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프린터 고스트 현상 - leijeopeulinteo goseuteu hyeonsang

토너 모델명 CLT-406 CLT-405, CLT-404, CLT-403, CLT-510시리즈 사용하는 프린터중

간혹 이미징유닛, 전사벨트와 무관하게 고스트 현상(잔상)이 발생 하는 기계가 있습니다.

증상: 

1. 흑백 출력 시 고스트 현상 덜함.

2. 흑백, 컬러 1장 출력 시 고스트 현상 없음.

3. 흑백, 컬러 연속 출력 시 고스트 현상 나타남.

4. 이미지 보다 텍스트 출력시 더 선명하게 고스트가 나타남.

결론: 

위 증상이 나타나는 프린터는 교체 할 수 있는 소모성 부품을 모두 교체 해도 해결이 되지 않음.

- 토너, 이미징유닛, 전사벨트, 정착기, 전사롤러, 급지유닛, 전송롤러 교체 해 봄.

- 위 증상은 메인보드 또는 시스템적인 문제로 소모품 및 부품 교체로는 해결 못 한다고 결론을 내림.

해결과정:

1. 삼성서비스센터 방문, 전사벨트클러치 ITB클러치 를 교체 하면   해결이 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ITB클러치를 교체 해도 해결 되지 않는 프린터가 여전히 있습니다.(2021년10월 현재)

2. 서비스센터 및 다른 경로를 통해 해결한 경험이 있는 고객님은 애플토너 게시판 또는 전화로
   공유 부탁 드립니다.

제목레이저 프린터 잔상이 남네요.
작성자빅애플 ™ 작성일2019/01/10 09:59:51 조회1544 추천0

NOTICE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른 불법촬영물등 유통방지 강화로 인한 gif 업로드 서비스 잠정 중단 안내

프린트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입장이라 잉크젯보다는 레이저가 나을것 같아서 레이저프린터를 구입하였는데요. 일년쯤 지나고 나니 프린트를 하면 전장의 글씨가 뒷장에 같이 인쇄되는 경우가 발생하네요. 토너를 갈아보라는 조언에 토너도 새거로 갈아주었는데도 발생하니 참 답답하기 그지없습니다. 한번에 여러장을 인쇄하면 문제가 발생하지만 한번에 한장씩 인쇄하면 또 멀쩡하게 잘 나오는게 신기하네요. ㅋㅋ 평생 한장씨 수작업으로 프린트를 해야하는 운명인건지? 혹시 해결책 아시는 분 안계실까요?

4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레이저프린터 고스트 현상 - leijeopeulinteo goseuteu hyeonsang
레이저프린터 고스트 현상 - leijeopeulinteo goseuteu hyeonsang
레이저프린터 고스트 현상 - leijeopeulinteo goseuteu hyeonsang

레이저프린터 고스트 현상 - leijeopeulinteo goseuteu hyeonsang

다음글한일부부 보는 걸로 힐링되네요. [3]이전글도쿄 갈려는데 항공권 23만원이면 적당한가요? [5]

http://cafe.daum.net/toner09

삼성 모델중 토너 리싸이클 되는 ml1710 시리즈가 날씨가 추어지면서 고스트현상이 많이 나오는것 같습니다.

이증상을 완전하게 처리 하실 수 있다면 상당히 고수임이 분명합니다..

이 글은 저보다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올렸습니다..

저의 글이 틀린 부분이 있다면 답글로 올려 주세요...

우수회원게시판에 글을 올릴려고 했으나 좀더 많은 의견을 듣고 싶어서 이쪽에 올립니다.

일단 제가 볼때 이증상은 원인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크게 구분해서 드럼,파우더,닥터브레이드,디베롤 등...

이게 두가지 불량이 중복되어 발생하면 초보자는 처리 하기 거의 힘들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기에 이 증상을 완전히 마스터 하신분이면 상당히 고수라고 말씀드리는것입니다..

먼저 이론 공부좀 하겠습니다.

이런 고스트현상과 배면깔리는 문제 또는 화상 불균일을 해결하기위해

Bias Voltage(바이어스전압)이라는게 있습니다...

이 바이어스전압은 주로 디베롤(HP는 마그롤)과 닥터브레이드에 걸어줍니다.

1710도 디베롤과 닥터브레이드에 동시에 바이어스전압을 걸어줍니다.

구기종은 Plate Spring(판스프링)으로 신기종은 Spring으로 두종류로 되어있습니다..

간혹 이 스프링이 없는 재생품이 들어오는데.. 이 것 없으면 이론상 불량이 나야 하는데

테스트해보면 잘 나옵니다...(Hp 기종은 이게 없으면 백지나옴)

특이하게 삼성기종은 없어도 잘 나옵니다.. 이건 저도 모릅니다.  하지만 바이어스

전압은 걸어줘야합니다..그래서 저는 스프링을 만들어서 장착해서 출고합니다 ,, 차후 불량이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기서 중요한건 고스트 현상이 나오는 카트리지도 이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거나 하지 않아도 증상은 똑같다는

것입니다... @~@~  (여기서 저의 이론이 한계를 보였네요..ㅠ,.ㅠ)

이제 실기 쪽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실제 카트리지가 구동되는 상황을 간략설명 하겠습니다...

토너호퍼내의 파우더는 닥터 브레이드를 거쳐 균일하게 디베롤에 묻여집니다..

디베롤에 묻여진 파우더는 드럼과 만납니다..

드럼에는 파우더를 드럼표면으로 땅겨올수 있는 정전하가 형성된부분과 안된부분이 있습니다

정전하가 형성된 드럼표면에는 디베롤의 파우더가 드럼쪽으로 옮겨집니다..(바로이게 출력되는 형상이죠)

이순간의 디베롤에는 종이에 출력될부분만 파우더가 없어집니다..

드럼으로 이동한 파우더는 다시 전사롤과 만납니다. 이 전사롤은 드럼표면에 붙어있는 파우더를 전사롤 쪽으로

옮겨 올 수 있게 드럼표면보다 더 높은 고전압을 인가합니다..(물론 종이가 지나갈때만 전압을 인가함)

종이가 드럼과 전사롤 사이를 지나고 나면 토너 호퍼에 있던 파우더는 전사롤이 아닌 종이로 모든 토너가 옮겨 오는 것이죠...

위 상황을 볼때 고스트 현상의 올 수 있는 가장큰 가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디베롤에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서

2. 드럼에 앞전의 정전하가 남았어서

3. 디베롤과 닥터 브레이드간격이 맞지않아서

4. 드럼표면에 앞전에 붙어있는 파우더가 남아있어서

하나씩 해결 해보기로 하겠습니다...(드럼, 파우더 모두 정상이라고 가정할때

1번문제는 

     위에 이론공부에서 보듯이

     이론과 실제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바  바이어스전압 문제때문에 발생할 확률은 0.5%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거의 이문제는 아니라고봄)

2번문제  

     드럼표면의 앞전화상 정전하는 PCR롤러(1차 충전롤러)가 드럼표면을  고압으로 충전시 잔량전하 소멸시켜버림

    1710 PCR은  이런불량은 거의없음...

    (이문제도 아님)

3번문제

    닥터 브레이드의 굳은 파우더와 파우더 제거시 발생하는 닥터브레이드 변형으로 디베롤에 파우더량이 많아지면

    고스트 현상 나올수 있음...

    저는  이 문제로 인한 불량율은 2~3% 정도로 봅니다..   

4번문제..

   이론적으로 보면 드럼표면의 파우더가 전사롤을 지날때 모두 없어져야합니다..

   하지만 파우더성분에는 레진등 다른 화합물이 많아서 잔량이 남아있게 됩니다..

   일반적이 카트리지는 이 잔량파우더를  드럼에서 때어내기 위해 Cleaning Blade(크리닝 브레이드또는 리커버리 브레이드)

   를 이용하여 제거 시킵니다...

   하지만 1710 시리즈는 이 파우더를 재새용합니다..<--- 이게 원인을 제공함

   재사용토너는 농도가 흐림니다.. 그걸 보정하기위해 프린터 설계시 각 부위에 걸어주는 전압을

   일반 카트리지 보다 좀더 높게 설계하기도 합니다..

   저는 이 문제가 고스트 현상의 90%를 차지한다고 봅니다.

결론..

 지금것 이야기의 중점만 콕콕 꼬집어 이야기하자면

 드럼에 잔량토너가 원인 인것 입니다...

 그럼 드럼이 불량인가?..

 그럴 수 도 있지만 메이커의 드럼이 불량일 확률은 1% 미만 입니다

 1710의 고스트증상 원인은 디베롤입니다.

 디베롤이 드럼잔량토너를 가져가야 하는데 못가져가기 때문에 생깁니다..

 이제 원인을 알았으니 해결됐네요..

 정상적인 디베롤로 교체하면 모두 해결 됩니다...

 여기서 정상적인 디베롤이란 재생한번도 안한 삼성 정품 디베롤 입니다.. ㅎㅎㅎㅎ

 물론 그걸 구할 수 없죠...ㅠ,.ㅠ 

하지만 해결 할 수 있는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

.

.

.

.

 아~~!

여기에 공개하면 카페 신고한분도 알아버리는데...쩝..

그분만 모르게 공개할 수 있는 방법아시는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