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아래 명령어로 hosts 파일을 편집툴로 엽니다.

$ sudo vi /etc/hosts

파일 내용을 수정 후, ESC를 누르고 "Shift + :"을 누르고 qw 입력 후 enter 를 누르면 저장이 됩니다.

127.0.0.1       localhost
255.255.255.255 broadcasthost
::1             localhost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으로캐시를 갱신하면, 수정한 호스트 파일이 바로 적용됩니다.

$ dscacheutil -flushcache

hosts란?

hosts

hosts 파일은 운영 체제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컴퓨터 파일이다. 이 hosts 파일은 플레인 텍스트 파일이며 전통적으로 hosts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파일 내용 이 hosts 파일에

ldne.tistory.com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브라우저가 도메인에 해당하는 IP를 찾는 순서

  1. local cache를 검색한다. 
  2. hosts 파일을 검색한다. 
  3. 도메인 네임서버를 검색한다.

hosts 파일의 내용을 변경해서

임의의 url로 접근시 원하는 사이트로 이동시켜보자


hosts 변경하기

1. hosts파일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수정할 수 있다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2. hosts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

cd C:\Windows\System32\drivers\etc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C:\Windows\System32\drivers\etc 로 이동

3. hosts 파일 열기

notepad hosts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notepad hosts 입력후 엔터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hosts 파일 내용

4. hosts 변경하기

-hosts 변경전 도메인에 매핑된 ip 체크해보기

ping [테스트할 도메인 네임]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ping 테스트 결과 네이버의 IP는 125.209.222.142다

네이버(naver.com)의 IP는 125.209.222.142다

-hosts 파일을 수정하여 test.com접속시 naver.com로 이동하도록 해보자

[도메인과 매핑될 IP] [IP와 매핑될 도메인]

hosts 파일에 아래내용을 추가해준다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test.com으로 접근시 125.209.222.142로 이동시킨다

위내용을 작성후 저장한뒤 ping 테스트를 다시 해본다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임의의 url을 네이버로 가도록 매핑완료했다

브라우저 접속테스트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test.com 으로 접근시 네이버로 이동 완료

hosts 파일을 변경해도 적용되지 않는 경우

1. cmd -> ipconfig/flushdns 해준다

ipconfig/flushdns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ipconfig/flushdns

2. 크롬dns 클리어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크롬에서  chrome://net-internals/#dns 으로 접속후 Clear host cache 클릭

1.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이유

  • 여러 서버를 묶어서 클러스터링 하는 경우 ip를 hosts 파일에 host이름으로 등록하여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연동 및 클러스터링 할 서버를 ip로 사용하여도 좋으나 관련 서버가 많아질 경우 어떤 서버인지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 서버와 연동을 할 경우에도 ip가 아닌 hosts이름을 통해 편하게 연동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카프카 클러스터링 설정]
spring.kafka.producer.bootstrap-servers=121.134.88.100:2023,121.134.88.101:2023,121.134.88.102:2023 

[hosts 파일 설정 후 카프카 클러스터링 설정]
spring.kafka.producer.bootstrap-servers=kafka_1:2023,kafka_2:2024,kafka_3:2023
[Spring Boot DB연동]
spring.datasource.hikari.jdbc-url=jdbc:log4jdbc:mysql://221.223.200.145:14033/db?useSSL=false&amp&serverTimezone=UTC

[hosts 파일 설정 후 Spring Boot DB연동]
spring.datasource.hikari.jdbc-url=jdbc:log4jdbc:mysql://DB1_server:14033/db?useSSL=false&amp&serverTimezone=UTC

2. hosts 파일 수정

hosts파일의 경로는 리눅스 기준으로는 "/etc/hosts" 윈도우 기준으로는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에 존재합니다.

1. Linux

[1. hosts 파일 수정]
# sudo vi /etc/hosts

127.0.0.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4 localhost4.localdomain4
::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6 localhost6.localdomain6

1.1.1.1     net #cloudflare host 등록


[2. 등록한 host ping test]
# ping net -c 5
PING net (1.1.1.1)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net (1.1.1.1): icmp_seq=1 ttl=57 time=9.77 ms
64 bytes from net (1.1.1.1): icmp_seq=2 ttl=57 time=8.76 ms
64 bytes from net (1.1.1.1): icmp_seq=3 ttl=57 time=6.48 ms
64 bytes from net (1.1.1.1): icmp_seq=4 ttl=57 time=7.18 ms
64 bytes from net (1.1.1.1): icmp_seq=5 ttl=57 time=5.50 ms

--- net ping statistics ---
5 packets transmitted, 5 received, 0% packet loss, time 4018ms
rtt min/avg/max/mdev = 5.504/7.542/9.778/1.546 ms

2. Windows

1.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메모장 관리자 권한 실행

2. 파일 - 열기를 이용해 hosts파일을 열어줍니다.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
hosts 파일 열기

3. 테스트 용으로 다음과 같이 작성하고 ping 테스트를 해봅니다. 

Hosts 파일 수정 후 적용 - Hosts pail sujeong hu jeog-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