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통신보조설비 종류 - museontongsinbojoseolbi jonglyu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종류(방식) 3가지를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누설동축케이블 방식 : 동축케이블과 누설동축케이블을 조합한 방식

 공중선(안테나) 방식 : 동축케이블과 공중선(안테나)을 조합한 방식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방식 : 누설동축케이블의 장점과 공중선(안테나)의 장점을 조합한 방식

다음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등에 관한 설치기준이다. 다음 (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 4 )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것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 50 )으로 하고, 이에 접속하는 공중선 분배기 기타의 장치는 해당 임피던스에 적합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 30 )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소화활동설비인 무선통신보조설비에 설치 장치 중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의 용어에 대하여 간단히 쓰시오.

 분배기 :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과 신호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

 분파기 :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

 혼합기 : 두 개 이사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등의 설치기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될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4[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다만, 어떤 경우에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는가?

 ☞ 불연재료로 구획된 반자 안에 설치하는 경우

()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어떤 종류의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는가?

 ☞ 무반사 종단저항

()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몇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1.5[m]

()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몇[]으로 하는가?

 ☞ 50[]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 설치하는 무반사 종단서항의 설치목적을 간단히 쓰시오.

 ☞ 전송되는 전자파가 전송로의 말단에서 반사되어 교신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중 무선기기접속단자의 설치기준을 3가지만 쓰시오.

 화재층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에 의한 지장을 받지 않고 지상에서 유효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또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단자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지상에 설치하는 접속단자는 보생거리 300[m] 이내마다 설치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5[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지상에 설치하는 단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견고하고 함부로 개폐할 수 없는 구조의 보호함을 설치하고 먼지, 습기, 및 부식 등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아니하도록 조치할 것

 단자의 보호함의 표면에 무선기 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중 분배기 등 설치기준을 3가지만 쓰시오.

 먼지, 습기, 및 부식 등에 따라 기능에 이상을 가져오지 아니하도록 할 것

 임피던스는 50[]의 것으로 할 것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누설동축케이블 방식 : 동축케이블과 누설동축케이블을 조합한 방식

 ㉠ 터널, 지하철역 등 폭이 좁거나 긴 지하가나 건축물 내부에 적합

 ㉡ 전파를 균일하고 광범위

 ㉢ 케이블이 밖으로 노출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

공중선(안테나) 방식 : 동축케이블과 공중선(안테나)을 조합한 방식

 ㉠ 장애물이 적은 대강당이나 극장에 적합

 ㉡ 말단에 전파의 강도가 떨어져 통화 품질 저하

 ㉢ 누설동축케이블 방식에 비하여 경제적

 ㉣ 케이블을 반자내부에 은폐할 수 있어 화재에 대한 영향이 적고 미관상 좋다.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방식 : 누설동축케이블의 장점과 공중선(안테나)의 장점을 조합한 방식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설치기준

소방전용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 또는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서 소방전용의 것으로 할 것

누설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공중선 또는 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공중선에 따른 것으로 할 것

누설동축케이블은 불연 또는 난연성의 것으로서 습기에 따라 전기의 특성이 변질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하고, 노출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피난 및 통행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4[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것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금속판 등에 따라 전차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할 것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할 것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50[]으로 하고, 이에 접속하는 공중선 분배기 기타의 장치는 해당 임피던스에 적합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증폭기 및 무선이동중계기 설치기준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기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랑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할 것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용어의 정의

 누설동축케이블 :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가느다란 흠을 만들어서 전파가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도록 한 케이블

 분배기 :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과 신호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

 분파기 :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

 혼합기 : 두 개 이사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

 증폭기 : 신호 전송 시 신호가 약해져 수신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증폭하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