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 재활 워크 북 pdf - inji jaehwal wokeu bug pdf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목적: 본 증례는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로 진단 받은 아동의 인지기능 발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생후 15개월에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로 진단 받아 재활의학과로 의뢰되었고, 생후 15개월부터 45개월까지 본 기관과 다른 기관에서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을 지속하여 받았다.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을 확인하기 위해 생후 15개월, 21개월, 26개월, 28개월, 42개월에 시행된 덴버발달선별검사Ⅱ와 생후 33개월에 시행된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Ⅱ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덴버발달선별검사Ⅱ 결과, 개인사회성영역에서 생후 15개월, 21개월, 26개월에 정상, 38개월에 의심스러운 발달, 42개월에 정상을 보였고, 미세운동적응영역에서 생후 15개월, 21개월, 26개월, 38개월, 42개월에 정상을 보였다. 언어영역에서 생후 15개월, 21개월에 정상을 보였으나 26개월, 38개월, 42개월에는 의심스러운 발달을 보였다. 생후 33개월에 시행된 베일리영유아발달검사Ⅱ에서 정신 발달연령 26개월, 정신발달지수 78점으로 정신영역에서 약간 지연을 보였다.
결론: 본 증례를 통해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 아동에게서 인지기능 발달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척수근육위축증 유형Ⅱ 아동에게 운동기능을 위한 평가와 치료적 접근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발달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와 치료적 접근도 중요한 중재라는 것을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port wa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development on spinal muscular atrophy typeⅡ(SMAⅡ).
Methods: The subject was diagnosed with SMAⅡ at 15 months and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Rehabilitation Medicine. From 15 to 45 months, he was participated in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speech therapy at many institutions. He was evaluated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Ⅱ(DDSTⅡ) at 15, 21, 26, 28, and 42 months and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at 33 months.
Results: The results of personal-social on DDSTⅡ were normal at 15, 21, and 26 months, suspicious development at 38 months, and normal at 42 months. The results of fine motor-adaptive on DDSTⅡ were normal at all age. The results of language on DDSTⅡ were normal at 15 and 21 months, but suspicious development at 26, 38, and 42 months. The results of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I at 33 months was mildly delayed performance on mental scale.
Conclusion: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cognitive developmental delay may occur in child with SMAⅡ. We suggest that not only evaluation and therapeutic approaches for motor function but also cognitive development are important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SMAⅡ.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실시한 원격건강관리 기반 라이프스타일 개선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건강행위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례 연구(case-study)로써, 74세인 남성 노인에게 8주 동안 매일 취침 전 30분 동안 원격건강관리 기반 라이프스타일 개선 프로그램(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음주에 대한 전화 상담)을 실시하고 인지기능, 건강행위와 우울감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는 치매 선별용 간이 정신상태검사(MMSE-DS), 한글판 건강증진 생활양식 프로파일(K-HELP)과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S-GDS)을 시행하였다.
결과: 원격건강관리 기반 라이프스타일 개선 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의 MMSE-DS 점수와 K-HELP 점수는 증가하였고, 우울감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원격건강관리 기반 라이프스타일 개선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건강행위와 정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elehealth-based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on cognition, health behavior and emo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This case-study included pre-test and post-test. The elderly man aged 74 did telehealth-based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for 30 minutes before bedtime every day(counseling on exercise, stress management, and drinking via a phone call). The pre-test and post-test was conducted tracking test for evaluating cognition, health behavior and emotion of MMES-DS, K-HELP and S-GDS.
Results: After implementing the telehealth-based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the subjects' MMSE-DS scores and K-HELP scores increased, and their feelings of depression decreased.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n 8-week telehealth-based lifestyle improvement program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cognition health behavior and emotion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자와 개발자를 위해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가이드라인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의 질을 높이고, 연구개발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하며, 임상현장에서는 효과적인 시스템 선택과 성공적인 적용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본론: 가상현실 재활시스템이나 인지재활에 대한 연구 또는 임상적 경험을 갖춘 전문가 11명이 가이드라인 항목 도출을 위한 전문가 집단으로 참여하였다.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기존 제품을 분석하였으며 가상 현실 인지재활과 관련된 작업치료 이론 및 컴퓨터기반 인지재활시스템 가이드 라인을 분석하여 필수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집단을 통해 항목의 접합성 평가를 두 차례에 실시하여 최종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 필수 항목 20개를 도출하였다.
결론: 가상현실 인지재활시스템은 환자의 능동적 참여, 동기와 흥미, 몰입감을 이끌어야 하고, 치료실에서 현실 상황을 재현하여 현실감있는 콘텐츠를 제시해야 한다. 사용성의 측면에서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uidelines for system development for researchers and developers who develop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s. Thi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by presenting guideline items through systematic research, to minimize errors in the R&D process, and to guide effective system selection and successful application in the clinical field.
Research Method: 11 experts with clinical experience or research on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system or cognitive rehabilitation participated as an expert group for deriving guideline items. Essential items were derived by examin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nalyzing existing products, and analyzing occupational therapy theory and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guidelines related to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Afterwards, through the expert group, the applicability of the items was evaluated twice, and 20 essential items for the final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were derived.
Result: The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should lead the patient's active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rest, and commitment, and present realistic contents by reproducing the real situation in the treatment room. In terms of usability, anyone should be able to use it easily and it hav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물체크기와 형태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다양한 형태의 손 집기 힘과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물체 형태에 따른 손 집기 힘 변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단면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로 2021년 2월 17일부터 4월 17일까지 실시되었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16명의 뇌졸중 환자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평가 자료는 4가지의 형태가 다른 물체에 대한 집기 힘 측정치와 뇌졸중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 점수, 한국판수정된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점수였다.
결과: 4가지 형태의 물체에 대한 집기 힘 측정치 중 페그(12mm×20mm)와 판넬(25mm×18mm)을 집는 힘은 K-MBI와 중등도 수준의 유의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p<.05). K-MBI와 상관성이 유의한 두 형태 중 페그(12mm×20mm)는 K-MBI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dj.R2=.292, p<.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너비가 가장 넓은 페그(12mm×20mm)를 집는 힘이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손 집기 검사에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체를 구분하여 집기 기능을 평가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손 집기 형태의 검사 결과는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types of pinch force,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object size and shape. In addition, we tried to identify the variables of pinch force that affect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AD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7 to April 17, 2021 as a cross-sectional study.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16 stroke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the pinch force of four types of objects, the Manual Function Test(MFT) scores, and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scores.
Results: Among the pinch forces on the four types of objects, the pinch forces on the peg (12mm×20mm) and the panel (25mm×18mm) had a moderat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MBI (p<.05). We confirmed that the peg (12mm×20m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MBI (adj.R2=.292, p<.05).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ce to pinch the widest peg (12mm×20m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D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inch force for objec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in the hand pinch test of stroke patients. In addition, the test results of various types of pinch can be used as a variable to predict the level of AD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