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많은 여성들이 질 분비물 냄새가 심해지거나 양이 많아지면 먼저 질염을 의심합니다. 그러나 질염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질염이 아니지만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여성질환도 있습니다. 성병 초기에 세균성 질염과 증상이 비슷하거나 무증상일 수도 있지요. 

산부인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이에 따른 치료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안전한 길일텐데요. 그래서 이번 로즈앤 칼럼에서는 여성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균 중에서도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성병 PCR검사 결과 속 낯선 균 이름,

당황한 마음에

몸 속에서 빨리 사라지게 하고 싶다면?  


성병 PCR 검사 결과를 받았을 때, 성병을 일으키는 균은 없으나 가드넬라,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등이 나올 수 있습니다. 병원에 꾸준히 다니며 일상 생활을 쪼개어 관리해도 이 균들이 계속 나오면 상당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기 마련입니다. 내 몸 속 균이 꽤 오래 사라지지 않을 때, 걱정을 멈추고 한 번 생각해 봅시다. 이 균들, 꼭 치료해야 할까요?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위의 표는 우리가 성병으로 분류하는 STI(Sexual Transmitted Infection)과 이외 질염에 대한 분류를 보여줍니다. STI로 진단받았을 때에는 약을 먹으며 꼭 치료해야 하지만, Others로 분류된 유레아플라즈마와 마이코플라즈마는 어떨까요? 

생식기 감염과 관련된  마이코플라즈마, 유레아플라즈마의 종류는 크게 아래로 나뉩니다.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

VS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마이코플라즈마 제니탈리움 

VS 마이코플라즈마 호

유레아플라즈마 유레아티쿰

VS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이들은 성접촉에 의해 전파될 수도 있지만, 출생시 엄마가 아기에게 전파해 균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전형적인 STI(Sexual Transmitted Infection)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아울러 같은 유레아플라즈마라도 유레아플라즈마 유레아티쿰은 조금 다른데요. 남성에게서는 이 균의 수가 더 많이 발견되며 일부 젊은 남성들의 비임균성 요도염(non-gonococal urethritis)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한 여성들은 균을 가지고 있더라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공생균'으로 간주되지요. 그러나 개체 수가 많아졌을 때에는 생식기 감염, 불임, 조산, 골반염, 자궁 외 임신 등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를 놓쳐서는 안된답니다.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PCR 검사가 양성으로 나왔어요. 

이제 어떻게 하나요?


외래 진료에서 질염 검사로 많이 쓰이는 것이 PCR 검사입니다. 질 안에 있는 적은 양의 질분비물을 채취한 뒤 DNA를 증폭하여 해당 미생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로, 치료 후 최소 3주 뒤에 재검사를 해야 하는데요. 약물 치료로 인해 실제로는 죽은 균이 아직 남아 있어 '양성', 즉 균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진단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임질, 클라미디아 같은 성병은 PCR 검사에서 양성으로 진단되면 소량의 균이더라도 임상적으로 성병을 일으키므로 즉시 치료해야 합니다. 그러나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유레아플라즈마 파붐은 PCR 검사가 양성인 경우에도 환자분의 증상과 상황을 고려하여 결과를 해석합니다. 

아울러 검사 과정에서의 오염으로 인한 결과 오류의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는데요. 환자가 오랫동안 성관계가 없었고 증상이 없으면 검체의 오염으로 인한 위양성(비감염자가 양성 판정을 받는 것)일 수도 있으니 이점 또한 고려해야 합니다.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성매개 감염 진단을 위해 쓰는 PCR 검사는 6종에서 25종까지 다양한 미생물을 한 번의 검사로 진단할 수 있어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1-2마리 소량의 미생물이 있는 경우에도 그 미생물의 DNA가 수천배로 증폭되어 진단되므로 결과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장혜진(아주대학교 병원 교수)

마이코플라즈마는 다른 박테리아처럼 단단한 세포벽이 없어 태생적으로 B-lactam 항생제에 대한 내성(페니실린, 세파계열)이 있습니다.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는 14-,15-membered macrolide(azithromycin, clarithromycin, erythromycin)에 내성이 있지요. 대신 16-membered macrolide(joamycin), 독시사이클린(tetM 유전자 없는경우)에 반응하므로 증상이 있는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의 치료에는 항생제의 일종인 독시사이클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나 유레아플라즈마 파붐은 공생균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므로 증상이 심하지 않은 케이스에 광범위 항생제 치료 또는 잘못된 항생제를 선택해서 사용할 경우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진짜 성병균에 효과가 없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도 기억해 주세요.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꼭 치료해야 할까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저 로즈앤의원 박영 대표원장은  질 분비물이 많아지거나 냄새가 심해져 내원한 분들에게 STI-PCR 검사를 합니다. 그렇게 클라미디아나 임진, 마이코플라즈마 제니칼리움과 같은 성병균이 없는지 확인하지요. 유레아플라즈마 유레아티쿰의 경우는 항생제 치료 후 3주 뒤 균이 없어졌는지 재검사를 하고,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나 유레아플라즈마 파붐은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습니다. 대신 질내 PH를 산성으로 유지하게 도와주는 질 세정제 혹은 질 유산균 복용 등의 관리를 권유합니다. 아울러 팬티에 약간 묻어나는 질 분비물과 시큼한 냄새는 정상이라고 말씀드리곤 합니다. 

"계속 균이 나와요." 

"저는 진짜 질염이 안 낫나봐요." 

걱정을 끌어 안고 제주산부인과 로즈앤의원에 내원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세균이 몸에서 당장 없어지지 않아도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유레아플라즈마 파붐,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등은 공생균으로 내 몸에서 꼭 없애지 않아도 되는 균이랍니다. 다만 꼭 산부인과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을 것을 추천 드립니다.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수많은 현대 여성들이 산부인과 질환 뿐만 아닌, 수십가지 수백가지 근심을 머리 위에 얹고 살아갑니다. 이 분들의 걱정과 염려를 로즈앤이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자 이번 칼럼을 작성했습니다. 

조금 귀찮아도, 조금 신경을 더 쓰게 되어도, 지금 바로 산부인과 검진을 예약해 볼까요? 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일, 내몸을 가꾸고 돌보는 행동입니다. 언제나 찾아갈 수 있는 든든한 의료 지인으로, 로즈앤의원 의료진이 항상 동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상에서 할 수 있는 

질 관리법이 궁금하다면?

로즈앤의원 유튜브 채널에서 

▼ 유용한 정보를 알아보세요 ▼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

마이코 플라즈마 호미 니스 약 - maiko peullajeuma homi niseu y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