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경북 - hagsaengjeongseohaengdongteugseong-geomsa gyeongbug

���ϵ�����û(������ �̿���)�� 4�� 1�Ϻ��� 28�ϱ��� �� 1, 4�г�� �ߤ��� 1�г��� ������� ‘�л� �������ൿ Ư���˻�’�� �ǽ��Ѵ�.

�̹� �˻�� �л����� �Ƿ� ���迡�� ������ �ְų�, ���η� ���� ��Ʈ������ �ְų�, ���� ���� ������ �ִ� �� �پ��� ��쿡 �������ൿ ��ȭ�� ��Ÿ�� �� �����Ƿ� �̸� ���⿡ �߰��ϰ� �����Ͽ� �ǰ��� �б���Ȱ�� �ϴµ� ������ �ֱ� ���� �ǽõȴ�.

�л� �������ൿ Ư���˻�� ���ܰ˻簡 �ƴ� �л� ���ݤ�Ư�� �� �������ൿ���ߴ� ���⼺�� �ľ��Ͽ� �л� ����Ȱ���� �������� �����ϱ� ���� �����˻�(screening test)�̸� �¶��� �Ǵ� �������� �ǽõȴ�.

Ư�� 2017�� ����Ǵ� ���ο� ������ �����ൿ�� ������ ������ ��ȸ���� ������ �ݿ�(�б�����, ��ȸ��, �ߵ� ��), �� �����ڰ� ������ �� �ִ� ���� ������ ǥ������ �����Ǿ�����, �л����� ���� Ư���� ���� ���ظ� �������ν� �б� �� ���������� ������ Ȱ���� ����ȴ�.

������û�� Ư���˻� ����� ���� ‘������’ ���� ���α׷�, �����ǰ� �Ƿ�� Ȯ��, �����ǰ� �ڹ��ǻ� �ڹ�, ���� ��� ���� �����ϸ�, ������ȸ�� ��������� ����� ���� ü�踦 ���� �ϵ��� ���´�.

����, �б��� ���� �������� ��ȭ�ϱ� ���� ����, ����, ���� ���� ��ȭ, Ư�� �ڻ� ¡�� �߰��� ���� ���� ����ƮŰ�� ���� ���� �� �б�-������ȸ-����û�� �پ��� �����ǰ������ Ȱ��ȭ �� ��ȹ�̴�.

����, ��ϱ���û�� 2�� 23�� ������û���� ��������û�� ������ ������ ���� �˻� ���, �˻� ��� ��ġ, �߿� ���ǻ��� � ���� ���� ������ �ǽ��ϸ�, 3�� 2�Ϻ��� 31�ϱ��� ��������û���� ��米�� ������ �����Ѵ�.

������ �л���Ȱ������ “Wee����, ���Űǰ���������, û�ҳ��㺹������, �ǰ������������� ��� �����ϸ�, ���ɱ��л� �ɸ�ġ�� ���α׷� �� ���� ���� ķ���� ��ȹ�ؼ� �л����� ������ ����̰�, �����Ե��� ������ ���� ������ ��ȭ�� �����µ� �ּ��� ���ϰڴ�.”�� ������.

��õ����  

<���۱��� © ��õ����, ���� ���� �� ����� ����>

2019-04-03 14:00

add remove print link

성장기 학생들 문제 조기 발견, 악화 사전 예방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경북 - hagsaengjeongseohaengdongteugseong-geomsa gyeongbug
2019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담당자 설명회 / 경북도교육청

경북도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4월 1일(월)과 2일(화) 구미 경상북도교육청연수원과 포항 경상북도교육청문화원에서 2019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는 지역 교육지원청과 초·중·고등학교 담당자 1,100명이 참석했다.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이하 “특성검사”)는 성장기 학생들이 흔히 경험하게 되는 정서·행동발달상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악화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실시된다. 진단이 아닌, 학교 교육활동의 적정성을 지원하기 위한 선별 절차(screening test)이며, 진단은 전문 병·의원과 전문기관 심층평가를 통해 받는다. 

경북대학교병원 원승희 위센터장은 특강에서 “학생들의 자해 행동을 학교에서 대처하려면 학생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주고 공감대를 형성해 스트레스나 부정적인 감정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특성검사는 4월 8일부터 30일까지 초1·4학년, 중·고 1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이나 서면검사로 실시한다. 총점이 기준 점수 이상의 학생에 대해서는 위험수준별로 나눠 일반 관리군 학생은 학교에서 지속 관리하고, 우선 관리군 학생은 전문기관(병의원·Wee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 등)과 연계시켜 준다. 

그리고 선별된 관심군 학생에 대해서는 마음건강 의료비 지원, 마음건강 전문의 자문, 학교 방문 심층 평가, 생명존중교육, 교사 대상 자살징후 발견을 위한 게이트키퍼연수, 또래 상담 프로그램 등이 지원된다.

서정원 학생생활과장은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와 관리체계를 구축해 학생 정서·행동 문제를 조기에 발견해 악화를 방지하는 여러 방안들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ome 정준기 기자

copyright

'위키트리'라는 출처를 표시하는 경우에 한하여, 누구라도 위키트리 컨텐츠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키트리는 뉴스 스토리텔링 가이드라인을 엄격히 준수합니다.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경북 - hagsaengjeongseohaengdongteugseong-geomsa gyeongbug

(경북=김시환 기자) 경북도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4월 1일(월)과 2일(화) 구미 경상북도교육청연수원과 포항 경상북도교육청문화원에서 2019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설명회를 열었다.

설명회에는 지역 교육지원청과 초·중·고등학교 담당자 1,100명이 참석하였다.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이하 “특성검사”)는 성장기 학생들이 흔히 경험하게 되는 정서·행동발달상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악화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실시된다.

진단이 아닌, 학교 교육활동의 적정성을 지원하기 위한 선별(screening test)이며, 진단은 전문 병·의원과 전문기관 심층평가를 통해 받는다. 

경북대학교병원 원승희 위센터장은 특강에서 “학생들의 자해 행동을 학교에서 대처하려면 학생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어주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스트레스나 부정적인 감정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특성검사는 4월 8일부터 30일까지 초1·4학년, 중·고 1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이나 서면검사로 실시한다.

총점이 기준 점수 이상의 학생에 대해서는 위험수준별로 나눠 일반 관리군 학생은 학교에서 지속 관리하고, 우선 관리군 학생은 전문기관(병의원·Wee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 등)과 연계시켜 준다. 

그리고 선별된 관심군 학생에 대해서는 마음건강 의료비 지원, 마음건강 전문의 자문, 학교 방문 심층 평가, 생명존중교육, 교사 대상 자살징후 발견을 위한 게이트키퍼연수, 또래 상담 프로그램 등이 지원된다.

서정원 학생생활과장은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와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학생 정서·행동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악화를 방지하는 여러 방안들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지 목록

공지글

글 제목작성일

(6)

공지 경북교육을 메타버스로 만나보세요!

2022. 11. 2.

(9)

공지 경상북도교육청 체험 교육기관 SNS 후기 이벤트

2022. 7. 1.

학년 초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실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경북 - hagsaengjeongseohaengdongteugseong-geomsa gyeongbug
경상북도교육청2021. 4. 8. 13:19

4월부터 5월까지,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합니다!

검사는 초등학생 1·4학년, 중·고등학생 1학년

86,874명 대상이며,

학년 초 학생의 성격특성 파악 및

성장기 학생들이 흔히 경험하는

정서행동발달 상의실시 문제를

조기 발견해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실시됩니다.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경북 - hagsaengjeongseohaengdongteugseong-geomsa gyeongbug

초등학생은 학부모 또는 보호자,

중·고등학생은 학생 본인

온라인 또는 모바일로 홈페이지에 접속해

검사지에 응답하면 되는데요,

온라인 참여가 곤란한 경우에는

학교에서 서면검사를 할 수 있다는 점!

검사 결과 총점이 기준 점수보다 높은 아동은

전문기관(병의원·Wee센터·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연계, 마음건강 의료비 지원, 전문의 자문,

학교 방문 심층평가, 생명존중교육,

또래 상담프로그램 등을 지원

학생이 학교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심리 불안 해소에 도와드릴게요 :)

(▼학생정서·행동특성 검사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