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건축 - malina bei saenjeu hotel geonchug


'피사의 사탑' 기울기 5.5도. 그보다 10배 기울어진 호텔이 지어져 화제가 되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로 최근 쌍용건설이 이러한 난이도 높은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에 위치한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 3개동은 모두 '入'형이다. 이는 52도 기울어진 동편 건물과 서편 건물을 지상 23층(70m) 높이에서 연결한 구조다.

수주 당시부터 세계적인 구조전문가들이 "전세계에서 짓기 가장 어려운 프로젝트"라고 말할 정도로 까다로운 기술력이 요구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특히 호텔을 포함한 주변지역이 마리나베이 복합리조트 조성으로 여러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감안할 때 '入'형 호텔 공사는 제한된 공간활용을 극복할 건축공법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쌍용건설 기술진은 포스트텐션(Post-Tension)공법을 사용했다. 이는 동편 건물에 600mm 두께의 내력벽에 포스트 텐션(Post-Tension)을 설치해 내부에서 와이어(Wire)를 인장하고 가장 경사가 심한 곳에 3개의 긴 철막대인 트러스만를 받쳐 놓는 방식이다.

이로써 쌍용건설은 수많은 지지대를 대지 않고도 작업공간을 확보해 공사를 원활하게 수행하고 공기도 단축할 수 있었다.

입찰 당시 쌍용건설이 최종 시공사로 선정될 수 있던 것도 바로 포스트 텐션 공법 덕분이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이 호텔의 경사면은 사람이 특별한 도구 없이 걸어 오를 수 있는 최고 한계인 이집트 피라미드 외벽 기울기인 52도와 동일해 21세기 건축 불가사의로 불릴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골조공사가 본격화된 이후 싱가포르뿐 아니라 이 곳을 찾는 전세계의 관광객들에게 건설 한국의 위상을 널리 알리는 상징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지상 23층에서 연결된 건물은 지상 57층까지 세워지고 이들 건물 옥상에는 3동의 호텔을 연결하는 축구장 약 2배 크기(약1만2000㎡ 규모)의 하늘공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총 2600객실 규모의 메머드급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은 쌍용건설이 지난 2007년 9월 6억8600만 달러에 단독 수주해 당시 한국 해외 건설 40년 역사상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여전히 화제다.

용어설명
포스트텐션(Post-Tension):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관을 설치하고 그 안에 강선(와이어)을 넣은 후 콘크리트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가 되도록 조치를 취한 다음 강선을 한 방향으로 잡아 당겨 고정시키는 공법.

오진희 기자 [email protected]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facebook twitter share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네이버블로그
  • 주소복사 이미지 주소복사

스크랩

이 기사와 관련있는 기사

  •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건축 - malina bei saenjeu hotel geonchug

    쌍용건설, '피사의 사탑'이 울고 갈 호텔 지어

특수 시공법을 보유하지 않은 회사가 아니면 이런 건물을 지을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생각할 수 있다. 보는 이마다 어느 건설사가 이 건물을 완공했는지 궁금해 한다. 2007년 실시된 입찰 당시 전 세계에서 우수하다고 평가를 받는 14개 건설사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하지만 최종 초청된 것은 쌍용건설과 일본, 프랑스, 홍콩 건설사 등 4곳뿐이었다. 이 중에서도 두 시공사는 시공 방법을 찾지 못해 포기했고, 나머지 1개사도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해 결국 뜻을 접었다.

당초 최저 금액을 제시한 건설사는 쌍용건설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정이 된 것이다. 쌍용건설만이 52도가 기울어진 55층의 건물을 27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지을 수 있는 유일한 시공사였기 때문이다.

'마리나 베이 샌즈'호텔은 현존하는 건축물 중 가장 세우기에 난이도가 높은 건물로 꼽힌다. 대부분의 건설사들은 아름다운 곡선 모양의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낼 수 없었지만 쌍용건설은 교량 시공에 쓰이는 특수 공법을 통해 경사진 건물을 완성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건물이 경사가 졌는데도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건물 골조 구조물 내부에 강연선을 설치해 당겨 주는 특수공법을 사용했다.

또 쌍용건설은 스카이파크를 짓기 위해 200m 높이에 무게가 200~700t이나 되는 철골 구조물을 올릴 수 있는 특수 장비를 사용했다. 3개의 동 위에 놓여진 스카이파크의 무게가 6만t이나 된다. 이는 승용차 4만3000대에 해당한다. 건물들이 이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건 건물 골조 상부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는 트랜스퍼 트러스(Transfer Truss) 공법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 방식을 통해 막대한 무게가 서 있는 건물과 기울어진 건물에 각각 6대4의 비중으로 흩어졌다.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공사 비용은 약 9000억원이나 된다. 국내 건설사가 해외에서 수주한 단일 건축 프로젝트 중 최대 규모라는 점은 쌍용건설의 자랑거리다. 이 호텔의 경사구조 시공 공법은 해외 프로젝트 적용 기술 중에서는 최초로 국토해양부의 신기술(제608호)에 지정되기도 했다.

■ 쌍용건설 김석준 회장
"독특한 외관 건축물 누가 안전하게 짓나 그것이 경쟁력이죠"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건축 - malina bei saenjeu hotel geonchug
사진 확대

"자유의 여신상(뉴욕), 에펠탑(파리), 타워브리지(런던), 오페라하우스(시드니)와 어깨를 나란히 할 세계적인 랜드마크가 대한민국 건설기술로 탄생했다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제6회 토목ㆍ건축기술 대상에서 국외 건축물로는 유일하게 수상을 하게 된 쌍용건설 김석준 회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독특한 외관으로 전 세계 관광객 눈길을 사로잡는 아름다운 건축물이 현실로 실현될 수 있었던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첨단건설 기술이 집약됐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3개 동 총 2561객실을 갖춘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은 지면에서 최고 52도 기울어져 올라가는 동측 건물이 지상 70m(23층)에서 서측 건물과 연결된 후 55층까지 올라가는 구조다. 김 회장은 이처럼 난이도가 높은 공사를 해낼 수 있었던 비결에 대해 "경사진 구조물 시공을 위해서 교량 건설에 쓰이는 특수 공법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교량 건설에 쓰이는 공법을 호텔 건설에 적용해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디자인을 하고 있으며 '21세기 건축의 기적'이란 별칭으로 불리는 이 호텔을 지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최근 시장에서 요구하는 건축 기술에 대해 "저마다 독특한 외관을 뽐내고 있는 세계 유수 건축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새로운 랜드마크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한때 세계 건설시장에서는 누가 더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느냐가 기술의 척도였던 적이 있었지만, 지금은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과 같이 누가 더 상상한 것과 비슷한 비정형 건축물을 빠르고 안전하게 만들 수 있느냐가 기술의 척도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의 상징물인 머라이언상의 시선 바로 건너 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래서 머라이언 파크에서는 싱가포르의 두 상징물을 한번에 사진에 담을 수 있다. 또한 빅토리아 극장 앞의 토머스 스탬포드 래플스 동상도 이 호텔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다.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건축 - malina bei saenjeu hotel geonchug

  • 싱가포르 국회의사당 역시 마리나 베이 샌즈를 등지고 있다. 다만 국회의사당 바로 앞에서는 건물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고, 클락키 입구 쪽 다리 앞에서 두 건물을 모두 카메라에 담을 수 있다.

  • 2012년 싱가포르 MRT 서클선, 2013년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베이프론트역이 개통되며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과 샌즈 엑스포&컨벤션 센터 사이에 지하철역이 생겼다. 베이프론트역 B번 출구는 MBS의 타워 1과 다이렉트로 이어져 있으며, 타워 1과 타워 2 사이로 뚫린 입구를 통하여 뒤편의 가든스 바이 더 베이로 이동 가능하다.

  • 비주얼만 보고 착각하기 쉬운 사실이지만 입구는 호텔의 정면이 아닌 양 옆에 뚫려 있다. 물론 타워 3개의 정면에도 입구가 하나씩 뚫려있긴 하지만 비상시에만 사용되며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호텔 안팎을 오가려면 상당히 많이 걸어야 해서 체력 소모가 큰 편이니 주의.

  • 호텔을 구성하고 있는 타워의 번호는 정면 기준으로 오른쪽에서부터 1, 2, 3이다. 즉 인피니티 풀의 뱃머리(스카이파크)가 위치한 곳이 타워 3. 각 타워의 사이에는 호텔 앞의 쇼핑몰로 이동하는 통로가 있다.

  • 2018년 북미정상회담의 개최지로 논의되기도 하였으나 결국 이곳에서 회담이 열리지는 않았다. 다만 회담 전날 밤에 김정은이 경호진을 데리고 이 곳에 올라와 둘러보긴 했다. 회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2018년 북미정상회담/개최장소 합의 참조.

  • 규모도 규모지만, 정신나간 수준의 디자인에서 나오는 해괴한 구조때문에 건설 난이도가 역대급이었다고 한다. 건설 과정 위에 올라가는 철강 구조물의 수영장 & 정원은 물론이고, 3개의 호텔 역시 옆에서 보면 앞뒤 두개의 건물이 하나로 기대서 올라가는 굉장히 독특한 구조다.

  • Apple 스토어가 근처에 위치해 있다.

  • 한 개 동을 추가하는 증축 계획이 잡혀져 있다.

  • 싱가포르를 찾는 모든 관광객들의 로망에 가까운 숙박장소로 통하고 있지만, 오히려 이 때문에 방문객들이 너무 많다보니 관리가 소홀해져서 지어진 세월에 비해 건물의 노후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서비스 역시 가격 대비 만족도가 심하게 아쉽다는 숙박객들의 평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싱가포르 여행객들 사이에선 1회 방문 목적으로는 좋아도 호캉스 목적이라면 그리 좋지 못한 곳이라는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외관만큼은 랜드마크인 만큼 전세계에서도 손꼽히게 개성 있는 디자인이다보니 MBS가 잘 보이는 뷰의 5성급 호텔[7]이 MBS 본건물에 비해 평가가 압도적으로 좋은 아이러니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6.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영어

Marina Bay Sands

말레이어

Pasir Teluk Marina

중국어

滨海湾金沙/濱海灣金沙(삔하이완찐샤)

타밀어

மெரினா பே சாண்ட்ஸ்

7. 미디어에서[편집]

  • 2019년에 개봉한 명탐정 코난 극장판 23기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의 배경이 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리고 코난답게 어김없이 파괴된다.[8]

  • 괴도 조커에서 데블 팽의 본부로 나온다.

  • 인디펜던스 데이: 리써전스에서 외계인에 의해 빨려가는 장면에서 부서진다

  •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에서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들의 결혼 축하 파티가 이 호텔 꼭대기 층인 인피니트 풀에서 열린다

  • 히트맨: 에이전트 47 싱가포르 씬에서 47 일행이 차를 타고빠져나올때 배경으로 등장한다.

  • 만 년 만에 귀환한 플레이어에선 외계의 존재들에게 쑥대밭이 되어버린다.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에서 배경으로 등장한다. WKC 싱가폴 서킷은 가상의 트랙이지만 WKC 싱가폴 마리나 서킷은 싱가포르 관광청과 공식 콜라보레이션으로 만들어져 실제 마리나 베이 시가지 서킷과 매우 흡사한 트랙 구조를 보여준다.

  • 마리오 카트 투어의 싱가포르 스피드웨이에서 등장한다.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 건축 - malina bei saenjeu hotel geonchu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

문서의 r11 판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

마리나베이 샌즈 호텔

문서의 r11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1] 이름이 길다보니 현지에서는 약칭인 MBS라는 명칭을 더 많이 사용한다.[2] 싱가포르 창이 공항 내에 위치한 쇼핑몰 주얼 창이와 래플스 시티 충칭의 설계를 담당했다. 참고로 영화감독인 사프디 형제의 종조할아버지(즉 모세의 형제가 사프디 형제의 할아버지)라고.[3] 한국에서도 글로벌비즈니스센터 부지를 매입해서 카지노를 지으려 했다가 서울시의 불허로 퇴짜맞았다. 샌즈사는 내국인도 출입가능한 카지노를 요구했지만 대한민국에서 내국인 카지노는 강원랜드가 독점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울시가 허가를 낼래야 낼수 없는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