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 �ƹ����� �Ҹ��� ����ũ���׽��� ȣ���� ������ ������ �ð����� �ִ� ���̶�� �����Ͽ���. ���� ���� ������� ������ ���ؼ� ȣ���� ���� ��Ҹ� �����ϰ� ������ �̻�ȭź�Ҹ� �����ϴ� ������ ��ȯ�̶�� ���� ��������. ���� ȣ�� �����̾߱⡯������ ������ �¾�鼭���� ���� �ʰ� ���ϴ� ������ ���� �߿��� ���̶�� �Ұ��Ǿ��µ� �� �̿� ���� �ʴ�. �¿� �� ���� �׻� �˳����� ������ �ְ� ���忡�� ������ ���� ���� �з��� �ε巴�� ��ȭ��Ű��, ������ ���ڱ� ��ģ ���� �Ǹ� ���������� ����� ó��, ������ �� ������ �� �󸶳� ������ �ɷ��� ��ġ�� �̿��� �Ǽ��� ���ξȴ� ������ ���ΰ�?

�츮 ������ �¿쿡 �� ���� �� ������ �丷�� �ο��� ������ ä��� ������� ���ؼ� �ܰ�� �����ϰ� ������ ���� ���׻����� ������ȯ�� �ϰ� �ִ�. �� ���� ���� ��Ҹ� ���� ������ �޾Ƶ��̰� �츮 ���� Ȱ������ ���� ������ �̻�ȭź�Ҹ� ���� ������ �������� ���� �Ѵ�.

������� ��������ó�� ���� ���þ����鼭 ������� �� �� 10��25�� ��������. ���� ������ ������ ������ȯ�� �̷������ ���ε� ����������� �Ѵ�. �Ƹ� �ʵ��б� �������� �����IJʸ������ ����� ����� �ִµ� �� ģ���� �츮���� �� ����. ������ ������ 0.1��0.2mm ������ �ٰ��� �ָӴ� ����� ���⳶�ε� ���� ���� �������� �Ź���ó�� �����־ ����� ���׻����� ������ȯ�� �̷������. �� �� 3�� �� ������ ������ �ְ� ���ļ� �캸�� ������ 100m2 �� �ȴ�. �ǰ��� �� �� �������� �츮 ���� ǥ�������� 50�質 ������ �״Ͻ���Ʈ�� ���������� �ȴٰ� �Ѵ�. ȣ���ⱸ���� ������ �����ϸ� ������ ����. ������ �ٱⰡ ���, ������ �����, �޸� ���� ������� ������ ���� �ȴ�. �׷��� ���������� ���� �ְ� �������� ���� ���� ���̸� ���������� ���ڸ� �����ٵ� �������� ���� ���̴�.

��� ���������� ��ü �� ������ �ǰ� ������ �ɷ�����, �ܺ������� ����� ���� �����ϰ� �ֱ� ������ ��ü�ۿ� �ִ� ��⿡�� ������ ��ģ��. ���� �������� ���� ��ȯ�� ����� ���ɼ��� ���� ��ü�� �κ��̱⵵ �ϴ�. �׷��� �켱 �ܺ��� �������� ���� ������ �ɸ��� ��� ������ ���� ������ ���� ����, �������, ��� ���� �Ǵ� ���̸�, �˷����⸦ ����Ű�� ������ ����Ǹ� õ��, ���μ� ���忰 ���� �����. ���� ���ٱ��� �ẹ�� �ִٰ� ���� ����Ű�� ���� ��Ұ� �DZ⵵ �Ѵ�. ����, ���� ���� �߾Ϲ����� ��������� ����Ǿ��� �� �� �丷�� ���� ����Ű�⵵ �Ѵ�. û�ҳ� �� ���� ���� �α��� ������ �Բ� ��ϵ� ������ �ӵ��� �����ϰ� �־� �� 1���� ������ �������� �� ����. �ֱٿ��� ��ȸ������ �����λ���� ��½ ������� ������ �ϰ� �־ �Ž����� Ÿ�� �ִ�. ������ ������ �˻������δ� ���� ������ �� �� ���ٴ� �� �ְ�, C.T. ��ĵ ���� �̿��� ���� ������ ���� ������ ���� ����ǰ� �ִ�. ���������δ� ���� �ٸ� ���� ���� ���� �Ǹ� Ÿ�� �� �ͼ� �ظ� ��ġ�µ� ������, ���� ���̾�, ������ ���� ��ǥ���� ���̴�.

�� ���ϰ� ����� ��ǥ���� ������ ��踦 �ǿ�� ���̴�. ���� �� ���� ��� ����� ������ �־ ���Ӿ��� �ܺηκ����� ħ���� �����ϰ� ������ ��踦 �ǿ��� ������ ���⸦ �����, ������ ��������� �׾߸��� ��ü���� ����ȭ��ų �� �ƴ϶� ���� ������ �ı����Ѽ� 3�� ���� �Ǵ� ������ ����� ���ϰ� �Ǵ� ������� ����� �ȴ�. ���� ����� �߻����� �� 90% �̻��� ��迬�� ���� �߾Ϲ����� ���ؼ� �߻��Ѵ�.

���̰� ���� ���� ���� �̿� �������� ���� �������� �� �ľ�� �� ����� �������µ�, ������ �׸��� �ϳ� �Ұ��Ѵ�.

��Ģ������ ��Ⱓ �����ϰ� ����� ���⿡ �ΰ��� ����� ������ �޼ӵ��� �����ؼ� ���� �ؼ�, õ�ĺ����� �˷��� ������⼺ ����ȯ�� �ɸ��� ���� ���� �����ϰ� �ȴ�. ���� �������� 45���� ��� ���� ���� ��踦 ������ �����κ��ٴ� ������ ���ҵǾ� ������ ���� �������� �ӵ��� �����ΰ� ����ؼ� ���� �ϻ��Ȱ���� ū ��� ���� ����� ���� �� �ְ� �ȴ�.

��Ȱ���� ���� �˻縦 ���ؼ� �����Ǹ� �ڽ��� ��Ȱ�� ��ġ�� �� �ѹ��� �˻��ؼ� �˾Ƶ� �ʿ䰡 �ִ�. �� �����ϱ� ������ ���븦 ��ư��� �츮�� ����, ����, �ݷ����׷�, ��Ȱ�� ��ġ �� �� �� ������ ����� ��ġ�� �ִ�. Ư�� ��Ȱ�� ��ġ �߿��� 1�ʿ� ������ ��Ȱ���� ���� �߿��ѵ� �� ��ġ�� ���� ����� ���� �� ������� ���� ������ ���谡 �ִ�.

�� ���ϰ� �ܷý�Ű�� ����� ������ õõ�� �޸���, ������ �ȱ�, ���� ���� ����� ��� �ϸ� ȣ���� �����ϴ� �ý����� ��Ȱ�ϰ� �����̰� �Ǿ� ��Ȱ���� ���� �� �ִ�. ��� ��� �ִ��� �غ��� ���� �Ѱ躸�ٴ� �����̳� ������ �Ѱ� ������ ��� �Ѱ踦 ������ ��찡 �ξ� ����. �׸�ŭ ��� ������ ������ �ִ� ���̱� �����̴�.

(참고로, 폐는 임신 후반기, 가장 나중에 성숙되는 장기 입니다. 그래서 38주를 채우지 못하고 일찍 태어난 미숙아들은 폐가 제대로 성숙되지 못한채 태어나 , 폐 기능이 좋지 못합나디.

특히, 허파표면 활성제가 제대로 생성이 안되었을경우, 심각한 문제가 초래됩니다.

이문제를 해결하는것이 미숙아의 생존, 건강 ,앞으로의 삶에 중요하게 작용하죠)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호흡 운동과 가스 교환

1. 호흡 운동

   폐는 근육이 없어서 스스로 운동을 하지 못하고 늑골과 횡격막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수동 적으로 호흡이 이루어진다.

   (1) 숨을 들이쉴 때(흡기) :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가고 늑골이 위로 올라가면 가슴통(흉강)이 넓어져서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폐가 부풀면서 공기가 폐 속으로 들어온다.
   (2) 숨을 내쉴 때(호기) : 횡격막이 위로 올라가고 늑골이 아래로 내려가면 가슴통이 좁아 져서 기압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폐가 줄어들면서 폐에서 공기
 가 밖으로 빠져나간다.

호흡

횡격막

늑골

가슴통

기압

공기 이동

흡기

아래로

위로

넓어진다

낮아진다

팽창

들어온다

호기

위로

아래로

좁아진다

높아진다

수축

나간다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2. 가스 교환
(1) 폐포에서의 가스 교환
  ① 가스 교환의 원리 : 폐포에서의 가스 교환은 기체의 분압차에 의한 확산 현상에 의
 한다. 확산이란 기체가 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② 폐포에서의 가스 교환 : 모세 혈관 내의 기체 분압과 폐포 내의 기체 분압의 차이에
    의한 확산 현상에 의하여 일어난다.
 ㉠ 산소의 이동 는 신선한 공기가 많기 때문에 산소의 분압이 높고, 모세혈관 내의 혈액은 조직 세포에 산소를 주고 왔으므로 산소의 분압(공기의 압력중 산소가 차지하는 압력 ex)대기의  기압이 10기압일때 산소는 공기중20%를 차지하므로 10기압의 1/5인 2기압)이 낮다. 따라서 산소는 폐포에서 모세 혈관 속으로 확산된다.
㉡ 이산화탄소의 이동 : 폐포 속은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낮고, 모세 혈관의 혈액은
    조직 세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받아 왔으므로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높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는 모세 혈관에서 폐포 속으로확산된다.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2) 외호흡과 내호흡 : 동물의 호흡은 가스 교환이 일어나는 장소에 따라 외호흡과 내호흡으로 나눈다.
 ① 외호흡 :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가스 교환을 외호흡이라고 한다. 외
     외호흡은 호흡 기관에 따라 폐호흡, 아가미 호흡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② 내호흡 : 조직 세포와 모세 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가스 교환으로, 세포 호흡이라고도 한다. 내호흡에서는 모세 혈관에서 세포 속으로 산소가 이동하고, 세포
  에서 모세 혈관 속으로 이산화탄소가 이동한다. 이 때, 세포에서는 산소를
  받아들여 영양소를 산화시킴으로써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이산화탄소와 물, 노폐물 등을 생성한다.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호흡과 에너지

1. 연소와 호흡

   (1) 산화 :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는 것을 산화라고 한다. 연소와 호흡도 산화의 하나이며,생물의 조직 세포에서는 영양소와 산소가 결합하는 산화에 의하여 에너지가 발
     생한다.
   (2) 연소 : 물질이 타면서 빛과 열을 내는 현상으로, 빠른 산화이다.
   (3) 호흡 : 생물의 호흡은 물질이 타면서 에너지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즉, 자동차가 휘발유와 같은 연료를 연소시킬 때 나오는 에너지로 달리는 것처럼 생물은 영양소를 산화시킬 때 나오는 에너지로 살아간다. 이와 같이 생물이 영양소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작용을 호흡이라고 하며, 호흡 기관을 통해 몸 속으로 들
 어온 산소는 혈액에 의하여 조직 세포로 운반되어 호흡에 이용된다. 호흡은 느린
  산화이다.
                 영양소+산소→물+이산화탄소+에너지(낮은 온도)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2. 에너지의 이용

   호흡으로 발생한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1) 열에너지(발열) : 호흡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대부분은 열에너지로 되어 체온을 유지하 는 데 이용된다.
   (2) 화학 에너지(물질의 합성) : 생물이 생장하고 생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물질이 필요한데, 이러한 물질이 몸 속에서 만들어지려면 화학 에너지가 필요하다.
   (3) 기계 에너지(운동, 소리 등) : 동물이 근육을 수축시키는 운동을 하거나 소리를 내려면 기계 에너지가 필요하다.

허파꽈리 가스교환 원리 - heopakkwali gaseugyohwan wonli
 

출처

http://www.google.co.kr/imgres?imgurl=http://middle.edupia.com/SchoolBook/seb/images/2term/smsc1/41331.jpg&imgrefurl=http://middle.edupia.com/SchoolBook/seb/jd_seb_right_body.asp%3FnTerm%3D2%26nYear%3D7%26nConID%3D1546%26nCatID%3D531%26nDaeNumber%3D9&usg=__UKPSreqrnIAaWaZn1SosKJVWHhk=&h=331&w=567&sz=33&hl=ko&start=5&zoom=1&tbnid=gLaYHQZRxRLa6M:&tbnh=78&tbnw=134&ei=38QEUNrlENK0qAHw_6y4CA&prev=/search%3Fq%3D%25ED%258F%2590%25ED%258F%25AC%26hl%3Dko%26newwindow%3D1%26gbv%3D2%26tbm%3Disch&itbs=1

허파가 뭐야?

허파, 폐(肺) 또는 부아(순우리말)는 양서류 이상의 척추동물에게 있는 호흡기 기관이다. 공기 중의 산소를 얻어 혈액에 주공급해고, 혈액이 운반한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이를 가스 교환이라고 부르며 허파꽈리(폐포)에서 이루어진다.

폐는 몇개?

가슴 속에는 크게 가운데에 심장이 있고, 는 오른쪽, 왼쪽에 각각 1개씩 있습니다. 숨을 들이 쉴 때 공기는 코나 입을 통해 들어가서 성대를 지나 "기관"으로 먼저 들어가게 됩니다.

폐는 어느쪽에있나요?

는 가슴 속 공간인 흉강 안에 위치하며, 주변으로 갈비뼈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심장은 흉강의 왼쪽 앞부분에 위치하고 나머지 공간을 폐가 차지하고 있으며, 아래로는 횡격막이 있어 복부의 공간인 복강과 나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