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릴레이회로 보는법::5핀, 8핀, 14핀 Relay 배선 회로도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포동이 인사드립니다.
이젠 정말 가을인가봐요
백로가 지나면서 조금은
시원하다~~의 느낌이었는데
정말 흰 이슬이 내리는가봅니다..

오늘은 릴레이에 대한 이야기를 좀더 해볼까 해서요

위의 포스팅에서 처럼 릴레이에 대한 부분을 포스팅 한적이 있는데요
좀더 쉽게 풀어서 설명해달라고 하시는 분이 계셔서
이렇게 포스팅을 작성 해보려 합니다.

4핀, 5핀, 8핀, 14핀 릴레이 이거 무슨차이이죠?

라고 하시면 릴레이는 소켓 과 릴레이
두가지의 구성품으로 나뉘는데요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위의 사진처럼 실제의 구동부인 릴레이와
핀으로 되어있는 다리 부분에 직접 케이블을 납땜을 통해 결선할수도 있지만
배전반의 자립이 안되는 릴레이는 소켓에
결속하여 Panel 에 부착하고 케이블 결선까지 진행하게 됩니다.

이때 구동부의 릴레이의 핀이 4개이냐, 8개이냐, 12개 이냐의 차이이며
핀이.. 다리가 많을수록.. 사용가능한 a 접점과 b 접점이 더 많겠죠??
물론 차량에 많이 사용되는 4핀 5핀 릴레이들은
조금 구조가 다릅니다만..ㅎ

Relay 회로도에 대한 이해...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위의 회로도는 제가 그냥 손으로 찍찍..
그렸는데요... 캐드로 해두 되나.. 귀찮아서.. 죄송합니다..
보시는데 불편함이 있으셔도 양해를..ㅎㅎ

위 회로도는 가장 기본적인 릴레이 회로도입니다.

AC 220V 전원이 인가되고 푸시버튼스위치 PB1 과 릴레이 1개를
이용한 RL 및 GL 점등 회로입니다.
회로의 간략 설명은 평상시에는 GL 녹색의 램프가 점등되어 있다가
PB1 을 누르게 되면 RL 적색의 램프가 켜지는 형태로
펌프의 가동정지에 대한 기초 회로도가 되는 도면입니다.

여기서 PB1 은 복귀형이 아닌 누름유지형의 스위치여야 하는데요
이유는 릴레이를 통한 자기유지를 걸어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PB1 왼쪽으로 R1-a 와 R1-b 가 보이실텐데요
이것이 릴레이의 a 접점과 b 접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MY4N 기준으로 보자면
1, 2, 3, 4 번의 핀이 B 접점이 되고
5, 6, 7, 8 번의 핀이 a 접점이 됩니다.
아래쪽의 9, 10, 11, 12 번의 핀이 공통 접점이 되는거죠
공통접점에서 a (5,6,7,8) 와 연결하느냐
b (1,2,3,4) 와 연결하느냐에 따라 a 접점인지
b 접점인지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13번과 14번은
전원 접점이 되는것이죠

위의 사진에서 다시 한번 보시면
넘버원 1번 엄지는
릴레이의 전원단자가 되는것입니다.
13번과 14번이지요

2번 손가락 두개는
릴레이의 a접점
(예를 들어 단자 a 접점단자 5번과 공통 접점단자 9번을 연결)
이 되는것이고

3번 손가락 세개는
릴레이의 b접점
(예를 들어 단자 b 접점단자 1번과 공통 접점단자 9번을 연결)
이렇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시퀀스의 접점에 대한 내용이 이해가 안가시면 이 포스트를 참조 바랍니다.
접점에 대한 상세내용을 작성한 것입니다.

8핀릴레이든 14핀릴레이든 다른것은 없습니다.
a접점, b접점의 수가 몇개이냐 공통단자는 접점의 수에 맞게 배치되고
전원단자는 늘 2개이니까요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8핀이라고 다를게 없죠?
같은 방식입니다.

이렇게 릴레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봤는데요
또 다른 궁금점이나 다른 사항이 있으시면
아는한도에서 최대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최근 자동화를 위해서는 PLC를 사용합니다. PLC가 출현하기 전에는 시퀀스 회로를 릴레이를 경우의 수에 따라 엄청나게 많이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습니다. 그래서 유지보수도 어렵고 시퀀스(로직)를 변경해야 한다면 회로 배선을 풀어내고 다시 결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PLC가 출현한 이후로 소프트웨어 상에서 래더나 펑션 블록을 이용하여 PLC 로직을 수정하면 됩니다. 즉, 편의성이 엄청나게 개선되었다는 것이죠. 오늘은 PLC 회로를 꾸밀 때 아직도 사용되는 보조 릴레이의 결선하는 방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완독 하시면 여러분은 릴레이의 각 접점이 어떠한 원리로 구동되는지 확실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잘 따라와 주세요.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PLC 판넬에 설치된 보조 릴레이들

 보조 릴레이란?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 개의 A접점, B접점을 가지고 있는 회로 구성 소자입니다. 회로를 구성하기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A접점 회로에서는 항시 전류가 흐를 준비를 하고 있다가, 코일이 활성화되면 회로가 도통됩니다. 떨어져 있던 A접점이 활성화되는 것이죠. 

위의 사진들을 보시면 PLC PANEL에 아웃풋으로 사용하기 위한 여러 개의 보조 릴레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한 보조 릴레이는 14핀짜리 릴레이입니다.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릴리에 소켓에서 릴레이 제거한 모습

릴레이는 사진과 같이 릴레이 소켓과 릴레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릴레이를 소켓에 꼽아서 결합시키며, 전기 배선은 릴레이 소켓에 합니다. 소켓 상단과 하단에 접점과 코일 동작을 위한 배선이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조 릴레이 회로 구성하는 법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14핀 릴레이 뒷면

위의 사진은 14핀 릴레이 뒷면입니다. 보시면 1부터 14까지 핀번호가 쓰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핀 별로 쓰임이 다른데요. 과연 어떻게 사용될지 한 번 보실까요?

릴레이 회로 배선 - lillei hoelo baeseon
릴레이 핀별 접점 배열

제조사별로 코일과 COMMON 접점의 순서가 바뀔 수 있지만 14핀 릴레이의 접점 배열은 위의 사진과 비슷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제가 세로로 붉은 박스를 4개 그려두었습니다. 즉, 세로로 1개의 세트 접점이라는 의미입니다. 14핀 릴레이는 총 4개의 A접점과 4개의 B접점, 그리고 COMMON, 그리고 코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회로 구성을 보통 A접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제일 위의 핀과 위에서 3번째 핀으로 회로를 구성합니다. A접점은 항시 준비되어 있는 접점입니다. 즉, 코일에 전류가 흘러 활성되면 바로 회로가 도통되어 전류가 흐릅니다. 이때 바로 맞은편에 연결된 기기에 출력 시그널이 전달됩니다. PLC에서 어떠한 기기를 동작시키고자 할 때 주로 A접점을 이용하여 릴레이와 결선을 하기 때문에 참고로 하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그럼 PLC에서 아웃풋을 내보내는 로직이 구동되었을 때 동작되는 순서를 살펴볼까요?

PLC 로직에서 출력(OUTPUT) 시그널 처리 => DO(디지털 아웃풋) 모듈에서 동작 시그널 발생 => 보조 릴레이(AUX RELAY)에서 코일 활성화 => 폐회로 구성 => 기기 동작(펌프, 팬, 모터 등)

 정리하며

자동제어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PLC로부터 보조 릴레이(AUX RELAY) 결선과 동작 원리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업무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