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깔깔유머방

왜 기차를 탈 때는 표검사를 안할까?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음~ 이게 역시 서울역이지"

서울의 평범한 대학생인

김페페 군은

민족의 대명절인 설을 맞아

본가가 있는 김천에 가기 위해

처음 상경했을 때

컬쳐쇼크를 느끼게 했던

광장의 노숙자들을 지나치며

서울역 안으로 들어갔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며칠 전 미리 표를 끊어놓은

김페페 군이었기에

얼마 있지 않아

그는 바로 무궁화호에 탈 수 있었는데

그런 김페페 군에게

문득 한가지 궁금증이 생겼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왜 기차에서 표검사를 안하지?"

바로 일반열차 타는곳에는

입구에 개찰구가 있지도 않고

열차를 탔을때도

표검사를 하지는 않는다는 점이었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집표기의 모습

개집표기

승객이 정당한 승차표를

소지하고 있는지 체크하기 위해

무인으로 운영하는 기계로

전 세계의 수많은 철도역에서

이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하지만 우리나라의 기차역에는

개집표기가 있지도 않고

그렇다고 해서

승무원이 열차 안에서

검표를 잘 하지도 않는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대체 어떻게 그럴 수 있는걸까?

오늘은 한번

승차권의 역사와 함께

기차에서 검표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레츠고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표 하단에 구멍이 나있는 게 검표의 흔적이다

1980년대 초반까지는

마분지에 날짜와 열차 등급이 써진

에드몬슨식 승차권이라고 부르는

작은 종이표를 사용했는데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승강장에 열차를 타러 들어갈 때

역무원이 펀치로 구멍을 뚫으며 입장시키고

도착역에서 사용한 표를 반납하는 것으로

차내 검표를 대신하며

간이역에서 탑승하는 승객들만

승무원이 승차권을 확인했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표 어디에도 좌석은 나와있지 않다

하지만 에드몬슨식 승차권을 쓸 당시는

아직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시대였기에

일부 특급(새마을호)열차를 제외한다면

좌석 지정이 어렵고 복잡했으며

(매표소에서 승차권 센터에 연락해 잔여석을 확인해야했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미리 일련번호만 찍혀있는 표를

각 역에서 배분받아 판매했기에

재고 관리를 해야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여러가지 구시대적인 문제로

1970년대 말부터 철도청은

승차권 발매 전산화에 시동을 거니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컴퓨터를 통해 바로 남은 좌석을 확인하고

지정석을 빠르게 발매할 수 있게 되면서

1981년, 새마을호를 처음으로

널리 퍼지기 시작한 것이

바로 '지정공통승차권' 이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줄여서 지공승으로 부르던

지정공통승차권

수량이 정해져있는 승차권이 아닌

컴퓨터를 통해 인쇄하는 승차권이기에

기존의 에드몬슨식 승차권처럼

재고를 관리해야할 필요가 없었고

승객이 매표소에서

지정석을 빠르게 발권할 수 있다는

장점이 매우 컸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좌측 상단 빨간 원이 검표의 흔적이다

검표 방법은 바뀌지 않아

승강장에 열차를 타러 들어갈 때

역무원이 펀치로 구멍을 뚫는 것으로

차내 검표를 대신했으며

전좌석이 자유석인 비둘기호

통근형 통일호승강장 입장권 등은

에드몬슨식 승차권을 병행 사용했다

그러던 중,

2004년에 대한민국 철도사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나니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바로 고속열차인 KTX

2004년 4월 1일에 개통한 것이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이 과정에서 KTX역에

개집표기가 설치되면서

에드몬슨식 승차권과

지정공통승차권은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모든 승차권이

지하철 개찰구에서 사용하는 방식이었던

MS(자기)식 승차권으로 교체되었으며

지금도 무인발매기를 통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개집표기에는

큰 문제가 있었으니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바로 기계가 표를 먹고

뱉어내지 않는다거나

구겨진 표를 인식을 하지 못하는 등

잔고장이 굉장히 잦았던 데다가

수많은 기차 이용객들이

좁은 개찰구에 캐리어 걸려

불편하다는 의견이 굉장히 많았고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특히 2005년부터 개시한

인터넷을 통한 홈티켓 예매 서비스

SMS를 통한 문자 승차권 서비스로 인해

개찰구는 유명무실해졌으며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승무원이 사용하는 PDA. 출처: 네이버 블로그 rlatjsrua98


거기에다가 2006년을 기점으로

열차 내 승무원에게

승객 확인용 PDA가 보급되었고

이를 통해 열차 내에서

실시간으로 좌석 예매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차내에서 부정승차자를

즉시 잡아낼 수 있게 되었으므로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부정승차자가 자연스럽게 줄어들며

우리나라에서 철도역 검표

2009년 8월 3일부로

1899년에 경인선이 개통한 지

110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된다

이것이 바로

기차를 탈 때 표검사를 하지 않는 이유다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하지만 기차를 탈 때

표검사를 하지 않는다 해서

부정승차를 방조하는 것은 아니다

위에 필자가 말했듯

승무원에 PDA가 보급되면서

실시간으로 승객의 탑승 유무

확인할 수 있게 되었기에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검표는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만약 예매되지 않은 자리에

승객이 앉아있거나

입석 승객의 경우에는

그 자리에서 검표를 요구하며

만약 부정승차를 하다 발각 시

철도사업법에 따라 10배

부가운임이 부과되므로

부정승차는 시도조차

하지 말도록 하자

그래서, 김천으로 가던

김페페 군은 어떻게 됐을까?

KTX 표 검사 - KTX pyo geomsa

아, 또야?

추천을 눌러 김페페 군을 깨워주도록 하자

신고 목록 글쓰기

실시간 베스트글

  • 카카오 김범수같은놈이 설치는한추천38
  • 글 안 쓸려다 AS 차원서 한자 써준다.추천37
  • *** 한글날 특집시황.....피의전선입니다추천24
  • "푸틴 죽을수도 있다"…전문가 경고 나왔다추천16
  • 이중고 겪는 국내 증시추천16
  • 주가는 바닥이 확실하다추천16
  • 월요일... 미국 반등을 기다리며.추천15
  • 개털이다. 너무 나이브해추천14
  • ● 바닥 바닥 바닥추천12
  • 외인들패대기치는거보면 감잡아야지추천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