융경제에도 빛과 그림자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종잣돈을 불릴 생각에 혹은 종잣돈을 만들기 위해 고금리 예적금을 찾아다니는 사람도 있지만 누군가는 이자 부담에 허덕이며 목돈 마련의 꿈도 못꾸고 있습니다.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4% 턱 밑까지 치솟았습니다. 10월 코픽스는 9월(3.4%)보다 0.58%포인트 오른 '3.98%', 이는 사상 최고치로 공시가 시작된 2010년 이후 코픽스가 4%대에 진입한 적은 없었습니다. 상승폭 역시 공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코픽스란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입니다. 즉 은행 예·적금과 은행채 등 8개 항목의 신규취급액을 가중평균해 계산한 겁니다. 예적금 금리가 오르면 코픽스가 오르게 되고 이는 다시 주택담보대출의 변동금리, 전세대출 금리, 신용대출 금리 상승을 이끕니다.은행들은 신규 코픽스 상승분(0.58%p)을 이날부터 바로 반영하면서,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본격적으로 연 7%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코픽스 반영에 따라 국민은행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5.18~6.58%에서 연 5.76~7.16%로, 우리은행 금리는 연 5.74~6.54%에서 연 6.32~7.12%로 올랐습니다.코픽스가 급등한 배경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은행의 수신금리가 올랐기 때문입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 3월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4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등 고강도 통화긴축을 시작하자 한국은행도 사상 처음으로 5번 연속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 올해 초만해도 연 1.25%였던 국내 기준금리는 지난달 연 3%로 올라섰습니다.기준금리 인상에다 레고랜드 사태로 자금확보에 비상이 걸린 은행들도 잇따라 수신 금리를 올렸고, 이달 정기예금 5%시대를 맞이했습니다. 은행들도 연 5%의 이자를 주고 자금을 조달하게 됐다는 겁니다. 시중자금이 은행으로 쏠리는 상황에서 수신금리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입니다.변동금리 대출자들은 그야말로 숨이 턱 막히게 됐습니다. 국내 가계대출 잔액에서 변동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80%에 육박합니다. 가계대출금리가 7%대에 진입하면 소득에서 세금을 내고 나면 원리금도 못 갚는 대출자가 12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일부 은행의 주담대 금리 상단은 8%에 육박한 가운데 한국은행이 이달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주담대 금리는 연내 9%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5억원 규모의 주담대를 40년 만기,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빌렸다면 7%대 금리일 경우 원리금은 약 311만원, 9%일 경우엔 약 386만원에 달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월평균 정규직 근로자 임금은 348만원입니다. 평범한 직장인이 해당 대출을 받았다면 받는 월급이 꼬박 이자로 나가는 셈입니다. 최근 주요 시중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차주들 70% 이상이 변동금리가 아닌 고정금리를 선택했다고 합니다. 금리인상 기조가 예상보다 길어질 것이라 예상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거죠. 은행들이 변동금리 비중을 낮추려 고정금리 수준을 낮춘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제 일부 은행에선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더 높은 역전현상도 나타났습니다.'대출금리는 오늘이 제일 낮고, 예적금 금리는 내일이 더 높은' 기현상이 벌어지는 지금, 어느 때보다 냉정히 자신의 자산·자본 상태를 점검하고 현명한 재테크를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해보입니다.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 2

    6000만원 넣으면 이자만 300만원…은행 5% 예금 시대 개막

    기준금리 인상 속 예적금 금융상품 금리가 치솟는 가운데 은행권에서 연 5%대 정기예금이 줄줄이 등장했다.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이 아닌 전국적인 점포망을 가진 시중은행에서 연 5% 예금이 등장하면서 은행권 수신금리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국민·우리·NH농협 은행 정기예금, 5%대 진입14일 우리은행 홈페이지에 따르면 대표상품인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1년 만기 기준 연 5.18%의 금리를 제공한다. 이 상품은 시장금리 연동상품으로 별다른 조건 없이도 누구나 최고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어 눈길을 끈다.KB국민은행의 'KB STAR 정기예금'도 이날부터 1년 만기 기준 연 5.01%의 금리를 적용한다. 'KB STAR 정기예금'은 매주 시장금리를 반영하는데, 지난 주말까지 연 4.96%의 금리가 주초 변동되면서 5%대에 올라섰다.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 역시 이날 기준 1년 만기 상품에 연 5.1%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그간 정기예금 상품 중 금리가 연 5%를 넘는 것은 지방은행이나 외국계 은행 뿐이었다. 해당상품들은 기본금리에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연 5%가 넘는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상품 금리가 연 5%대로 연이어 올라섰다. 해당 상품에 6000만원을 넣어두면 300만원 가까이 이자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것이다.정기예금 상품의 금리가 오르는 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영향이다. 지난달 12일 한국은행이 사상 두 번째로 빅 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자 주요 시중은행들은 일제히 예·적금 금리를 0.3∼1%포인트(p) 상향 조정한 바 있다.  1억 이하 정기예금 규모도 크게 늘어은행권 수신금리가 잇따라 인상되면서 은행으로 뭉칫돈이 몰리는 '역머니무브' 현상도 가속화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한 달 동안 은행 정기예금에는 56조원이 넘는 자금이 몰렸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사상 최대 규모다. 올해 들어서만 정기예금에 유입된 자금(187조5000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33조원) 대비 6배 가까이 늘었다.특히 고액 예금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금리 인상이 잇따르면서 고이율인 예금으로 갈아타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현금을 은행에 넣어두고 관망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10억원 초과 정기예금은 지난해 상반기 4만2000좌에서 올 상반기 기준 5만좌로 증가했다. 고액 정기예금 좌수가 5만좌를 넘어선 것은 통계를 집계한 이후 처음이다.억 단위 정기예금 뿐 아니라 1억원 이하 정기예금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155조4220억원 규모였던 1억원 이하 정기예금은 올해 상반기에 168조7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내년 4월부터는 금융기관의 예적금 상품의 금리조건을 한번에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 나올 예정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해당 서비스는 최고금리를 제시하는 것을 넘어 소비자가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지를 감안한 맞춤형 상품 추천을 제공한다.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상품별 비교 서비스가 나올 경우, 은행권 수신금리 경쟁 기조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 3

    예·적금 상품 내년 2분기부터 '여기'서 한 눈에 비교! 어디?

    앞으로는 여러 금융회사의 예금상품을 간편하게 비교하는 동시에 본인에게 맞는 최적의 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9일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는 9개 기업의 온라인 예금상품 중개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했다. 여기에 포함된 9개 기업은 ▲뱅크샐러드 ▲NHN페이코 ▲줌인터넷 ▲깃플 ▲핀크 ▲비바리퍼블리카 ▲네이버파이낸셜 ▲씨비파이낸셜 ▲신한은행 등이다. 이 기업들은 내년 2분까지 제휴를 맺은 여러 금융회사의 예·적금 상품을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에게 비교·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특히, 마이데이터와의 연계로 소비자의 자산분석을 통해 우대금리 적용여부 등을 포함한 보다 세분화된 맞춤형 상품추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본인이 원하는 조건의 예·적금 상품을 간편하게 검색·가입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원활한 자산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서비스가 내년 2분기에 시작되는 이유는 금융권의 유동성 관리 어려움을 고려해 출시 시점을 조정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과도한 자금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년도 예·적금 신규 모집액 기준으로 ▲은행은 5% 이내 ▲저축은행·신협은 3% 이내로 제한했다. 금융위는 이번에 지정을 받은 9개 기업 이외의 추가 신청기업에 대해서는 차후 혁신금융심사위원회에서 심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