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사고 파는곳 - geulim sago paneungos

그림 사고 파는곳 - geulim sago paneungos

그림 판매하는 방법

 

요즘은 미디어 시대 이다보니 그림을 전시하는 방법과 판매 방법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예전과 같으면 박물관이나 문화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관에 대관을 하여 전시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판매가 가능하다면 전시 작품 아래 캡션에 가격을 달기도 하는데요.

전시 담당하는 분과 상의를 하고 작가와 연결시켜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그림 판매 사이트를 만들어서 미술관에 갈 필요 없이  인터넷으로 구매도 가능 합니다.

직접 가지 않아도 그림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은 있습니다. 블로그나 카페를 열어 판매 사이트를 

만드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부산이나 서울에 미술시장이 활발한 곳은 '아트페어'라는 행사를 열어 작가와 직접 그림을 

홍보하기도 하고 판매를 열기도 합니다.  이점은 그림 상품을 직접보고 구매도 가능하다는 것과

작가역시 자신의 그림을 홍보하고 미술시장에 대면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이라고 생각 합니다.

아트페어는 그림 전시 경력이 많을 수록 그림의 인기도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그만큼 그림 가격도 비싸집니다.) 대신 한 부스당 150만원은 들고 아트페어를 주관하는 분과

그림 가격도 상의를 해서 가격이 측정이 됩니다.

 

그리고 공방을 운영하거나 전업 작가 또는  콘텐츠를 할 줄 하는 분이라면 '텀블벅'이라는 사이트도 

추천 드립니다. 텀블벅은 크라우드 펀딩이라고 하는데 후원 모금하는 방식으로 정해진 가격까지

모이면 그 비용으로 창작물이나 그림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텀블벅 tumblbug

모든 사람의 창조적인 시도를 위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www.tumblbug.com

그리고 무엇보다 궁금 했던 그림 호당 가격은 얼마나 될까요? 한다면 

1호당 1만원 정도 측정을 하고 있습니다. 10호에 10만원 정도한다면 액자 비용이 7~8 만원

정도하기 때문입니다. 인기있는 작품이라면 2호에 20만원정도 팔기도 합니다.

작품 가격 정하는 건 작가님들에 따라 다릅니다. 

 

그림을 구매할때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지만 각자 편한 방법으로 그림을 구매하고 판매하는게

좋을 거 같습니다.  사진 실사로 만들어진 프린트된 그림보다는 직접 손수 작업물로 그린

그림이 그림을 사는 비용에 비해 가치가 있는 편이라고 생각 합니다.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현이의 그림 블로그 Art story

저작자표시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그림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슈와 아크릴의 차이와 특징  (0)2021.01.10그림과 수학의 관계, 수학으로 그림접목하기  (2)2021.01.09갤럭시 탭 그림, 태블릿 그림 그리기 앱 추천  (2)2020.11.30임용고시로 미술교사 되기, 미술관련 직업  (0)2020.11.20큐레이터(학예사)에 대해 알아보기  (0)2020.11.19

Since its inception, SINGULART has been committed to a single mission: to encourage artists and designers who share their passion for beauty and leave their mark on the world.

We believe that creativity has an immense power: to express emotions for which there are no words, no matter the language. We support contemporary creators because their creativity opens minds and brings people together. Artists and designers offer us their visions of society through their unique perspectives. Every day, we work hand in hand with them in order to shake up conventions and propose a 3.0 version of the artistic world.

 이제 실제로 그림을 구입할 수 있는 곳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오프라인 매장으로는 각 미술관들의 아트샵을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가람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커다란 미술관, 박물관은 대부분 아트샵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곳에 가면 그림뿐만이 아니라 1장에서 말한 다양한 아트 소품들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직접 보고 고를 수 있으니 되도록 구입하실 땐 오프라인 매장에 가셔서 직접 두 눈으로 색감과 디자인을 확인하시고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러나 전시를 보러 갈 시간도 없는 바쁜 현대인의 생활에서 느긋한 그림 쇼핑은 사치일 수도 있지요. 그럴 땐 온라인 명화샵들을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외의 그림을 구입할 수 있는 웹사이트들을 소개하고 각 사이트별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절대로 홍보의 의미는 없으며 오직 소개만을 위함을 밝힙니다. 

1. 국내 사이트 (가나다순) 및 특징

: 그림의 사이즈별 조회 및 가격별 조회가 가능합니다. 가격별 조회는 이 사이트 외에는 찾아보지 못하였습니다. 또한 아티스트별 분류가 잘 되어있습니다. 로그인하면 E-카달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 실제 작가들의 유화, 동양화 진품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테리어 패키지로 여러 그림을 묶어서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작가별 주제별 분류를 잘 해놓아서 그림을 선택하기 쉽게 해놓았습니다.

: 복잡하지 않게 명화와 유화만으로 구성되어 원하는 그림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명화의 경우 장소별, 용도별, 인기별로 나누어 쉽게 그림을 고를 수 있게 해놓았습니다.

: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팝아트 코너가 인상적입니다. 화가들이 직접 그린 그림들을 주로 판매 하고 있습니다. 프린팅 패널, 이미지 벽시계 등 이미지 인테리어에 필요한 분류가 되어있습니다.

: 저렴한 가격으로 실제 활동하고 있는 화가들의 작품을 렌탈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물론 렌탈뿐만 아니라 판매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명화를 프린팅한 복제화가 아닌, 우리나라 화가들의 원화를 인테리어 한다는 것에 다른 곳과는 차별점이 있습니다. 이 경우 화가들의 진작의 숨길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강점입니다.

: 서양 명화는 물론 모던아트와 추상화까지 있습니다. 특히 동양화가 있다는 것이 큰 강점입니다. 색상별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있어서 원하는 색상의 그림을 쉽게 고를 수 있습니다. 또한 사이트에서 마련한 리뷰 코너가 있어서, 명화 인테리어 초보자들에게는 다른 사람들의 경우를 보면서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 종합 인테리어 판매처입니다. 사이트의 중심이 그림은 아니지만, 아트존이라는 코너로 벽에 거는 그림들을 따로 분류해놓고 있습니다. 퍼즐액자 등의 참신한 상품들이 있습니다.

: 주로 사이즈별로 분류가 되어 있습니다. 명화 복제화 보다는 실제 작가의 작품 판매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검색 시스템이 잘 되어 있습니다. 주제별, 작가별, 크기별, 컬러별, 업장별, 캐릭터별 분류를 전면에 내세워 검색이 쉽습니다. 또한 명화만이 아닌 다양한 이미지들의 액자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20세기의 작가들도 몇몇 다루고 있다는 것이 강점입니다.

: 슈퍼맨, 배트맨, 루니 툰스, 톰과 제리 등의 만화 캐릭터와 더불어 영화 포스터, 명화를 DIY 형태로 그리는 킷트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스스로 그림을 그려 액자를 만든다는 점은 흥미로움을 줍니다.

2. 해외 인터넷 사이트

: 이 사이트의 가장 큰 강점은 그 엄청난 양입니다. 다루고 있는 작가만 해도 수 천 명, 작품을 합하면 수 만 점의 작품들이 있습니다. 또한 각각 작가들에 대한 설명마저 꽤 상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미술사 사조별, 작가별, 작품별, 박물관별, 컬렉션별, 스타일별, 주제별 등의 검색 카테고리가 매우 상세하게 나누어져 있습니다. 영어만 가능하시다면 이 사이트보다 더 좋은 곳은 찾기 힘들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또한 미술에 대해 문외한이신 분들을 위해서 인기별, 색상별 등의 대중적 카테고리도 마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