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본 위험고지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고만 합니다) 제117조의7 제4항에 의하여 귀하가 ㈜펀딩포유에 청약의 주문을 하기 전에 투자의 위험을 사전에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펀딩포유가 귀하에게 교부하는 것입니다.

1. 귀하는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정정)된 모집되는 증권의 취득에 따른 투자위험요소, 증권의 발행조건, 발행인의 재무상태가 기재된 서류 및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충분히 확인하였습니다. (발행인이 증권의 발행조건과 관련하여 조기상환조건을 설정한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홈페이지를 통해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2. 귀하의 투자대상인 금융투자상품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른 “증권”에 해당하므로 원본손실의 위험성이 있으며, 청약증거금 등 투자한 자금의 원본을 회수할 수 없음에 따른 손실의 위험이 있음을 이해합니다.

3. 금번에 발행되는 비상장 증권의 발행이 한국거래소의 상장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증권의 환금성에 큰 제약이 있다는 점과 예상 회수금액에 대한 일부 혹은 전부를 회수할 수 없는 위험이 있음을 이해하며, 본인은 이를 감당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4. 귀하는 시장의 상황, 제도의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자본시장법 등 관련법규에 근거하여 투자의 한도에 제한이 있는 경우 이를 준수하여야 함을 이해합니다.

5. 자본시장법 제117조의10제7항에 따라 전문투자자(벤처캐피탈 등)에 대한 매도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6개월간 전매가 제한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6. 정부가 ㈜펀딩포유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해당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또한 해당 게재된 사항은 청약기간 종료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확인합니다.

7. 청약기간 중에는 청약의 철회를 할 수 있으나, 청약기간 종료일 이후에는 청약을 철회할 수 없으며, 최종모집금액이 모집예정금액의 80%에 미달하는 경우 증권발행이 취소된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8. ㈜펀딩포유는 온라인소액증권 청약과 관련하여 별도의 수수료는 징수하지 않습니다. 다만 청약증거금 이체 시 발생하는 이체수수료는 귀하가 직접 납부하여야 합니다.

9. ㈜펀딩포유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자로서의 영업업무를 준수함으로써, 직접 온라인소액투자중개를 하는 증권을 자기의 계산으로 취득하거나, 증권의 발행 또는 그 청약을 주선 또는 대리하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10. ㈜펀딩포유는 발행인의 요청에 따라 투자자의 자격 등을 합리적이고 명확한 기준에 따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귀하는 위 기준과 조건에 따라 청약거래에 있어 차별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위 사항들은 청약의 주문 거래에 수반되는 위험 및 제도 및 청약의 주문 거래와 관련하여 귀하가 알아야 할 사항을 간략히 서술한 것으로써 귀하의 위 거래와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위험과 중요 사항을 전부 기술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귀하는 ㈜펀딩포유 및 관계법규를 통하여 상세한 내용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 고지서는 청약의 주문 관련 법규 등에 우선하지 못한다는 점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1부산대학교

초록 열기/닫기 버튼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 다양해지기 시작하면서 온라인상에서 소액이나 포인트 등으로 모금을 하는 기부 캠페인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스토리텔링형 기부캠페인을 주목하였다. 특히 스토리텔링형 기부 캠페인의 주제, 등장인물, 화자, 플롯과 이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댓글 수와 모금률을 내용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기부 캠페인은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캠페인의 비중이 높았으며, 이들에게 생활지원과 교육・문화지원에 관련된 캠페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메시지 전달방식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크라우드펀딩의 기부 캠페인은 스토리텔링형식으로 이야기를 끌어간 캠페인이 67%였다. 캠페인의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정보전달형이나 이미지형 캠페인보다는 수혜자가 처한 문제 상황을 이야기형식으로 풀어내는 스토리텔링형 캠페인의 모금률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부 캠페인 속 수혜자를 구체적인 대상으로 그려냈을 때, 즉 이름(가명 포함)으로 소개하였을 때, 그리고 제3자가 아닌 수혜자가 직접 본인의 이야기를 풀어나갔을 때 캠페인 모금률에 긍정적인영향을 끼쳤다. 이 연구는 기부 캠페인 기획 과정에서 캠페인의 주제, 메시지, 수혜자의 특성을고려한 맞춤형 캠페인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집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효한 기준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rowdfunding online platforms such as Naver Happy Bean and Daum Story Funding, Given the recent increase of crowd-funded charity campaigns, this study exploratory examines various attributes related to crowdfunding charity campaigns which make them effective in participation. Specifically, the study content analyzed 1) the themes, 2) messages, and 3) the platform features such as “participation rate.”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campaigns, especially for children and youth, are most frequent. Specifically, fundamental living and educational supports for children and youth are relatively high in demand. In terms of message, about 67% of crowdfunding charity campaigns used narrative formats introducing difficulties and problems that potential fund recipients are currently facing. Narratives are most effective in terms of participation rate compared to statistical evidence messages and image-only messages. Specifically, the first person narrative with a specific name of the narrator was the most persuasive and showed the highest rate of participation. This study also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ttributes of crowdfunded charity campaign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narratives in charity campaigns in digital media platform.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Online fundraising, Crowdfunding, Storytelling, Content analysis

피인용 횟수

  • KCI 5회

  • 402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 소개
  • 후원형 크라우드펀딩
  •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후원형 크라우드펀딩은 후원자들이 문화창작활동, 사회공익활동 등을 후원한 뒤 비금전적 보상, 즉 공연 티켓 등을 받거나 기여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는 방식으로 리워드(보상)을 받는 형태입니다. 후원을 받고자 하는 단체나 개인은 크라우드펀딩 서비스를 통해 프로젝트나 모금함을 개설하여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하게 되는데 목표한 후원금액이 100% 이상 달성 되어야 후원금액을 받으실 수 있는 "All or Nothing" 방식과, 100% 달성 되지 않더라도 모인 후원금액을 수령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Keep It All" 방식 2가지가 있습니다.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해피빈사이트 바로가기

    서류상 1년 이상의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증이나 사업증을 가지고 있는 단체라면 모금함 개설이 가능하며 ‘해피로그’를 통해 단체 후원을 직접 받을 수 있다. 해피빈의 또 다른 서비스인 '공감펀딩'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 공익적 창작 활동, 소셜 벤처 등 공익적 의미가 있는 일이라면 단체, 개인 누구든 펀딩을 받을 수 있다. All or Nothing, Keep It All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취한다.

    *수수료 규정: 별도의 수수료 없음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같이가치사이트 바로가기

    올해 새롭게 시작한 같이가치는 카카오의 사회공헌 플랫폼으로 누구나 공익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모금함을 개설하여 직접 모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개인은 기념일 모금함을 통해 원하는 기부처에 기부금을 전달할 수 있다. 같이가치는 모금과 기부를 연계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금 콘텐츠의 댓글,공유 수에 따라 매칭 방식으로 카카오가 직접 후원에 참여한다.

    *수수료 규정: 별도의 수수료 없음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스토리펀딩사이트 바로가기

    스토리펀딩은 기존의 다음 뉴스펀딩을 개편한 모금 플랫폼으로 저널리즘, 라이프, 캠페인, 스타트업, 아트, 출판의 6개 주제에 해당되고 공공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프로젝트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단 단순 기부는 안됨). 사진, 동영상, 오디오 등을 쉽게 편집할 수 있는 에디팅 툴과 후원자 통계와 리워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수료 규정: 프로젝트 성패와 상관없이 5%+플랫폼 수수료 10%(VAT별도)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오마이컴퍼니사이트 바로가기

    세상을 혁신하고 가치 나눔을 위해 일하고 있는 스타트업,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스몰비즈니스 사업자와 단체들의 자금 마련을 돕기 위한 플랫폼이다. 최근 투자형 크라우드펀딩 서비스도 런칭했으며, 모금형과 투자형을 함께 운영 중이다.고용노동부와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사회적기업 크라우드펀딩대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수수료 규정: 최종 모금액의 7%(VAT별도)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와디즈사이트 바로가기

    와디즈는 후원형 크라우드펀딩으로 출발했다가, 법안 통과 이후 투자형 크라우드펀딩도 함께 하고 있다. 공익 관련 프로젝트가 아니어도 프로젝트를 등록할 수 있다. 와디즈는 행정자치부와 함께 공공성과 성공 가능성이 높은 프로젝트를 선정, 펀딩을 연계하는 지역사랑 크라우드펀딩 대회를 개최하며, 최근에는 공중파 예능 방송을 통해 '크라우드펀딩쇼'를 진행하고 있다.

    *수수료 규정: All or Nothing:고정 수수료는 7%(VAT별도), Keep It All:성공 시 10%(VAT별도)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소셜펀치사이트 바로가기

    2011년 말에 진보네트워크가 시작한 '소셜펀치'는 사회운동을 지원하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후원 플랫폼이다. 취약계층에 대한 자선사업보다는 사회변화를 위한 투쟁, 캠페인, 프로젝트의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 기업,국가의 폭력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을 돕기 위한 기금 모집, 부조리한 현실 법제도 및 정책을 비판하거나 대안 정책 마련을 위한 사업, 사회운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인권, 시민사회단체 지원 사업, 대안적 문화 창작, 유통 및 연구 프로젝트, 기타 사회 진보, 민주화, 인권 보호를 위한 사업)

    *수수료 규정: 최종 모금액의 3%(VAT별도)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비카인드사이트 바로가기

    비카인드는 국내 자선모금(타인에게 기부의 의미를 알리고 동참을 유도하는 활동으로서 단순기부행위보다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선활동)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시작한 소셜벤처다. 후원자는 비카인드에서 공약을 걸고 자기만의 모금함(자선 모금함)을 개설하거나, 생일을 맞아 지인에게 선물 대신 기부를 해달라고 요청하는 생일 모금함을 개설할 수 있다.

    *수수료 규정: 수수료 없음. 모든 모금액이 각 단체로 바로 전달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펀루사이트 바로가기

    펀루는 모금 캠페인, 착한 소비 캠페인 등의 크라우드펀딩 뿐만 아니라 비영리단체 지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모금 플랫폼 홈페이지 제작과 운영을 지원하는 등 공익활동 관련 다양한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수수료 규정: 후원자 수에 따라 수수료 다름(후원 캠페인의 경우 1~50명은 10%, 51~100명은 9%, 101~150명은 8%, 151~200명은 7%, 201~300명은 6%, 301~399명은 5%, 400명 이상은 4%)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텀블벅사이트 바로가기

    대표적인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중 하나로 독립 문화창작자들의 지원을 목표로 플랫폼이다. 영화, 음악, 미술, 출판, 건축, 사진, 디자인, 테크놀로지, 게임, 요리, 제조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창작자과 팬을 연결한다. 창작에 방점이 있기 때문에 단순 기부의 프로젝트는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위안부 희생자를 후원하기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 '기억+소녀 나비 티셔츠'처럼 공익 목적과 창작이 결합된 프로젝트는 가능하다.

    *수수료 규정: 성공 시 최종 모금액의 3%, 실패 시 수수료 없음(VAT별도)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유캔스타트사이트 바로가기

    유캔스타트는 2012년 8월부터 2년간 예술, 영화, 기술, 출판, 사회적이슈와 후원 등 400여개의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유캔펀딩' 진행, 유캔스타트의 프로젝트는 100% 이상을 달성해야만 펀딩 금액을 받을 수 있다. 초기 목표 금액 달성에 실패한 경우, 전액 모두 후원자들에게 환불된다.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더불어사이트 바로가기

    더불어는 꿈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무언가를 실현시키고자 행동하는 사람들 'Do'와 그 꿈과 아이디어에 공감하며 후원해주는 이들 'Abler'를 연결해주는 플랫폼이다. 사회가치 창출을 위한 창의적이고 의미있는 캠페인과 커뮤니티 구축을 지원한다. 특히 서울시 대학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청년, 학생들에게 공유경제 확장의 원리와 가치를 확산시키고 있다.

    *수수료 규정: All or Nothing: 목표액 80% 이상 모이는 경우 5%, Keep It All: 10%(VAT별도)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펀딩21사이트 바로가기

    펀딩21은 한겨레와 씨네21 그리고 밸류인베스트코리아가 함께 시작한 플랫폼으로 거액 투자를 받기 어려운 다큐멘터리나 영화 등의 제작 지원 프로젝트가 다수를 이룬다. keep it all 방식만 제공한다.

    *수수료 규정: 최종 모금액의 10%(VAT별도)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굿펀딩사이트 바로가기

    참신한 아이디어나 사업, 공연예술 등의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로, 영화, 공연 등 문화예술 분야의 프로젝트가 주를 이룬다.

    *수수료 규정: All or Nothing, Keep It All: 모두 수수료는 6%(VAT별도), 단 Keep It All을 선택하고 실패시 패널티 수수료 6.6% 별도 부과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오지랖사이트 바로가기

    오지랖은 2016년 1월에 시작한 서비스로 창작자인 메이커와 후원자인 오지라퍼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다. 아이디어 실현을 후원하는 '크라우드펀딩'과 메이커들의 지속적인 판매채널인 '프리오더 서비스'를 제공한다.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씨펀사이트 바로가기

    문화예술, 게임, 스포츠, 기술, 봉사 및 재능 기부 등의 콘텐츠와 참신한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다. 개인, 기업 모두 프로젝트 개설 가능하며, 목표액이 미달되면 프로젝트가 자동 취소되고 후원자에게 모금액이 전액 환불된다.

  •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기부형 크라우드 펀딩 - gibuhyeong keulaudeu peonding

    위시플렉스사이트 바로가기

    위시플렉스는 2011년 처음 '힘내요'로 시작해 최근 새롭게 단장한, 기업 광고를 연계한 소셜펀딩 플랫폼이다. 모바일 앱에 접속해 관심있는 상품을 10개 모아 위시리스트에 저장하고 '득템 응모하기'를 누르면 후원머니 500원이 매주 지급된다. 그 돈으로 위시플렉스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젝트에 후원할 수 있다. 후원자들은 개인의 돈이 아닌 리워드 머니를 가지고 후원에 참여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