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주 생활문화 - hangug-ui ju saenghwalmunhwa

�츮������ �����ְŹ�ȭ�� �ع�(1945��)�� �ѱ�����(1950��) ���� ��ȸ�� ȥ���� ���繮���� ����, �������� �ź������� �ر��� ���� �پ��� ��ġ����ȸ����������ȭ�� �������� ��ȭ�� �����Ͽ���. �Խ������� ��Ȱ�� �ְ��� ��ɼ� �� �������� �����ϰ� �Ǹ鼭 �ξ��� ȭ����� �dz��� ��ġ�Ǿ���, ��ħ�� �и��� �̷��������, ö�� ��ũ��Ʈ�� ������ ������ �ϴ� �������������� �Ǽ��Ǿ���.
�ؽ��� ������ ���޺����� ���� �츮����� �� 1�� �������� 5���� ��ȹ�� ��ȯ���� 1960��� ��������Ʈ�� �Ǽ��Ͽ���. 1980��� �ٰ��� �� �ټ��� ������ ������ �������� �ŵ��ð����� �ְ�ȯ���� ��ȭ �ε��� ������ ��°� ����Ʈ �νǽð�, ȹ������ �ְŰ��� ���� ���ۿ��� �������� �Ǿ���. 2000��� �ʰ��� �ֻ��� ����Ʈ�� �̸������ ����Ʈ ����ô밡 ���ӵǾ���, �귣��� ���ڰ�ġ���� ������ ���� ��ǰ ����Ʈ�� �Ǽ��� �ֺ� ȯ��� ��︮�� �ʴ� �ְ������� ���к��� �������� ���� ��ȸ�� ������ �ְŰ�ġ���� ��ȭ��Ű�� ��Ⱑ �Ǿ���.
�ֱ��� �߼��� ���Ͽ�¡�� ���� ����ü �ǽ��Ծ��� ���� �ְų� �����ְ� ���� ������ ������ �ְ� �� ģȯ�� �ְŻ�Ȱ��ȭ�� ����, 1-2�� ������ �ܳ��� �����Ͽ콺�� �ұԸ� ���� �� �پ��� �ְ����¿� �Բ� ��췯�� ��ư��� �ֻ�Ȱ ��ȭ â���� ������ �ΰ� �ִ�.

한국의 주 생활문화 - hangug-ui ju saenghwalmunhwa

�츮����� �������� �߱�, ���þ�, ���ʰ� �������� �Ϻ��� ���� �־� ����� ���Ŀ� �ؾ缺 ���ĸ� ��� ������ �ְ�, �ڿ������δ� ����� �ٴٷ� �ѷ��ο� �����鼭 ������ ���� ������ ���� ������ �����Ǿ� �ִ�. �̷� ���� �������� �ֺ��� �ڿ��� ������ ������ �� �ִ� �پ��� �ְ��� ���°� ��Ÿ����.
�츮���� ������ �ְŴ� ����� 1����� û���� �ô뿡 ����Ȱ�� �����ϸ鼭 ������ ���� ������� �����̴�. �����Ϸ� ���� �� �� ��ȭ���� �ʰ� �ϳ��� ������ �̷���� ���� õ���� ¤�� ������ ���� ���� ���� Ư¡�̾���.

���뵵�ñ����� ������ ��ɺ�ȭ�� �����԰� ��ȸ ��޿� ���� �ְ��� ���� ���̰� ���ߴ�. �������� ������� ���ڽ� ��Ȱ�� �ϸ鼭 ȭ�θ� �̿��Ͽ���, ���ΰ��������� ��ٴڿ� ��(��)�̶�� ���ÿµ� ������ �������� ����Ͽ���. ������ ��������� �ߴ��Ͽ���, �Ŷ�� ��������� ������ ���ķ� ���� ����� ���籸���� ����� ��ǰ������ ���� ���������� �־���.

�����ô뿡�� �ź����� �������� ���ΰ� ����� �ְ����¿� ���̰� �־���. �����ְŴ� �밳 �ʰ��� �������� �ϸ鼭 �������� �Ϻ����濡�� �dz��� �±⸦ ��ȣ�ϱ� ���� ���� �� �ִ� �������¿� �µ���, �������濡�� ������ ���� ���� Ȭ�����¿� ���簡 �ߴ��Ͽ���. ���� ���� ȯ�ⱸ�� ������ �վ���� ��ġ�������̳� ������ ������������ ���� �ʿ���, �β��� ������ �Ӳ����� �̾� ������ ���� ������ ���� ���������� ��ǥ�� �����̾���, �︪������ �ܿﵿ���� ������ �������� ���� �������� �־���.

����ְ��� ������ �������� dz�������� �԰��Ͽ� ���õǾ���, ������ �������� ��������, ��������, ������� ���� ���� ������ ������ ���������� �ݿ��Ǿ���. ������������ �⺻���� ��, ���, âȣ���� ������ ���Ǿ��� ä�� ���е� �ǹ��� �빮���� ���ä, ���ä, ��ä�� �̸��� ���� ���Ī���� ��ġ�Ǿ����� �� ä���� ������ �־���. ���ä�� ���翡�� ���� �� �ö� �����簡 �־����� ��������� ���, ������ �����̳� ��ȥ�� ���� ���� ������ �ִ� ��쵵 �־���.

������ �ܵ� ���� ���� ä ������ �������� �޺��� �ݻ籤�� âȣ���� ���� �dz� ���������� �����ϵ��� �Ͽ���, ���翭�� ����ȯ�ۿ��� ���� ����ö �ù濡�� �߿��� ����� �Ͽ���. �µ��� ���� ������ ���ÿ� �̷�������� �ϸ�, �Ʊ����� ���� ������ ���� �γѱ⳪ ������ ���� �ִ��� ���� �ӹ����� �ϸ鼭 ���ҿ� �̹����� ������ �ʵ��� ����� ���ڸ��� ���� ���м��� ���������� ���縦 �ް� �ִ�.

< 한국과 일본의 주생활문화 비교 >

평민의 가옥에서도 벽돌로 짓고 기와를 올린 중국의 것에 비해 짚으로 지붕을 올리고 목재를 주를 이루는 한국 가옥은 오히려 일본 가옥과의 공통점이 더 많아 보인다. 무엇보다 의자 문화인 중국식 주생활에 비해 좌식문화를 공통으로 갖는 한국과 일본의 가옥구조가 더 가까운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기본적인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볏짚으로 잇고 일본은 보릿대로 잇기 때문에 한국은 지붕이 낫고 일본은 지붕의 경사가 심하고 두텁다.

집의 평면도 한국식은 안채와 바깥채로 이뤄지고 일본은 한 채이고 통집식으로 크게 다르다. 한국식은 방과 마루에 방이 더 필요하면 옆으로 붙여 나가는 외연형(外延型)으로 방마다 입구가 별도로 있으며 방과 방 사이의 벽이 두꺼운 것이 특징이다.

이와 달리 일본식은 내열형(內裂型)이란 마치 세포가 분열하듯 속에서 방이 두 개가 세 개로 되며, 밖의 벽이 두껍고 속의 방과 방 사이는 벽이 없거나 있어도 약한 것이다. 따라서 일본은 방과 방을 벽이 아니라 여닫이로 된 문으로 칸을 막는 것이다.

한국 집은 안채와 바깥채로 2동으로 이루어져 이것이 외면에 따라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면 일자집 두 채가 평행선을 이루고, ㄱ자집을 이루면 안마당을 둘러싸는 평면 구조를 이룬다. 이것이 추운 지방이거나 장소가 협소하면 ㅁ자형이 되어 안마당을 완전히 포위한다. 일본 집은 내열형이라 마당을 가운데 둘러쌀 수가 없으며 집이 마당에 둘러싸이는 것이다.

한국 집의 안마당을 말하자면 방의 연장인 생활공간이다. 더운 여름 저녁식사를 하는 곳이고, 모여 앉아 쉬는 곳이며, 결혼식과 같은 중요한 의식을 거행하는 의례의 장이다. 한편 벼를 떨고 말리는 작업의 장이고, 곡식을 널어놓는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곳에 나무나 풀이 있으면 안 된다. 방의 연장이 마루이고 마루의 연장인 앞마당은 한국 집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생활공간인 것이다.

이러한 의미의 마당은 일본 집에는 없다. 그러나 일본 집의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가 마당이다. 이곳에 일본인은 나무.풀은 물론 산, 연꽃, 폭포, 식물 등을 장식하여 소우주를 만드는 것이다. 일본의 관상용 마당이 경제적인 활동과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여도 우주의 신비와 자연의 미를 축소해 놓고 이것을 선좌(禪座)에서 감상하는 것이니 일본인의 자연관을 표현한 것이라 하겠다.

한국 집에는 자연을 조형한 것이 없다. 바깥마당, 마당 구석에 대나무.철쭉 등을 자연스럽게 방치해 둔다. 말하자면 한국인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고 즐길 뿐이다.

한국 집과 일본 집의 근본적인 차이는 온돌과 다다미라 하겠다. 한국은 일본과 동일 위도에 위치하고 있으나, 겨울에 한랭한 서북풍을 많이 받아 추운 겨울을 무사히 나는 것이 문제이다. 여기에서 발달시킨 것이 온돌이다. 일본의 경우 습기가 많아 땅바닥에 방을 내는 것보다 땅과 방 사이를 떼어 통풍을 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본 집은 방바닥 자체가 높고 다다미를 까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유리하다.

온돌방은 밑에서 열을 발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방의 높이가 높은 것보다 낮은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온돌방은 문이 작고 실내가 어두운 편이다. 이와는 달리 일본 방은 온돌방보다 높이가 높고 넓이가 넓다.

다다미방에는 무릎을 꿇고 앉는 것이 안전하고, 두터운 방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온돌방에서는 넓게 다리를 펴고 앉는 것이 유리하며, 방석이 얇은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앉는 자세는 의상에도 영향을 주어 무릎을 꿇는 일본식에는 타이트한 일본 옷이 좋고, 다리를 벌리고 앉는 한국식에는 한복이 더없이 편하다. 더욱이 한 다리를 세우고 앉는 한국 여인에게 한국 치마 이상 편하고 우아한 것이 없다.

방석과 같이 이불도 일본 것이 두껍고 요도 두껍다. 그러나 온돌에서는 너무 이불 요가 두꺼워도 안 되는데, 방이 넓지 못하기 때문에 이불을 개서 별도로 놓을 공간이 없어 장롱 위에 쌓아 올린다. 따라서 이부자리가 장롱과 같이 하나의 장식품화 한다. 장식품이 된 이불과 요는 화려한 색으로 만들어 장롱과 더불어 방의 색조를 더한다. 장롱 또한 한국 방에서는 귀중한 장식품인데, 화려한 자개장은 그 집의 경제적 상태와 주부의 취향을 말해 주는 것이 된다.

일본 방은 넓기 때문에 옷과 이불을 넣는 오시레가 있어 모든 것을 넣고 문을 닫으면 깨끗하다. 일본 방에는 장롱이 필요하지 않다.

온돌에서 파생되는 문화적 특성보다 더 중요하고 흥미로운 것이 방의 사용이다. 한국 집은 앞에서 본 것과 같이 안채와 바깥채가 있고 각각 안채에는 주부가 거처하는 안방이 있으며 바깥채에는 주인 남자가 거처하는 사랑방이 있다. 유교에서 말하는 남녀유별을 한국의 경우 공간적 분리에서 잘 보여 주고 있다.

안방에는 화려한 장롱이 있을 뿐만이 아니라 중요한 가신이 모셔져 있고 집안의 귀중품이 보관되어 있다. 뿐만이 아니라 가장을 제외한 식구가 이곳에서 겨울에 식사를 하고 여가를 즐기는 것이니 서양의 리빙 룸과 같은 역할을 한다.

더욱이 중요한 것은 사랑에 있는 남자도 병이 나면 안방에 들어오고 무엇보다 집안 사람이 죽을 때는 안방에서 죽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때 객사(客死)라고 한다. 이러한 안방을 한국에서 부인이 점유하고 있다는 것은 집안에서 주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말하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에 따라 부인을 안주인이라 부르고 대가에서는 안방마님이라 부른다. 양반집 큰집에서는 안채와 바깥채 사이에 중문을 두어 중문 안에는 남자들이 출입할 수 없는 여자들의 공간을 형성한다.

가장인 남자가 기거하는 사랑방은 바깥채에 위치하고, 크고 화려하지만 손님이 출입하는 곳이라 귀중품을 놓아 둘 수 없다. 안방이 금남의 방인 것 같이 사랑방은 금녀의 방이다. 가장은 이곳에 기

거하며 가족원에게 자주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사랑방 바깥채를 가장의 권위 공간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한국 집에는 가장인 바깥주인이 거처하는 공간과 주부인 안주인이 기거하는 공간이 구별된다. 이것은 한국 가정에 두 권위체계가 있고 이것은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두 권위가 상호 견제하면서 조화를 이루어 가는 한국문화의 법칙을 이곳에서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일본 집은 방이 많아도 주부가 가장과 별도로 누리는 공간이 없기에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약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일본에는 가족의 최상급에 위치한 가장이 갖는 권위 공간이 한국보다 더욱 선명하게 표시되어 있다.

도코노마(객실의 방바닥보다 한층 더 높게 만들어 벽에는 족자를 걸고 바닥에는 꽃꽂이 등을 놓아 장식하는 일본 특유의 가옥 구조)를 가진 지시키(座數)는 성소로서 가보인 칼을 놓거나 족자를 걸어 놓는 도코노마를 갖고 있다. 이 곳에 가장이 기거하면서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은 가장의 절대권을 중심으로 일사불란한 체계를 갖춘 가족문화를 주거공간에서도 잘 보여 주고 있다.

< 중국의 주생활 >

대도시에 사는 중국인들은 대부분 침대에서 생활하며, 신분과 지역에 따라 규모와 모양이 다르나 거의 아파트 건물 위주이다. 직장에서 근무경력, 직위, 근무성적 등에 따라 무료로 배분되므로 주택확보 및 유지에 많은 돈이 들지 않는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주택사정이 매우 심각해 방이 없어서 결혼을 못하기도 하고, 또는 먼저 혼인신고를 한 다음에 직장에서 아파트를 배분해주기를 기다리는 경우가 많다.

현재 도시의 아파트식 중국집은 평수에 비해 많은 방을 만들어 입구에 들어서자 마자 답답한 느낌을 받는다. 그리고 중국의 주택은 자기의 지위나 근무경력이 많아지면 더 넓은 집을 분배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집을 깨끗하게 보수, 유지하지 않는다. 또 주택은 권력과 밀착되어 있으며, 고급 간부들은 넓은 주택이 무조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무료이거나 아주 낮은 집세로 아들·손자에게 권리를 물려주기도 한다. 상해에서는 이런 특권을 박탈하기 위해 91년부터 주택채권제도와 적립금제도를 강제로 실시했으며, 전국적으로도 주택 무상 분배제도가 폐지되었다.

1) 주택 수급 현황

1991년 6월 중국 국무원은 점점 더 열악해지고 있는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전국 450개 대·중·소도시에 대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주택제도 개혁 프로그램을 추진토록 촉구한 바 있다. 개혁의 골자는 기존의 저소득·고축적을 통한 공공주택 공급방식을 이익자부담 원칙하에 주택을 상품화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주택건설상황을 보면 1979년에서 1990년까지 12년간 전국도시지역에 건설된 주택은 15억 ㎡로서 총 2,800억 원의 자금이 투입되었다. 이처럼 대량의 신규주택이 건설, 공급됨에 따라 도시주민 1인당 주거면적은 1979년 3.6㎡에서 1992년에는 7.1㎡로 늘어나 타 국가의 경험에 비추어서 기록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중국의 도시지역 주택수급 사정은 여전히 어려운 상태에 놓여 있으며, 주택제도의 근본적인 해결과는 아직도 거리가 먼 것이 사실이다. 1991년 현재 전체 도시가구의 25%에 해당하는 800만 가구가 집이 없거나 주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1인당 주거면적이 2㎡ 이하인 가구만도 50만 가구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날림으로 지은 아파트여서 붕괴위기를 안고 있는 주택이 5,000만 ㎡, 낡은 간이주택이 6억 ㎡에 달하고 있어 시급히 개축되어야 할 실정이다.

2) 주택개량계획

중국은 8차 5개년계획의 최종년도인 1995년까지 1인당 주거면적을 현재의 7.1㎡에서 7.5㎡. 2000년까지는 8.0㎡로 개선한다는 목표 아래 향후 10년간 매년 1.6억 ㎡(약 660만 호)의 주택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개발계획을 추진하는 데 소요되는 자금은 총 5,000억 원으로 추산되며, 이중 3,000억 원 가량을 정부재정자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주택개혁제도가 주택의 상품화·사유화 방향으로 진전될 경우 기본계획이 달성될 2000년까지는 정부와 단위, 개인간의 주택자금 부담률을 60 : 20 : 20을 유지할 것이나 궁극적으로는 20 : 20 : 60의 비율로 수익자 부담률을 점진적으로 높여갈 것으로 보인다.

주택제도의 개혁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기본방향은 주택임대료 인상과 이에 따른 주택보조금 지급 주택적금제 보장기금제 공공주택과 신축주택의 불하 및 판매 주택조합에 의한 주택건설 촉진 등 다섯 가지로 집약되며, 지역에 따라 한 가지 혹은 두세 가지를 동시에 추진하게 된다.

3) 건축물의 특징

중국은 긴 역사만큼이나 건축물에 있어서도 독특한 양식을 유지해 왔다. 여기에서는 중국 고전 건축물을 중심으로 건축물에 서려있는 중국인의 특성을 알아보도록 한다.

중국 건축물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나라의 건축이 종교건축을 중심으로 발달해온 반면에, 중국건축은 궁전건축을 중심과제로 발달해왔다. 북경의 자금성으로 대표되는 궁전건축은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개개의 건축형식에서나 전체의 배치상태에서나 매우 웅장하고 화려하며 가장 완벽하다. 각종건축을 비롯한 그 밖의 건축물은 대부분 궁전건축을 모방·생략·축소한 것들이다.

두번째는 목조 본위의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명한 만리장성이나 도시와 촌락을 둘러싼 성벽도 건축물에 포함되는데 이런 건축물은 흙이나 벽이나 석재를 주요 건축자재로 이용했다. 그러나 이런 이질적인 재료로 지은 건축물도 대부분 목조 건축양식을 답습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건축은 목조 본위라고 할 수 있다.

세번째로 중국건축은 평면 구성에 있어 매우 단순한 편인데, 대부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고, 그 밖의 복잡한 형태를 갖는 경우는 드물다. 그리고 기둥을 바둑판처럼 질서정연하게 세운다. 기둥의 간격은 정면과 측면을 통일하는 것이 구조상으로도 편리하지만, 실제로는 반드시 그렇게 되어 있지는 않다.

네번째로는 건물들의 배치방식이다. 우선 남쪽에서 북쪽까지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을 설정하고, 주요 건축물은 모두 이 중심축 위에 남향으로 세운다. 주요 건축물과 관련된 부차적 건축물은 각각 주요한 건축물의 앞뜰을 사이에 두고 동쪽과 서쪽에 대칭으로 세운다. 이것을 배전(配殿) 또는 상방(廂房)이라 부르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관련을 가진 건축물들은 모두 복도로 연결된다. 개개의 건축물이 각각 좌우대칭으로 지어진다는 것은 앞에서도 말했지만, 전체의 배치도 역시 좌우대칭을 원칙으로 한다.

다섯째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구조형식으로, 중국건축은 지반 위에 기단을 높이 쌓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으며, 주춧돌 위에 기둥을 세우는 구조형식을 취했다. 기단은 흙으로 쌓지만 주위는 대개 벽돌이나 돌로 둘러싼다. 자금성의 태화전에서 변두리의 초라한 민가도 반드시 밑에 기단을 쌓는다.

여섯째로 지붕형태에 있어서 중국건축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단순한 평면 건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개의 단위 건축물에는 각각 독립된 지붕을 씌우는 것이 원칙이다. 이 지붕의 형태는 맞배·우진각·팔작 지붕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중국 건축에서는 이 3종류의 지붕 밑에 따로 차양을 이어달아 2층 또는 3층 건물로 보이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일곱째는 중국건축의 커다란 특징은 세부의 가시적 수법이 이상할 만큼 발달했다는 것인데, 세부 가운데 건축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처마를 떠받치는 두공이다. 두공은 돌보다 도리에 걸리는 상부의 하중을 집중하여 기둥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특수 구조물로서, 그리이스·로마 건축이나 그밖의 건축에서 볼 수 있는 기둥머리 장식과 비슷하다.

마지막으로 채색장식을 들 수 있는데, 중국건축은 목조 본위이기 때문에 목재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많지만, 이런 노출 부위에 대개 색칠을 한다. 게다가 채색에는 빨강이나 파랑같은 강렬한 원색을 사용한다.

< 한 중 일 집합주택 주호평면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n Housing Unit Plans of Korea, China and Japan

심우갑 Shim, Woo-Gab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공학박사

강상훈 Kang, sang-hoon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과정

조재모 Jo, je-mo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과정

이 논문은 1999년도 두뇌한국21사업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1. 서 론

2차 세계 대전 이후, 주거생활의 근대화 과정으로서, 그리고 도시민의 주택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한·중·일3개국에 도입된 집합주택(본 논문에서 집합주택이라는 용어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아파트 및 이와 유사한 집합형태를 갖는것을 칭한다.)은 지금까지 40-50년의 역사를 지니면서 각국의 대표적인 주택 유형으로 자리잡아왔다. 시기적 차이는 있으나, 한·중·일 3국은 급격한 도시화에 의한 인구집중과 주택난을 겪으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서구에서 도입된 형식인 집합주택을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집합주택은 양적 공급위주의 주택정책에 의한 획일화된 평면, 서구식 주생활 문화와 전통적인 주생활 문화의 충돌이라는 문제를 낳기도 했으나, 자국의 주생활 문화에 적합하게 변형·발전해오면서 각국의 현대 주거문화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주택 유형으로 자리잡았다.

한·중·일 3국은 아시아적 보편성 속에서도 각국의 상이한 문화와 체제, 경제적 발전과정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3국에 정착해온 집합주택 주호평면을 비교·분석하는 것은 각국의 주거문화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것임과 동시에 집합주택을 자국의 사회·경제·문화에 적합하게 변형시킨 방법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이는 집합주택 평면에서 나타나는 우리나라 주거문화의 특징을 확인하는 동시에,과거 획일화된 집합주택 평면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앞으로의 발전방안에 대한 모색의 한 기초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된 한·중·일 3국의 집합주택 주호평면을 비교하여 이에 나타나는 주생활의 특징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3국에서 이루어진 집합주택의변천과정을 돌아보고 최근 10여 년간 건설된 3국의 집합주택 주호평면 사례를 조사하여 각국의 전형적인 평면을 분석하는 동시에, 일정 전용면적의 범위에서의 주호평면의 폭과 깊이, 공통적인 평면 구성요소인 주침실과 그 밖의 침실, 거실, 식당, 주방, 화장실 및 욕실 등에 대하여 면적과 개수의 동일 전용면적대별 비교와 전용면적 변화에 따른 제반 요소의 종속적 변화양상 등 정량적인 비교분석을 행하였다.

2. 한·중·일 집합주택의 시대적 변천사

2.1 한국 집합주택의 변천사

1962년 마포아파트를 기점으로 시작된 아파트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집합주택의 형태이자 주 거형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실험적 모색기라 할 수 있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에 이르는 시기에는 대한주택공사의 설립(1962)과 토지구획정리사업법의 제정(1966) 등, 아파트 개발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간업체의 참여가 본격화되고 아파트 지구가 법제화되는 등, 정부의 주택마련 10개년 계획과 맞물려 대량 공급이 이루어졌다. 이 때에 근린주구론 등의 이론이 단 지계획의 규범으로 확립되어 대규모 주거단지들이 나타났으며, 물량위주의 공급은 단지 및 주 호평면형태의 획일화를 낳기도 했다. 당시의 아파트 생활은 우리식과 서구식이 불안한 상태로 섞여있는 상태였으며, 생활의 중심이 안방에서 거실로 이전하는 시기였다.

1980년대 초반부터 전체 주택 건설량에서 아파트가 단독주택을 상회하는 등 대량 공급이 계속 되는 한편, 아시아선수촌 아파트,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및 목동·고덕·상계 신시가지 등의 몇몇 단지에서 그간의 획일적인 공급에 대한 반성으로 실험적인 시도가 이루어진 사례가 있었 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양적 공급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생활 욕구를 충족시키는 아파트의 상품 경쟁시대에 들어서게 됨에따라, 기술력과 마케팅 능력을 축적시킨 민간업체 주도의 주택 공급체제로 전환하게 되었다(박철수, {서울건축사}, 서울특별시, 1999, p.903.)

2.2 중국 집합주택의 변천사

1949년 이전 중국에는 이렇다 할 주택정책이 없었으나, 중국 경제발전과정의 제1단계(중국의 경제발전과정은 일반적으로 제1단계-전후회복기와 제1차 5개년계획기(1949-1957), 제2단계-대약진기와 경제조정기(1957-1965), 제3단계-문화혁명기(1966-1976), 제4단계-개방기(1977년 이후)로 크게 나눈다. 임길진, 이만형, {사회주의 중국의 주택정책-이념과 현실}, 나남, 1991 참조.)인 '전후회복기와 제1차 5개년 계획기(1949-1957)'에서는 工人주택의 거주조건을 향상하도록하는 목표를 설정하였고, 제2단계인 '대약진기와 경제조정기(1957-1965)'를 거치면서 도시 거주민의 주거환경 개선에 투자하였다. 중국이 집합주택을 보급하게된 요인은 소련의 영향, 소유제의 변화, 사회주의 계획경제 등이며 주택정책의 기본목표는 동등한 수준의 주택을 고르게 배분하려는 것이었다(藤田 忍, [東アジア諸國における都市集合住宅の近代化過程(1)], {住宅總合硏究財團硏究年報} No.21, 1994, p.158.).

1960년대까지 1주호당 연면적의 표준은 36㎡로 제한되어 있었고 6층의 건물이 주종을 이루었 다.(6층 건물이 많은 것은 조적조를 이용하였다는 것과 도시의 인프라가 6층을 기준으로 형성되 어 있었던 것, 그리고 법규상의 유리함이 주된 요인이다. 藤田 忍, 앞의 글, p.158.) 초창기의 집합 주택은 소련의 표준설계를 그대로 도입하였기 때문에 대체로 규모가 큰 편 이 었 다 . 소련에서는 1인당 거주면적을 9㎡로 설정하였는데, 당시 중국의 1인당 거주면적은 대략 4㎡ 수준이어서 무리가 많았으며, 이러한 이유로 소련 모방형의 주택보다는 소규모의 주택을 모색하여 套間形의 주택을 만들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복도 면적을 절약하기 위하여 침실을 통과하여 다른 실로 이동해야하는 불편한 형태의 것이었다.

제3단계인 '문화혁명기(1966-1976)'는 중국 주택정책의 암흑기였으며, 제4단계 '개방기(1977년 이후)'부터 주택정책이 다시 본격적인 정책과제로 부각되어, 주택의 생산성과 상품성을 높이려 는 목표가 수립되었다. 1978년의 '關于加快城市住宅的報告'에서는 1인당 거주면적을 5㎡까 지 확보하도록 하였고 1주호당 연면적은 42㎡ 수준으로 제한하였다. 1970년대 말의 대표적인 주거 유형은 '廳形住宅'이다. 이 당시의 청형주택은 1960년대 중반의 전기청형주택과 구분하여 후기청형주택이라고 부른다. 전기청형주택의 廳은 1주호에 다세대가 함께 살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세대간 완충공간으로서, 현관, 수납공간 등을 겸하는 것이었다. 이에 반하여, 한 주호에 1세대만이 살게된 후기청형주택의 廳은 생활의 주된 공간으 로서 식사,접객 등 구체적인 기능을 갖게되었다.

1985년의 '2000年全國城鎭布局發展戰略要點'에서는 1인당 8㎡의 거주면적을 상정하였고 1 주호당 연면적은 50㎡ 이상으로 설정되었으며, 20층 이상의 고층형 집합주택 건설이 일반화되 어 단위 면적당 주거 밀도는 급격하게 상승하는 추세이다( 姜苑, 한동수 역, [中國高層住居에 관한 小考], {건축사} 246호, 1989.10, 대한건축사협회, p.74 및 趙冠謙, [現代住宅建築發展動向], {城鄕建設}, 1987.8, p.15 참조. ). 주 동의 형태는 타워형의 건물이 비교적 많아져서 다양한 평면형이 시도되고 있으며, 6층 규모의 주택에서는 전후면의 채광 및 환기조건을 양호하게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2.3 일본 집합주택의 변천사

일본의 집합주택 계획도 2차대전 후부터 시작되어 50여년의 역사를 가지며, 이를 3개의 시기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鈴木成文, {現代日本住居論}, 放送大學敎育振興會, 1994, p.9.). 이 3개의 시기는 각각 '전후부흥기(1945- 1955)', '고도성장기(1955-1972)', '저성장기 혹은 안정반성기(1973-현재)'로 각 시기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전후 부흥기에는 전후 악화된 대도시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고를 이용하여 간이주택을 대량으로 건설하기 시작하여, 이것이 公營住宅의 발단이 되었다. 420만호의 전후 주택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시작된 공공에 의한 집합주택은 철근콘크리트조의 집합주택으로 본격화되었으 며, 집합주택의 표준설계가 적용되었다. 표준설계는 건축기술자가 부족한 지방에서도 일정수준 이상의 주택을 대량 공급할 수 있는 방편이자, 주거생활의 근대화를 유도하기 위한 생활지도적 측면이 존재했다(住環境の計劃編輯委員會, {住宅を計劃する}, 彰國社, 1987, p.106.). 당 시 의 대 표 적인 표준설계는 公營住宅의 51C형으로 식침분리, 취침실분리등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재료·설비등의 기준이 통일되고 주호평면계획의 표준설계가 체계화되긴 하였으나, 획일적인 주택건설, 단지계획과의 부조화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고도성장기에는 경제성장으로 인한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주택문제는 더욱 심화되었으며, 1955 년 日本住宅公團의 설립을 계기로 본격적인 대규모 주택단지의 건설을 보게되어, 수천 호(戶) 단지나 인구 10만을 수용하는 뉴타운 건설도 시작되었다. 1966년부터는 제1기 주택건설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5개년을 단위로 하는 주택공급정책이 진행되었으며, 시급한 주택난을 해소하 는 것을 기본목표로 1세대 1주택의 실현, 1인 1실의 규모를 유지하는 주택건설 등이 주택건설 의 목표가 되었다. 주택의 표준설계는 住宅公團에서 이어받아 nK형 혹은 nDK형 등으로 불리 는 주호타입을 이른바 '型系列'로 정리하였다. 이는 주택수요자를 유형화하여 이에 대한 주호 유형을 개발한 것으로, 물량위주의 공급과 병행되었다. 또한 단지계획기법상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늘날 단지계획의 기초가 되고 있다.

1960년대 말부터는 도심재개발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었는데, 그 결과 고층, 중복도형, 남북축의 주동이 많이 채택되고 주거밀도가 고밀도화됨에 따라 자연히 거대성, 획일성, 좁은 주호폭과 개 구부의 폭, 방위의 무시, 일조시간의 결여 등 주거상의 문제점 및 주변 지역주민과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점들이 크게 대두되었다. 또한 1960년대 중반이후 주택의 공업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 져 이에 대한 표준설계로 SPH(Standard for Public Housing)가 개발되었다. 저성장기(안정반성기)에 들어서는 양적인 공급의 충족을 바탕으로 주택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 시기이다.

1974-1980년 사이에 나타난 입주미달 현상은 수요예측의 정밀성과 주호 계획의 다 양성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프로젝트의 규모는 대규모 개발에서 소규모 개발로, 주동의 규모는 고층주택 중심에서 저층주택 중심으로 전환되어, 다양한 주생활 요구에 능동적 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수요계층과 지역성에 부합하는 평 면형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다양한 주호 결합방식이 시도되었다. 주택의 표준설계도 SPH의 규 격통일위주의 표준설계에 대한 반성으로 생산의 표준화와 동시에 생활의 다양화 수용을 목적으 로 한 NPS (New Planning System)가 1975년에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NPS에 이르러 표준 설계는 여러 평면계획의 집합이 아닌 설계 규범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개념으로 변모되었다.

3. 분석대상의 선정

분석대상은 최근 10여년간 도시지역 내에 건설된 것으로, 3-4명으로 구성된 가족을 위한 보급 형 주택으로 가늠할 수 있는 규모를 중심으로 하였다. 한국 사례의 경우 서울과 수도권 신도시의 125개단지의 162개 주호평면을 대상으로하였다. 국 민주택규모인 전용면적 85㎡를 기준으로 하여 전용면적 50㎡이상 90㎡이하를 주대상으로 하 되(141개 사례), 주호평면의 면적별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용면적 30㎡이상 50㎡ 미만 (11개 사례), 90㎡초과 120㎡이하(10개 사례)의 주호평면들을 추가로 포함시켰다(표1 참조). 중국 사례의 경우 北京을 중심으로, 上海, 天津, 成都 등의 43개단지 149개 주호평면을 대상 으로 하였다. 중국의 평균적인 주호의 면적을 살펴보면, 1993년에는 1인당 평균주호전용면적 10.5㎡, 평균세대인수 3.8명으로 1주호의 평균전용면적은 40㎡에 이르게 되며(藤田 忍, 앞의 글, p.158.) 1 9 9 0 년대 이후에건설된 주택의 1주호당 전용면적의 평균은 60㎡ 이상이다. 따라서, 주로 50㎡이상 90㎡이하의 사례를 주 대상으로 하되(129개 사례), 전용면적이 30㎡이상 50㎡미만(15개 사례), 90㎡초과 110㎡이하(5개 사례)의 주호평면들을 포함하였다(표2참조). 일본 사례의 경우 東京근교의 신도시와 지방 중소도시의 12개단지 140개 평면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본의 주택공급정책에서는 가족의 인원별로 각각 주택규모의 최저수준과 유도수준('최저거주수준'과 '유도거주수준'은 일본의 주택건설 제5기(1986-1990)에 새로이 설정된 것으 로 이전에는 제3기(1976-1980)에 '최저거주수준'과 '평균거주수준'이라는 거주수준의 목표가 있 었다. 이는 각각 모든 세대가 확보하기를 바라는 목표수준과 전 세대의 반수 이상이 확보하기 를바라는 목표수준이다.)을 정하고 있는데, 도시거주형에 있어서 4인을 기준으로 최저수준은 55㎡(3DK), 유도수준은 90㎡(3LDK)이다. 이에 따라 50㎡이상 90㎡ 이 하의 사례를 주 대상으로 하되(114개 사례), 한국, 중국과 마찬가지로 면적별 변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30㎡이상 50㎡미만(22개 사례), 90㎡초과 110㎡이하(4개사례)의 주호평면들을 포함하였다(표3 참조). 가급적 각국의 전형적인 평면형을 분석하기 위해 중국사례의경우 비록 계획안이기는 하나 1996년에 발표된 推薦選用住宅設計方案을 대상에 포함시켰으며, 평면형의 다양화가 많이 진 척된 일본의 경우 비교적 표준설계의 영향이 많이 남아있는 (주택)도시공단이 공급한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 사례에 있어서는 집합주택 평면형의 고정화가 많이 진행되어 있는 관계로(김수암,박용환, [집합주택 단위 평면 유형의 고정화 현상에 관한 연구(Ⅰ,Ⅱ,Ⅲ)],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8권 4호, 6호, 7호, 1992에서 아파트 평면의 고정화 현상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있다.) 민간부분과 공공부분의 공급주체에 상관없이 대상을 선정하였다.

4. 한·중·일 3국의 집합주택 전형적 평면

4.1 한국의 전형적 평면

한국의 아파트 평면은, 공공부문 위주의 공급이 이루어진 1960년대의 모색기에는 다양한 평면 형이 시도되었으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간주도의 공급이 본격화됨에 따라 평면의 고정화 현상이 심화되었다. 공공부문에 있어서도 1980년대에 새로운 유형들이 등장하여 이들이 고정화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면적대별로 고정화된 평면을 살펴보면 전용면적 50㎡이상 70㎡미만의 범위(74사례)에서는 3L/DK형이 주종을 이루며 59㎡미만의 평면에서는 2L/DK형과 거실을 방으로 轉用할 수 있 는 3DK형도 나타난다(22사례 중13사례). 이 구간에서 사례가 집중되는 59㎡이상 60㎡미만의 면적대에서부터 3L/DK형이 우세하여(37사례중 31사례), 60㎡를 넘어서도 이러한 경향이 계 속된다(15사례 중 13사례). 3L/DK형은 남측 전면을 2bay,북측 후면을 3bay로 나누어 전면에 거실과 주침실(안방)을 두 고 후면에 2개의 방과 DK를 배치한 형과, 폭방향을 2bay로 나누고 깊이방향을 3bay로 나누어 전면 2bay에 거실과 주침실, 중앙부 2bay에 화장실과 DK, 후면 2bay에 2개의 방을 배치한 것 이 전형적이다. 전용면적 70㎡이상 90㎡미만(총 41사례)에서도 L/DK형이 일반적이어서, 전면 2bay, 후면 3bay의 형태가 전형적인 평면이다. 80㎡를 넘어서면 이 구간의 모든 사례에서 화장실이 2개로 늘어나게 되는데, 2개의 화장실을 한 곳에 모아 배치하고, 그 중 하나를 주침실로부터 진입하게 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형태는 60㎡대에서 나타나는 평면형을 전반적으로 확대한 것이 된다.

또한 국민주택규모의 한계치에 가깝게 접근한 전용면적 84㎡이상 85㎡이하의 면적대에 사례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41사례 중 25사례). 따라서 전용면적 50㎡이상 90㎡미만의 범위에서는 전용면적 60㎡의 3L/DK(화장실1개)와 전 용면적 85㎡의 3L/DK(화장실2개)의 형태가 가장 전형적인 평면형태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용면적 30㎡이상 50㎡미만의 경우에서는 2DK가 일반적이며, 100㎡을 넘어서면 방이 4개 늘어나게 된다. 각 실의 연결은 전용면적 50㎡미만의 경우를 제외하곤 모두 명확히 구분된 복도 없이 거실이나 DK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거실과 DK의 경계선이 되는 부분이 복도역할을 하는 경우가 일반적 이다.

4.2 중국의 전형적 평면

현재 중국의 집합주택 평면 형태는, 문화혁명기까지의 소련모방형, 套間形, 前期廳形住宅 등 에 대한 반성과 보다 현실적인 평면형에 대한 모색을 통하여 형성된 1970년대 말의 後期廳形 住宅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다. 초기에는 廳이 현관홀, 식사, 접객, 가족휴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었고 심지어는 침실로 변용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1980년대 말부터는 廳이 순수한 公室 로서의 거실로 사용되는 예가 많다.

현재 중국의 주택은 1자녀 정책에 의한 세대인수 감소로 인해 3-4인의 주거가 일반화되어, 주 침실 외에 1-2개의 침실이 계획된다.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침실(臥室) 외에 거실(起居室), 주 방(廚房), 화장실(衛生間), 발코니(陽臺) 등이 있으며 규모가 커지면 식당(餐廳)을 거실로부터 독립시킨다. 주동이 판형인 경우에, 주호평면의 기본형은 2LD/K 형태이며 전용면적 50-60㎡구간을 중심 으로 60-70㎡구간까지 고르게 분포한다(88사례 중 53사례). 이러한 평면형은 대개 전면 2bay 로 구성되는데, 식당을 겸하는 거실을 평면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이를 기준으로 남쪽에 주침 실을 두며 북쪽에는 외기에 면하는 주방을 위치시킨 후, 주방 옆이나 주침실 옆으로 또 하나의 침실을 두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 경우, 거실의 채광조건은 침실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 는데, 주침실 옆으로 침실Ⅱ가 연접되면 거실은 북향의 작은 창을 가지게 되며, 침실Ⅱ를 주방 옆으로 계획하는 경우라도 남향의 작은 창을 확보하는 정도이다. 이것은, 거실보다는 침실을 중 시하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또한 주방에 반드시 환기창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거실이 면할수 있는 외피면적이 줄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응하여 외기에 접하는 벽면의 면적을 확장하 기 위해 평면에 요철을 두는 것이 중국 주호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3LD/K 형태는 2LD/K의 변형으로, 주동의 단부 주호 이거나 인접 주호의 경계를 넘어 하나의 침실을 추가로 구획한 경우가 아니면 찾아보기 어렵다. 1996년 推薦選用方案 등에서 수직 수평으로 반복 가능한 기준 평면으로서의 3LD/K 및 3L/D/K 구성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아직 전형을 형성할 단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전용면적 70㎡ 이상에서는 LD/K 형태로부터 L/D/K 형태로의 전환된 사례가 상당수 나타난 다(47사례 중 22사례). 식당이 독립된 형태에서는 식당을 중심으로 거실, 침실, 주방 등 다른 공간으로의 동선이 분기되는 경우가 많아서 식당이 중요한 가족 커뮤니티의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식당이 독립된 2L/D/K 형태는 거실과 주침실로 전면을 구성하는 예가 많이 나타난다.

주동이 타워형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코어를 중심으로 6-8개의 주호 가 방사상으로 연결된다.각 주호의 평면은 코어에 가까운 곳에 LD/K 또는 L/D/K를 계획하 고 주동 매스의 단부 쪽에 2-3개의 침실을 배치한다. 그러나, 타워형의 평면형은 사례마다 그 구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전형적 평면을 도출해내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최근 건축된 집합주택 각 실의 면적은 주침실이 13-14㎡, 소규모 침실은 10-11㎡, 거실이 10-16㎡, 독립된 식당은 6-8㎡, 주방이 4-5㎡, 화장실이 2-3㎡가 보편적이다. 이는 침실보다 는 거실, 주방, 화장실을 상대적으로 넓히고, 수납공간을 늘리려는 최근의 요구가 반영된 것으 로 보여진다(이를 '三大一小一多'라 칭하기도 한다. 趙知敬, [前言(1993.12)], {優秀住宅設計作品選 -1992年 北京市優秀住宅設計評選獲奬項目},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994.).

4.3 일본의 전형적 평면

일본에서는 1968년 총주택수가 총세대수를 넘어섰고, 이러한 양적공급의 충족을 바탕으로 1975년 이후에는 수요자의 요구에 발맞춘 다양한 평면들이 개발되어 전형적 평면을 제시하는 것에는 약간의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51년 公營住宅의 표준설계인 '51C형' 이후 60년대 주택단지의 고밀도화를 거치면서 고정화된 주택평면의 특징이 아직 남아있다. 51C형에서는 식침분리를 위한 DK(식사실을 겸한 조리실)공간이 생겨났고, 51C형 이전에 남북 으로 배치되어 미닫이문으로 연결되어 있던 2개의 和室(타다미를 깐 일본식 방)을 분리하였다. 이중 북측의 和室은 독립성 높은 個室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남측의 和室은 DK공간에 연 결하여 개방감 높은 居室로 만들었다. 이것이 公團住宅의 2DK형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DK 혹은 L과 연결된 和室을 만드는 것은 지금까지도 많은 주택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주택의 고밀화가 요구됨에 따라 주호평면은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것으로 정착되어갔다. 1960 년대에 정착된 평면형은 화장실과 욕실, 주방 등 배관시설과 관련된 실들을 집중시키고, 남북으 로 긴 주호평면의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남쪽의 실들과 북쪽의 실들로 나누어 놓고 있다. 남쪽에는 대체로 和室이 배치되고 이와 연결되어 DK나 LD가 미닫이문을 통해 연결되며, 북쪽 에 위치하는 침실과는 주호평면의 중앙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구획된 복도로 연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형태는 다양한 평면형이 시도되고 있는 현재의 집합주택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남쪽에 배치된 和室은 주로 주인 부부의 침실로 쓰일 뿐만 아니라, 접객의 공간으로도 사용된 다. 1980년대 이후에 DK형보다 LDK형이 많아지면서 거실의 기능이 강조됨에 따라 和室을 설치하지 않는 사례가 증가하고는 있으나(杉山 茂一, [集合住宅の設計規範に關する硏究], {住宅總合硏究財團硏究年報} No.17, 1990, p.138), 대체로 남쪽의 和室은 유지되는 편이다. 북쪽에 위치하는 방들은 대개 자녀들의 방으로서 和室과 洋室인 경우 모두 존재하나, 洋室로 계획하는 경우가 더 많다. DK형보다 LDK형이 많아지면서 이들 공간의 분할이 이루어지는데, L/DK형보다는 LD/K형이 일반적이며 (조사대상의 LDK형에서는 모든사례가 LD/K형이다). DK형에서도 D/K의 형태를 갖는 사례가 있어, 주방공간을 따로 구획하는 경향이 강하다. 주방공간은 주로 주호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외기에 면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화장실과 욕실은 따로 계획하는데, 주호의 규모가 작아지더라도 화장실과 욕실을 하나의 실로 계획하는 경우는 없으며, 최근에는 변소와 세면실을 분리하는 사례도 다수 존재한다. 또한 주방 과 연결된 다용도실을 따로 두지 않으므로, 세탁실을 세면실 안에 설치하며, 욕실을 세면실에 연결시켜 세면·탈의실로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면적대별로 전형적인 평면형을 살펴보면 전용면적 50㎡이상 60㎡미만에서는 주로 3인 가족을 위한 2DK가 일반적이고(37사례 중 12사례) 특별한 계층을 겨냥한 1LDK형도 나타난다(37사 례 중 23사례). 전용면적 60㎡이상 70㎡미만에서는 3인 가족을 위한 2LD/K형(34사례 중 24살 O)과 4인 가족을 위한 3DK형(34사례 중 4사례)이 일반적이다. 전용면적이 70㎡를 넘어서면 3LD/K형이 일반적이게 되며,2개의 방을 갖는 사례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타워형 주택에서는 다양한 소비계층을 겨냥한 1LDK, 2LDK형이 전용면적 50-90㎡의 범위에 서도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 주 택 규모의 최저수준과 유도수준이 3인 가족의 경우 각각 39㎡(2DK), 75㎡(2LDK)이며 4인 가족의 경우 각각 50㎡(3DK), 91㎡(3LDK)인것과 비교해보면, DK형의 경우 최저기준을 상회하는 사례가 많으나, LDK형의 경우 유도수준을 상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5. 한·중·일 단위 주호의 비교

본 장에서는 한·중·일 집합주택 주호평면을 구성하는 여러 수치 자료를 구성·비교하여 각 국 주호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앞서 3장에서 서술하였듯이, 본 연구가 다루는 사례는 3-4명으로 구성된 가족을 위한 보급형 주택 평면이며, 가급적 일반적인 유형을 그 대상으로 한다. 이 중 주동형태가 타워형인 사례에 서는 각각의 사례마다 다양한 평면형이 존재하고 있어서 일반화하기에 어려울 뿐 아니라 정량 적 비교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3장에서 제시한 사례 중에서, ① 주동 형태가 板形일 것, ② 전용면적이 50㎡ 이상 90 ㎡ 이하일 것, ③ 3-4인 가족을 겨냥한 평면계획일 것 등 세 가지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사례로 제한하여, 본 장에서 활용할 유효 사례군을 형성하였다. 해당 사례로 한국 141개, 중국 75개, 일 본 69개가 최종적으로 추출되었다.

5.1 전용면적 및 주호의 폭과 깊이

채택된 사례의 유효 면적범위(50-90㎡) 내에서 국가별로 사례의 분포를 살펴보면 <그림6>과 같다. <그림6>에 따르면, 유효 범위 내에서 중국과 일본의 전용면적은 고르게 분포되는데 반하여, 한 국의 전용면적 은60㎡(59㎡이상 60㎡미만에 37개 사례)와 85㎡(84㎡이상 85㎡미만에 24개 사례)에 집중 분포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전용면적 구간별로 채택 사례의 수를 살펴보아도 한 국의 경우는 측단인 50-60㎡구간 및 80-90㎡ 구간에 약 74%가 집중되어 있고, 중국은 소규모 주택이 많아 50-70㎡구간에 66%가 분포하며, 일본은 중심구간인 60-80㎡구간에 78%의 사례 가 집중 분포하고 있어 국가별 차이를 보인다(표4 참조). 구간별 폭, 깊이, 폭:깊이 비율의 변동을 살펴보면, 한국에서는 비교적 정방형에 가까워서 폭:깊 이 비율은 최소 0.55, 최대 1.76, 평균 0.85의 값을 갖는다. 전용면적 증가에 따라서는 깊이보다 는 폭의 증가가 뚜렷하여 폭:깊이 비율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의 폭:깊이 비율은 최소 0.33, 최대 0.91, 평균 0.50의 분포를 보이며 가장 세장한 평면형을 구성한다. 면적증가에 대해서는 폭과 깊이가 큰 차이 없이 증가한다. 일본의 경우에는 주호의 폭은 거의 변화가 없이 6.4m 전후(최소 4.7m, 최대 7.4m)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깊이 방향의 증가가 뚜렷한 것이 특 징이다. 폭:깊이 비율은 최소 0.39, 최대 0.89, 평균 0.57의 값을 갖고, 면적 증가에 대해서 점차 그 비율이 축소된다. 이와 같이 한국의 주호는 세장한 평면형보다는 가급적 전면 향을 확보할 수 있는 평면형이 발 달하고 면적에 증가에 대해서도 전면 폭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중국과 일본은 면적당 주거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대체로 세장형의 평면을 사용한다(일본 주택이 전용면적 90㎡ 이상에서도 꾸준히 세장형의 평면을 유지하는 것은 높은 주거밀 도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5.2 침실

주호의 면적과 구성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침실의 총면적과 개수를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사례들은 거주인 수 3-4인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침실의 수 역 시 이에 따라 대체로 2-3개이다. 한국의 경우, 전용면적 59㎡ 이상에서 주로 3개의 침실을 구 성하며, 중국 사례에서는 전용면적 67㎡ 이상에서, 일본의 경우, 70㎡ 이상에서 침실 3개를 확 보하는 예가 많다(면적 범위 밖에서는, 한국과 중국, 일본 모두 전용면적 100㎡ 이상에서 4개의 침실을 확보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유효 사례에서 제외된 타워형 주택을 포함한다면 계획방향 이 분화되어 있어서 동일 면적에서 침실의 개수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편이며 이에 따라 평면 형도 다양하다.). 전체 주호 내에서 침실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한국이 평균 43%, 중국이 44%, 일본이 38%이 며 전용면적에 대한 침실 총면적의 pearson 상관계수는 각각 0.93, 0.76, 0.82로 모두 높은 상 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침실 총면적의 변화는 개별 침실 면적의 변화와 침실 수의 변화에 의 해 이루어지는데, 그 양상은 3국이 서로 다르다. 한국은 전용면적의 증가에 따라 개별 침실 면적이 동일한 비율로 증가하는 반면, 중국과 일본 의 경우에는 개별 침실 면적이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그림7 참조). 특히 주침실의 경우, 전용면적에 대한 상관계수는 한국이 0.89로 매우 높고 중국이 0.30, 일본이 0.17로 나타나, 중국 과 일본에서는 전용면적과 주침실 면적의 관련성이 현저하게 낮은 반면, 한국에서만 주침실 면 적이 전용면적에 밀접하게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침실Ⅱ, 침실Ⅲ에서도 국가별 사례 사이 에 유사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각각의 침실 면적이 전용면적에 따라 증가하여 침 실 총면적이 변화하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개별 침실의 면적은 큰 변화가 없고 침실 수에 영향 받는 바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한국의 경우도 물론 침실 수에 영향받는 부분이 없을 수 없으나, 채택된 사례 중 21개만이 침실 2개이고 나머지 85%는 침실 3개여서 침실 수의 변동은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대상 사례 내에서, 한국의 침실 총면적 변화는 개별 침실 면적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림7>과 같이, 침실 총면적의 분포 그래프에서는 3개국 모두 급상승하는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의 침실 총면적이 급상승 구간을 포함하는 것은 전용면적의 계단형 증가에 따라 침 실 면적 역시 계단형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나, 중국과 일본의 경우는 침실 수가 2개에서 3개로 늘어나는 지점에서 급상승하게 된다는 원인적 차이가 있음은 유의해서 보아야 할 부분이다. 동일 전용면적대의 주호 내에서 개별 침실 간 면적 분포도 차이를 보면, (주침실:침실Ⅱ:침실 Ⅲ)의 면적 분포는 한국이 (46:28:26), 중국이 (41:32:27), 일본이 (39:33:28)로써, 한국의 주침 실(안방)은 중국과 일본의 주침실에 비해 주호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큼을 알 수 있다.

5.3 LDK

거실, 식당, 주방의 구성은 주호의 평면유형 및 전용면적에 따라 다양성을 띠며, 국가별 차이 역 시 존재한다. 소규모의 주호에서는 LDK 통합형이, 대규모의 주호에서는 LDK 분리형이 많은 것은 일반적인 경향이므로 전용면적별, 국가별로 구분하여 구성 유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한국 사례에서는 L/DK 구성이 87%로서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50-60㎡구간에서는 15개 의 사례에서 LDK 통합형이 나타났으나 이후 구간에서는 2건뿐이었고 80-90㎡구간에서 L/D/K이 1건 나타났다. 중국의 소규모 주택에서는 LD/K 구성이 많고 규모가 커지면서 식당 을 거실에서 분리하는 형태가 많아진다. 전체적으로는 LD/K 형태가 60%를 차지한다. 일본의 사례에서는 50-60㎡구간에서 거실이 계획되지 않는 DK 형태가, 이후 구간에서는 LD/K 형태 가 주종을 이루어 전용면적별로 구성방식이 명확히 구분된다. 한국에서는 거실 부분의 독립적 구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한 반면, 중국에서는 주방 부분이 항상 독립적으로 구획된다(이것은 기름을 많이 쓰는 중국인의 식생활로 인해 다른 실과 한 공간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 이며 주방에 반드시 외기로 면하는 창을 확보하는 것도 특징이라고 하겠다. ). 식당의 독립이 다른 국가에 비해 소규모 평면에서 일반화되는 것도 중국 주택의 중요한 특징인데, 식사를 커뮤니티의 중요한 행위로 여기는 생활방식과 관련이 있다. 일본 역시 주방 부분의 독립이 다른 부분에 우선하며 거실의 우선도는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구간별로 주된 구성방식을 따르는 사례를 대상으로 면적 분포를 살펴보면 <표 9>와 같다. 한국의 L/DK에서는 L과 DK 모두 전용면적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 평면 구성에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인 주방의 면적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거실의 면적도 대 체로 유지되나 다만, 식당이 따로 있는 경우에는 평균 6.8㎡의 식당 면적분이 늘어난다. 일본의 경우, L/DK 형태내에서는 큰 면적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여기에 기재하지는 않았으나, 한국의 L과 DK 각각의 면적변동 그래프에서는 전용면적 그래 프와 마찬가지로 계단형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일본의 LD 및 K 그래프에서는 모두 변화의 폭 이 작고 거의 수평에 가까운 미미한 증가가 있을 뿐이다. ).

5.4 화장실 및 욕실

화장실 및 욕실은 거주에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이다. 한국의 경우, 화장실 및 욕실 하나 의 면적은 전용면적 증가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으나 전용면적 80㎡를 전후하여 2개의 화장 실을 갖게 되면서 화장실및 욕실 전체 면적은 비약적인 증가 그래프를 그린다. 중국의 경우에 는 세탁기를 놓을 공간을 포함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전용면적에 관계 없이 혼재되어 있어서 화장실 및 욕실의 면적은 변화폭이 심한 편이다. 전용면적 80㎡이상에서는 화장실 및 욕실을 2개 갖는 사례가 존재한다. 일본의 경우에는 반드시 화장실과 욕실이 개별적으로 구획 되며 세탁 공간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한국, 중국에 비하여면적이 크며, 3세 대 동거형 주택(3세대 동거형 주택은 본 연구가 설정한 면적 범위를 벗어나므로 대상 사례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을 제 외 하 면 화장실은 1개만을 가지는데 전용면적에 따른 화장실 면적 변화는 거의 없다.

6. 결 론

이상과 같이, 최근 10여년간 건설된 한·중·일 3국의 집합주택 주호평면에 대한 분석을 통하 여 각국 주생활 문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3개국 모두 집합주택의 보급 초기부터 서구에서 도 입된 평면형과 전통적인 주거형 사이의 갈등과 절충을 거치면서 현재의 독특한 평면형을 이루 었다. 중국의 주택에서 廳을 중심으로 한공간 구성과 주방을 독립시키는 구성이나 일본의 주 택에서 和室을 중심으로 생활공간을 형성하고 화장실과욕실을 분리하는 등의 구성방식은 우 리나라의 집합주택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바이다. 주호평면 비교를 통하여 파악한 우리나라 집합주택 주호평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주호의 평면은 정방형에 가까워서 폭:깊이의 비율이 1:2에 가까운 중국, 일본의 경우와는 큰 차이를 보이며, 특히 전용면적의 증가에 따라 주호 폭의 증가가 두드러져, 중국· 일본의 평면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2) 중국과 일본의 경우 가족 구성원의 수에 따라 2DK, 2LDK, 3DK, 3LDK 등이 전용면적 50-90㎡의 구간에서도 다양하게 마련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전용면적 59-90㎡의 범위에 서 주로 3L/DK의 형식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크기만이 늘어나고 있어, 수요자의 다양성이 무 시되고 획일화된 평면구성이 많음을 보여 준다.

(3) 전용면적의 증감에 따른 평면 구성요소의 변화에 있어서는 한국의 경우 구성에는 큰 차이 를 보이지 않고 전용면적과 비례하여 개별 실의 면적이 증감하며, 중국과 일본의 경우에서는 개별 실의 면적이 유지되면서 LDK의 구성이나 침실 수가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4) LDK의 구성을 살펴본 결과, 3국 모두 소규모의 주택에서는 통합적인 경향을 보이다가 규 모가 커지면서 독립적인 공간이 나타난다. 한국의 평면에서는 거실의 독립이 가장 우선되어서 거실을 가장 중요한 생활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주방과 식당 순으로 독립 해 가는 중국의 경우나, 주방의 독립이 주로 이루어지고 식당 겸거실에 和室을 연결시켜 생활 의 중심으로 삼는 일본과는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5) 한국의 집합주택 주호평면에서는, 주침실(안방)의 규모가 중국과 일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전용면적과의 상관계수가 월등히 높다. 이는 주호 전체의 면적변화에 상관없이 주침실이 거의 일정한 크기를 갖는 중국·일본의 경우와 대조되는 것이다. 중국과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전용면적대에서부터 주침실에 부속된 화장실을 별도로 계획하는 것은 한국의 주침실이 독립성, 위계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특징으로부터 우리나라 집합주택의 주호평면은 주호 폭이 상대적으로 크고 거실과 주침실의 독립성 및 위계성이 높으며 평면의 유형이 면적대별로 다양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의 주거문화의 특징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평면형의 개발을 꾸준히 진행하는 동 시에 좀더 다양한 수요계층을 겨냥한 세분화된 평면형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과정 속 에서 우리와 유사한 과제를 안고있는 중국과 일본의 주호평면 개발에 대한 노력과 성과를 참고 하는 작업이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전용면적 50㎡이상 90㎡이하의 3-4인 가족을 위한 평면형을 중심으로, 제한된 사례 내에서 이루어진 연구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수요계층을 겨냥한 폭넓은 면적 범위의 평면에 대한 비교 연구 등, 보다 광범위하고 다각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