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 한자 종류 - hye hanja jonglyu

일일성어(一日成語)-912 酒 果 脯 醯 (주과포혜)

酒 果 脯 醯 (주과포혜)

【한자】 술 주 / 과실 과 / 포 포 / 식혜 혜

【의미】 술과 과일과 포와 식혜라는 뜻으로, 제사상에 간소하게 차린 제물을 이르는 말.

【字意】
◎ 酒(주) 항아리[酉] 속의 액체[水]로 ‘술’의 의미 도출한 것으로 보거나, 발효시켜 만든 음식[酉]의 한 종류로 ‘술’의 의미로 봄.
◎ 果(과) 나뭇가지에 달린 열매의 모양에서 ‘과실’ 생성. 후에 맺어진 결과물의 의미에서 ‘결과’의 뜻 파생.
◎ 脯(포) 저미어 말린 고기인 ‘포’의 의미. ‘甫(보)’는 발음 역할.
◎ 醯(혜) 죽에 술을 섞어 만든 ‘초’의 의미에서 ‘鬻(죽)’의 생략형에 ‘酉[술]’과 ‘皿[용기]’를 결합해 만듦. ‘식혜’의 의미로도 사용됨.


혜화리? 혜, 화, 리 의 의미! 신발박사 웅박사!

안녕하세요.

닥터's 스페이스 W의

신발박사 웅박사 이웅섭입니다.

오늘은 신발의 종류 중에서 한국 신발로 등장하는

혜, 화, 리 중 그 첫번째

혜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혜는 한자로 "가죽신 혜(鞋)"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혜"라고 하는 한자가 가죽신을 가르키는 것이죠.

한자는 가죽을 이르는 가죽 혁(革)을 사용하는 한자입니다만

꼭 가죽을 사용한 신 만을 이르는 것은 아닙니다.

혜라는 말이 발목이 낮은 신발을 총칭하는 것으로

발목까지 올라오는 신의 목이 없는 "신"을 총칭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죽신 따위의 목이 없는 신발들의 이름에 "혜"를 붙여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가죽 소재를 사용한 신을 혜라고 부르는 것이 더욱 맞는 것 같습니다.

혜를 사용한 신의 종류에는

흑피혜, 태사혜, 당혜 등이 있습니다.

흑피혜(黑皮鞋)는 검은색 가죽을 사용한 신 이라는 뜻입니다.

흑피혜 (출처 : naver지식백과 e뮤지엄)

부녀자가 신덧 갖신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사진과 같이 목이 없는 신을 이야기합니다.

여성이 상중일 때 신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태사혜(太史鞋)는 남자가 신던 신의 한 종류입니다.

혜 한자 종류 - hye hanja jonglyu

태사혜 (출처 : naver지식백과 e뮤지엄)

태사혜는 사대부나 양반 계급의 쉽게 말해 좀 산다 하는 남성이 신는 신발입니다.

좋은 가죽을 사용하고 무늬까지 넣었습니다.

당혜(唐鞋)는 여성이 신었던 신발의 한 종류 입니다.

당혜 (출처: naver지식백과 e뮤지엄)

당혜는 부녀자가 신었던 신을 말합니다.

당나라 당(唐)의 한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당초(唐草) 모양을 신에 놓아 만든 것으로 당혜라고 불르고 있습니다.

보통 양갓집 부녀자가 신었던 신발입니다.

그 외 구름무늬를 새긴 여자용 신 운혜(雲鞋)나

다양한 무늬로 수 놓은 수혜(繡鞋) 등이 있습니다.

시종들은 이러한 가죽이나 비단 신을 신지 못하고 짚신을 신고 있었습니다.

영화를 자세히 봐야 겠지만

영화 "최종병기 활"에서 나왔던 오라비가 여주인공(문채원)에게 주었던

신이 당혜나 운혜 중 하나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화(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http://coc2695.blog.me/221020449485

오늘 학습할 한자는 '지혜 ' 입니다.

'혜안(慧眼), 혜성(慧聖), 지혜(智慧)' 등에 사용되는 글자 입니다.

慧는 형성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로

'지혜 慧 혜 = 빗자루 彗 혜 + 마음 心 심' 입니다.

'빗자루 彗 혜'는 청소 도구인 빗자루, 비 를 나타내는 회의 글자로 손에 갈대나 싸리를 묶어서 만든 빗자루를 들고있는 것을 나타내는 글자 입니다.

' 마음 心 심'은 마음을 나타내는 부수글자 입니다.

그래서 빗자루와 마음이 결합하여 '지혜 慧 혜'를 만들어 낸 것인데

그 뜻은 빗자루()로 티끌을 쓸어내듯이 욕심을 쓸어내어 마음()비우참된 '지혜'가 우러난다. 지혜로우니 세상의 이치에 '밝다, 총명하다'의 뜻입니다.

즉 빗자루로 청소하듯 마음을 청소하면 지혜가 나온다는 뜻깊은 글자 입니다. 

마음이 어수선하면 주위를 정리하기도 하고 안하던 청소도 하는데 그렇게 주위를 정리하시거나 차분히 앉아서 마음을 정돈 하시면서 '지혜 慧 혜'를 연상하시면 쉽게 파지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