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메일 아이디 - hoesa meil aidi

커뮤니티 게시판 : 아주 기본적인 네티켓만 지킨다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커뮤니티 게시판입니다. 포럼에서 다루는 주제는 각각의 포럼 게시판을 우선 이용해 주시고, 민감한 소재는 비공개 게시판이나 수상한 게시판에, 홍보는 홍보/외부 사용기 게시판에 써 주세요. 질문은 포럼 게시판의 질문/토론 카테고리를 사용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번호분류제목글쓴이날짜조회 수공지148583415755834057058339978583381052583376715833610515833575458334638583334565833210035833182158330607583291172583285585832786158326930583256595832416095832342458322752»91155832059258319493583182040583176185831682558315671583147315831374258312731

공지사항        사이트 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신고와 건의


기글하드웨어는 2006년 6월 28일에 개설된 컴퓨터, 하드웨어, 모바일, 스마트폰, 게임, 소프트웨어, 디지털 카메라 관련 뉴스와 정보, 사용기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개인 및 단체의 권리 침해, 사이트 운영, 관리, 제휴와 광고 관련 문의는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회사 메일 아이디 - hoesa meil aidi

회사 메일 아이디 - hoesa meil aidi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X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이제는 누구나 명함을 받으면 주소 및 전화번호와 함께 e메일 주소를 적고 있다. 명실공히 명함의 한자리를 차지, 이름과 함께 사이버 공간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대명사로 자리잡고 있다. 하루 24시간이 모자랄 정도로 바쁜 인터넷업체 CEO들은 때론 휴대전화보다 e메일이 더 빠른 답변을 받을 수 있는 의사소통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루에 받는 메일만 적게는 수십 여 통에서 많게는 수백 통에 이른다.

최소 3글자에서 최대 16글자까지 다양하게 자신이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는 e메일 ID. 그렇다면 국내의 내로라 하는 IT 및 인터넷업체 CEO들은 어떤 e메일 주소를 사용하고 있을까.

대부분의 CEO들은 자신의 이름이나 이니셜을 딴 e메일 주소를 이용하고 있다. 이른바 ‘평범형’이다. 혹은 회사 이름을 그대로 e메일 ID로 활용하는 ‘애사형(愛社型)’도 있다. 또한 20∼30대 젊은 CEO들은 톡톡 튀는 e메일 아이디로 자신의 특성과 개성을 나타내는 ‘개성파’ 유형들도 있다.

평범형

포털업체 다음의 이재웅 사장은 이름의 이니셜을 딴 ‘jwlee’를, 라이코스코리아의 가종현 사장은 ‘jkah’, 피코소프트의 유주한 사장은 ‘jhyoo’, 안철수연구소의 안철수 사장도 성과 이름의 첫글자를 딴 ‘cahn’이라는 평범한 e메일 ID를 갖고 있다.

전자상거래 솔루션 업체인 아이커머스코리아의 유완선 사장은 이름을 딴 ‘wansun’을, 유니텔의 강세호 사장은 성과 이름 전체인 ‘kangseho’라는 아이디를 만들었으며, 컴투스의 박지영 사장은 이름의 마지막 글자만 딴 ‘young’을, 나모인터랙티브의 김흥준 공동대표도 ‘joon’을 사용하고 있다. 나모의 박흥호 사장도 성과 이름의 마지막 글자를 딴 ‘hopark’인데 한글로 읽으면 ‘호박’이 되는 재미있는 ID를 사용하고 있다.

보스형

자신이 CEO임을 메일 ID에서 과시하는 보스 과시형도 있다. 이른바 ‘CEO’, ‘presi dent’를 메일 ID로 사용하는 경우다. 인터넷서점 알라딘의 조유식 사장, 아이엔터의 조재천 사장, 플러스기술의 정환만 사장 등은 ‘CEO’를, 위키커뮤니케이션의 위기복 사장은 ‘president’를 ID로 사용하고 있다.

스포츠앤컴퍼니의 공일진 사장, 유니어스의 한승준 사장은 아예 ‘boss’를 메일 ID로 사용하는 전형적인 보스 과시형이다. 이에 대해 공사장은 “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장을 보스로 칭한다. 이와 달리 국내에서는 위화감 조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이 현실이지만 조폭(?)의 보스가 아닌 직원들과 오히려 친근감을 표시하기 위해 반어적인 뜻에서 사용했다”고 말했다.

또 (주)클릭 강기천 대표의 ID인 ‘kan’도 유사한 의미. 몽골제국의 왕(王)을 뜻하는 ‘칸’을 ID로 사용하고 있다.

애사형(愛社型)

회사명을 그대로 자신의 메일 ID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른바 회사 사랑형 또는 애사형이다.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인 네띠앙 홍윤선 사장의 ID는 ‘neonetian’. 이에 대해 홍사장은 “지난 해 네띠앙 사장으로 취임하면서 새로운 네띠앙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담고 새로운이라는 의미의 네오를 덧붙인 네오네띠앙으로 작명했다”고 설명한다. 어린이용품 인터넷 쇼핑몰인 쌩스넷의 김찬웅 사장은 사명을 그대로 따서 ‘thnksnet’이라고 지었으며, 군사관련 인터넷 방송국 이엠캐스트의 김정웅 사장도 ‘emcast’를 본인의 ID로 사용 중이다.

개성 과시형

오세오닷컴 최용석 대표 변호사의 ID는 ‘kalkali’. 특수부 검사 출신으로 사건을 맡으면 끝까지 명확하게 처리하고, 웃을 때 특이하게도 ‘칼칼칼’ 웃는다고 해 직원이 지어준 e메일 ID다. 특수부 검사 출신과 사정(司正)의 칼, 어딘지 궁합이 맞는 ID다.

PC통신에서 메가 포털로 변신 중인 채널아이 박영수 사장의 e메일 ID는 ‘anda’. 우리 말로 그냥 ‘안다’이다. 그런데 직원 중 한 사람의 아이디가 ‘morunda’여서 더욱 재미있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PC통신 나우누리 문용식 총괄이사의 e메일 ID는 ‘greenmoon’이며, 한글 ID는 ‘자연인’으로 자연이라는 이미지를 ID에 계속 사용하고 있다. 싱글들의 커뮤니티 사이트인 세이클럽의 형용준 사장은 ‘ricola’라는 ID를 이용하고 있다. 이 ID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사탕의 이름인 동시에 형사장의 동생이 운영하는 회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이름을 딴 것이다. 드림커뮤니케이션 이지선 사장의 메일 ID는 ‘easysun’인데, 자신의 이름과 영문 발음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경우다.

인터넷 카드 레떼컴의 김경익 사장은 ‘dreamer’. “벤처기업가는 꿈을 꾸고 그것을 실현하는 사람”이라고 주장하는 김사장은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레떼컴 설립 때부터 사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웹 에이전시 전문업체인 디자인스톰의 손정숙 사장은 ‘askshon’을 사용하고 있는데, 웹 비즈니스에 관한 ‘무엇이든지 물어 보세요’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웹 비즈니스에 관한 것이라면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해결해 주겠다는, 은근히 자부심을 나타내는 형이다.

이밖에 야구 게임 사이트를 운영 중인 골드 스포츠의 야구 해설가 하일성씨의 ID는 이름과 야구 베이스를 합성한 ‘hisbase’. 야구에서 주자가 베이스를 밝으면 아웃되지 않듯이 자신의 베이스를 지키면 사업도 번성한다는 뜻도 함축하고 있다고 했다.

영문 애칭형

자신의 영문 닉네임인 애칭을 ID로 사용하기도 한다. 다함인터넷의 김형태 사장은 ‘tommy’를, 카오스트레이드의 김웅범 사장은 ‘eddykeem’을, 인터넷컨설팅그룹의 김상우 사장은 ‘bean’을 사용하고 있다.

이밖에 자신의 전문직업을 나타내는 ‘직업 노출형’도 있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각종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을 개발하는 오스템 최옥규 사장의 e메일 ID는 ‘dentist’. 최사장은 서울대 치대를 졸업하고 치과의사로 활약하면서 벤처기업가로 변신한 경우다.

회사 메일 아이디 - hoesa meil aidi

guest

  • 쪽지 보내기

guest

5년 이상 전 0 추천 즐겨 찾기 29개의 답변 조회수 8407

일단 보통은 홍길동이면 gildong.hong(or gildonghong)@xxx.com

아니면 gd.hong(or gdhong)@xxx.com 정도를 많이 사용할텐데요

다들 회사 사내 메일 규칙이 어떻게들 되시나요??

점도 넣는지 뭐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요샌 풀네임으로 적을 경우 성 이름 구분을 위해 점을 많이 사용하는듯 합니다. 이름을 약자로 적을 때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2017-07-24(월) 22:45:58에 작성 되었습니다. 2017-08-18(금) 04:55:28에 수정 되었습니다
본문 내용이 처음 작성된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