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영상제작자가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스킬 중 하나는 빛을 이용해 피사체를 조각하는 방법을 아는 것 입니다. 빛의 다양한 모습을 표현하고 싶은 주제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조명 기술이고 이런 기술을 이용해서 주제를 잘 드러내는 것이 감독의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예시를 통해서 말씀드려볼게요. 


빛의 4가지 특성 : 빛의 방향 / 빛의 양 / 빛의 질 / 빛의 색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ex) 캘빈 값이 낮으면서 하이키 라이팅이고 메인 키라이트는 좌상단인 스샷 (아래에 자세하게 풀어보겠습니다)


빛에는 4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빛의 방향, 빛의 색, 빛의 질, 빛의 양인데 이러한 특성들을 조절해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1. Direction & 2.Quantity (feat. 3점조명, 하이키 로우키) 

먼저 조명의 방향과 양입니다. 3점 조명이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핵심적인 키 포인트 중 하나라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3점 조명은 말 그대로 조명을 3가지 방향에 설치하고 피사체를 밝히는 것을 의미하는데 3가지는 key light, fill light, back light입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1-1 KEY LIGHT


키라이트는 가장 밝은 광원으로 피사체의 45도 정도 위치에 두는 메인 조명인데 다양한 광원 , 예를 들어 태양, 촬영장의 소품 조명, 촬영조명 등을 키라이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5도로 조명을 두면서 한쪽은 밝고 나머지 한쪽은 어둡게 만들어 depth를 만들고 대조를 만드는 것이죠. 영상은 2d인데 여기에 차원을 만들어내는 다양한 기법을 통해 입체감을 더해서 3d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이 영상을 다채롭게 느끼게 해주는 방법입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태양을 이용해 만들어내는 키 라이트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는데 키라이트의 위치가 너무 높으면 raccoon eyes가 되어버립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눈 주변이 너구리처럼 까맣게 표현되고요. 반대로 너무 낮으면 spooky 한 영상이 되어버리고요.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일부러 공포스러운 연출을 할 생각이 아니라면 이러한 조명 각도 배치는 주의해야 합니다.  key light를 올바른 위치에 둔다면 drop shadow가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뺨에서 턱으로 자연스럽게 내려가는 그림자선을 의미합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또한 키라이트를 살짝 위로 배치하면 paramount lighting or butterfly lighting 이라고 부르는 룩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파라마운트라고 부르는 이유는 파라마운트사에서 매인 actor를 표현할 때 사용해서 그렇고 butterfly라고 부르는 이유는 코 밑에 나비 같은 모양의 그림자가 생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해당 라이트를 사용하면 광대뼈 부근에 그림자를 생성해서 입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feminine lighting pattern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이 외에도 룹라이팅, 렘브란트 라이팅, 스플릿 라이팅 등등 키라이트의 포지션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1-2 BACK LIGHT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그다음은 백라이트입니다. 피사체 뒤쪽에 위치한 조명인데 대상의 뒷면을 조명하면 배경과 분리되는 효과를 줄 수 있어 depth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실외 촬영 시 해가 질 즈음 해의 위치로 인해 뒤에서 나오는 빛을 통해 halo effect를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대상 주변에 가장자리에 빛을 만들어 배경과 분리를 시킬 수 있습니다.


1-3 FILL LIGHT


마지막은 필라이트입니다. 필라이트의 핵심은 기능은 대비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fill light는 말 그대로 채워주는 빛인데 key light의 반대편에서 빛을 쏴 줍니다. 만약 키라이트를 사용해서 대비를 만들었는데 대비가 너무 강하다고 생각되면 필라이트를 사용하면 됩니다. 대비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 조명이기 때문에 키라이트보다는 밝기를 훨씬 약하게 조절해야겠죠?


2-1 LOW KEY LIGHT

이번엔 하이키, 로우키 라이팅입니다.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차이를 통해서도 피사체를 강조할 수 있어요. 각 화면에 밝기가 다른 빛을 만들어내서 화면에 깊이를 더하면 이미지를 더 부각하고 강조하는 효과를 낳죠.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예를 들어 필라이트를 거의 쓰지 않아서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의 차이가 크면 명암비가 커지겠죠? 명암비가 커지니까 어둡고 강한 그림자를 만들 거고요. 이러한 라이팅을 로우키 라이팅이라고 부릅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즉 이러한 이미지들은 빛의 사용량을 최소한으로 줄여 만들어내는 이미지들이고 이런 특징 때문에 로우키는 서스팬스나, 공포, 미스테라, 호러 등의 어두운 감정을 표현하는 장르에 많이 사용됩니다.


2-2 HIGH KEY LIGHT

하이키 라이팅은 이거와 반대입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노출이 전체적으로 고르고 그림자도 거의 없어서 전체적으로 화사한 이미지를 만들어내요. 조명을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해서 그림자 거 의 사라진 대비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전체적으로 밝고 화사한 이미지를 만들 수 있어서 뷰티나 코미디, 밝은 느낌의 영화, 영상에 많이 사용되고 카툰이 하이키에 가장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3. Quality : soft vs hard


3-1 SOFT LIGHT

조명에서 질이란 질 좋은 조명이다 질 나쁜 조명이다 이런 개념이 아니라 빛이 얼마나 소프트냐 하드냐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소프트 라이트는 빛이 부드러워 그림자가 그러데이션으로 부드럽게 표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하드 라이트는 그림자의 밝은 쪽과 어두운 쪽의 경계가 명확하게 표현되고요. 예를 들어 뷰티 촬영을 할 때는 얼굴의 잡티는 감추고 화사하게 표현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소프트 라이트를 주로 사용합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이런 부드러운 빛을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디퓨저를 사용하기도 하고 천장이나 벽, 혹은 패널을 통한 반사를 통해 부드러운 빛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즉 subject에 직접 조명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한 번 이상 거쳐서 빛이 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디퓨즈된 빛들은 반사된 부드러운 자연광과 비슷해서 이러한 느낌을 내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3-2 HARD LIGHT

하드 라이트는 그림자의 끝이 딱 떨어지고 경계가 명확하게 형성됩니다.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하드 라이트는 피사체에 직접적으로 강하게 비추면 이런 느낌을 만들 수 있는데 이렇게 대상을 조명하면 반대편에 그림자가 강하게 생기죠. 

카메라 조명 위치 - kamela jomyeong wichi

이렇게 밝고 어두운 면의 대비를 강하게 줘서 장면을 강조할 수 있고 피사체의 감정을 더 강하게 표현할 수 있죠. 만약 헬스 관련 촬영을 할 때는 근육질 몸을 더 강조해서, 즉 데피니션을 제대로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hard 라이트를 사용하면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