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 ����ȳ�
  • ���蹮��
  • ��������
  • �����ڷ�
  • FAQ
  • �ڰ�Ȱ����

��ǻ��Ȱ��ɷ� ����Ұ�

������� ����ȭ�� �����Ǹ鼭 ����, �繫, ���� ���� �о߿� ���� �濵�м��� ���� ������ ������ �ʼ����Դϴ�. <��ǻ��Ȱ��ɷ�> ������ �繫�ڵ�ȭ�� �ʼ� ���α׷��� ���������Ʈ(SpreadSheet), �����ͺ��̽�(Database) Ȱ��ɷ��� ���ϴ� ��������ڰ� �����Դϴ�.

�����ڰ�

  • ���Ѿ���

�������
������� ���
����������������������������ð�
1�� �ʱ���� ��ǻ�� �Ϲ�
���������Ʈ �Ϲ�
�����ͺ��̽� �Ϲ�
������ 60���� 60��
�DZ���� ���������Ʈ �ǹ�
�����ͺ��̽� �ǹ�
��ǻ�� �۾��� 90��
(���� 45��)
2�� �ʱ���� ��ǻ�� �Ϲ�
���������Ʈ �Ϲ�
������ 40���� 40��
�DZ���� ���������Ʈ �ǹ� ��ǻ�� �۾��� 40��

  • �DZ����α׷�
    MS Office 2016

�հݰ�������

  • �ʱ� : �Ű��� 100�� ������ ����� 40�� �̻��̰� ��� 60�� �̻�
  • �DZ� : 100�� ������ 70�� �̻�(1���� �ΰ��� ��� 70�� �̻�)

����������

  • �ʱ� : 19,000�� �DZ� : 22,500��

�ڰ�Ư��

  • ������ ä�� ������
  • - �ҹ������(�繫������) : ��ǻ��Ȱ��ɷ�1��(3%), ��ǻ��Ȱ��ɷ�2��(1%)
    - ���������� : ��ǻ��Ȱ��ɷ�1, 2��(2�� ����)
  • ���������� �������� : 1�� 14����, 2�� 6����
  • 300���� �������������� �� ä�롤���� ���

÷������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사진=Pixabay]

[교육정책뉴스 안나현 기자] 공기업 취업과 승진을 위해 필수 자격증인 컴퓨터 활용능력 시험이 개편되었다.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 시험은 사무자동화의 필수 프로그램인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데이터베이스(Database) 활용능력을 평가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이다.

본 시험은 다양한 분야에서 취업 가산점, 시험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증으로 공기업 준비생, 대학생 등이 다양한 목적으로 준비한다. 이처럼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고 응시하는 자격시험인 만큼 개편 내용에 대해 관심이 크다.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사진=대한상공회의소 공식 홈페이지]

◆ 시험과목

시험과목은 1급, 2급으로 나뉘며 시험 방법은 1차 필기시험, 2차 실기시험으로 총 두 차례 보게 된다. 1급 필기시험은  컴퓨터 일반, 스프레드시트 일반, 데이터베이스 일반 과목을 총 60문항의 객관식 문제로 출제되며, 실기시험은 스프레드시트 실무, 데이터베이스 실무 과목으로 출제 형태는 컴퓨터 작업형이다.

2급의 경우, 필기시험의 경우는 컴퓨터 일반, 스프레드시트 일반 과목에서 총 객관식 40문항을 보며, 2급 실기시험은 스프레드시트 실무과목에서만 컴퓨터 작업형으로 출제된다.

◆합격 기준 및 응시료

합격 결정 기준은 필기 과목에서 매 과목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이 나오며 평균 60점 이상을 받아야 하며, 실기 과목에서는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 1급은 두 과목 모두 70점 이상)이 나와야 한다. 시험 응시료는 필기의 경우 19,000원 실기 22,500원.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사진=교육정책보도 DB]

◆개편사항

2021년에 들어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 시험의 개편 사항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 시험 일정 및 접수

먼저, 정기 시험이 아닌 상시시험으로 주최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험장 상황에 따라 개설을 하게 된다. 상시시험의 경우 접수기간은 개설일로부터 ‘시험일 4일 전’까지 가능하며 원서접수 마지막 날의 마감시간은 18:00까지이다. 

시험 접수는 대한상공회의소 자격 평가시험단 홈페이지에서 접수가 가능하며 회원가입 후 개인 정보 입력과 증명사진 등록 후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면 비교적 쉽게 접수할 수 있다. 즉, 운전면허 시험처럼 응시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해 정기 시험을 폐지했다. 그러나 정해진 기간 및 날짜가 명시되어 있지 않기에 수시로 들어가서 응시자가 직접 확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합격자 발표는 필기시험의 경우 시험일 다음날 오전 10시, 실기 시험은 시험일 포함 주를 제외한 2주 뒤 금요일이다.

  •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 변경

두 번째로, 컴활의 운영체제나 웹브라우저, 프로그램들이 변경된다. 기존의 웹브라우저 Internet Explorer 11에서 버전과 상관없이 웹브라우저의 공통 기능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운영체제는 Windows 7 과 Windows 10의 공통 기능에서 Windows10버전으로 통일되었다. 스프레드시트 및 데이터베이스는 Microsoft Office 2010 버전에서 Microsoft Office 2016 버전으로 바뀌었다.

  • 출제기준 변경

컴퓨터 활용능력 1급 실기 시험은 스프레드시트(엑셀)와 데이터베이스(액세스) 총 두 과목으로 분류되며 4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레드시트 과목에서 문제 1번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가 삭제되며 배점이 기존의 25점에서 15점으로 하락했다. 문제 2번의 경우 실무 현장성 제고 목적으로 기존 함수 5개 삭제 및 새로운 함수 4개 추가되었고 문제 3번에서 몇 기능이 추가되고 삭제되었다. 문제 4번에서는 단독 매크로 문제가 추가되어 기존 배점이 25점에서 35점으로 변경됐다.

데이터 베이스 과목에서는 문제 3번이 기존에 3문항에 25점 배점에서 2문항 배점 20점으로 줄었다. 문제 4번의 경우 기존 3문항 20점에서 쿼리를 추가한 4문항 25점으로 변경됐다.

컴퓨터 활용능력 2급 실기 시험은 스프레드시트 한 과목, 총 4문제로 구성된다.

개편 사항은 문제 1번 조건부 서식에 함수 제시하기가 추가되었고, 문제 2번에서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함수를 자주 사용되는 함수로 변경됐고 문제 4번에서는 매크로 지시사항 스타일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배점에는 변경사항이 없다.

한편, 컴퓨터 활용 능력 1급은 실기 시험 합격률이 10%대 정도로 국가기술자격 중 합격률이 낮은 시험에 속한다. 따라서 올해 몇 번 남지 않은 시험이지만 개편된 만큼 변화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준비한다면 더 많은 합격생이 나올 것이라 기대한다.

컴활 1급은 필기 + 실기를 봐야하고 필기는 3과목(컴퓨터 일반,엑셀,엑세스)로 이루어져있고 저 3과목 평균이 60점이상이어야하며 평균이 60점이 나와도 어느 한 과목이라도 40점 밑으로 나오면 과락으로 불합격이다. 실기는 엑셀 + 엑세스인데 각각 45분씩 시험본다.
—————————————————

빌어먹을 코로나 덕에 5.18일 겨우겨우시험을 치뤘으나 평균 53.33점으로 탈락——(5월 말에는 다른 시험응시하느라 컴활안함)——>또 다시 힘들게 시험을 잡은 6.7일 시험보고 평균 56.67점+점수 밸런스 붕괴로 탈락——>6.7일에 본 시험결과를 다음날 확인 하고 극대노하며 6.13일 재시험보고 평균 60점으로 합격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5/18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06/07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06/13

6/07 시험에서 봤듯이 점수 밸런스 붕괴가 미쳤는데 이게 사실 막 인터넷 수기보면 제일 많이 나오는 방법이 뭐 1,2,3과목 중에 진짜 잘 보는 과목하나 만들고 다른 거 하나는 과락 피하기, 하나는 평균 넘기 정도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을 추천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던데 나는 그게 안되더라. 그러니 점수가 저 모양 저 꼴이지. 내가 시험 3번 보면서 느낀 것은 1.인터넷 수기 #5일 합격#3일 합격 #7일 합격 이런 거 나오는데 그냥 그런 거 보지말고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나도 그런 거 보고 “개 쉬운가보다? 문제 똑같이 나오납ㅎ네ㅎㅎ”하고 만만하게 봤다가 시험 3번 본거임 + 2.똑같은 문제는 사실 몇 개 안 나오고 그 문제의 보기의 내용이 계속 출제가 되는 식이다. 그래서 나는 저 방법이 안 되길래 그냥 골고루 준비했다. 그리고 같은 문제 내더라도 보기 번호를 바꿈.
그래서 골고루 준비한 결과 필기합격했다.
어려운 시험은 아니고 그냥 만만하게 보면 안되는 시험이다. 사실 6/13일날 보는 시험도 시험 3일전부터 다시 준비한거고 그 와중에 알바도 가고 그랬다. 진짜 어려운 시험이었으면 저렇게 널널하게 다시 시작할 수는 없었을꺼다. 단지 내가 너무 필기를 만만하게 봐서 벌 받은 것뿐이다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이게 시나공 거기서 나온 요약집 같은 건데 양이 꽤 많다. 밑으로 들어가서 컴활 1급 자료 찾아서 공부하시면 된다.
시나공 요약집
무료로 배포되는 거임. 그래서 일단 얘네를 쭉 읽어줬다. 근데 그래도 뭔 소린가 싶고 ?????? 이 상태이긴한데 못 알아듣는 내 머리를 무시하고 그냥 읽었다. 그리고 중요해보이는 거 체크하면서 또 읽었다. 다 합치면 그래도 1-3과목 6-7번 정독한 듯하다
그리고 기출을 풀며 자주 나왔던 개념들을 조금 더 자세히 표시하고 읽었음.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컴활 1급 필기 합격기준 - keomhwal 1geub pilgi habgyeoggijun


보면 알겠지만 문제를 풀 때는 답이 중요한 게 아니라 (답을 무시하라는게 아니고) 그 객관식 보기가 중요하다. 보기에 정말 많은 개념들이 있고 그 보기가 시험에 다시 출제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기까지 싹 다 봐야한다. 나는 2020년 2월 기출부터 10회 기출 다 보고 갔다. 기출은 전자문제집 CBT에서 구할 수 있다.(CBT관계자 여러분은 복 많이 받으시길)
전자문제집 CB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