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이번 시간에는 가설공사 두번째 시간으로 외부비계에 대한 물량산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물량산출 - 가설공사 첫번째

https://blog.naver.com/jwshin1978/221507716834

외부비계의 종류는 쌍줄비계와 외줄비계가 있다. 외줄비계는 쌍줄비계를 설치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는데 추락에 대한 위험이 크기 때문에 현재는 설치하는 현장이 없다. 간혹가다 내부 D.A 공간이나 E/V PIT 같은곳에 외줄비계를 설치하긴 하는데 이 역시도 외줄이지만 안전발판을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좁은 곳에만 설치한다.

그리고 쌍줄비계의 종류에는 강관 비계와 시스템 비계가 있다. 강관 비계는 기존의 강관파이프를 사용한 비계이며 시스템 비계는 시스템 동바리와 같이 수직재와 띠장 장선등의 전용 부재를 이용한 비계이다. 둘다 비계를 설치하고 안전발판을 거치하는 방법은 같지만 구조적인 측면에서 시스템 비계가 더 안전하다.

물론 그만큼 비용은 더 들어간다. 강관비계의 설치 해체비보다 시스템 비계의 설치 해체비가 약 1.5배 가량 비싸다. 하지만 산업안전공단에서 총 공사비 20억 미만의 현장에는 재료비의 50%까지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결론적으로는 설치 해체비가 강관 비계보다 싸게 먹힌다.

총공사비 10억 미만까지는 65%를 지원 받을 수 있고 10억 초과 20억 미만까지는 50%를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을 받으려면 몇가지 서류를 산업안전공단에 제출(산재보험가입 증명서 완납증명서등)해야 하며 신청를 하면 선착순으로 공사비를 지원해준다. 그리고 한해 편성된 예산이 다 소진되면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올해 4월달 부터는 관급공사에서 발주하는 모든 공사에서는 강관 비계를 사용할 수 없다. 그에 따라서 지원금의 규모도 대폭 늘렸고 각종 금융 혜택도 제공한다. 또한 2022년 부터는 민간공사까지 전부다 시스템 비계 사용을 의무화 한다고 하니 미리 알아 두도록 하자.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시스템 비계의 모습이다. 일부 자재들의 모습을 보면 안전발판이 없다면 시스템 동바리 부재들과 구분하기 힘든 모습이다. 확실히 강관 비계보다는 안정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깔끔하다. 실제로 현장에 적용해본 결과 작업 효율도 좋고 안정적이다.

물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말하면 '외주길이 * 높이' 다. 풀어서 자세히 설명하면 외주길이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을 기준으로 외벽의 둘레를 말한다. 비계는 이 마감선에서 90cm 떨어뜨려 설치하기 때문에(바깥쪽 수직재 기준이다.) 여기에 건물의 코너수만 곱하면 된다.

코너수는 직사각형이던 정사각형이던 L형이던, 'ㄷ'자 형이던 계산을 해보면 원형이나 삼각형등을 제외하곤 결국 '8' 개다. 때문에 건물의 외주길이를 구하는 방법은 '건물외벽선 + 0.9*8' 이다.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각기 틀린 모양의 평면도(?) 라고 가정하자. 두 건물의 모양은 틀리지만 둘레는 둘다 22m로 같다. (5,000+6,000)*2 = 22,000 이기 때문이다. 두 건물의 외주길이(둘레)는 22m고 여기에 코너수 8 * 0.9 = 7.2m를 더하면 29.2m가 두 건물의 외주길이다.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위의 그림이 바로 각 건물의 코너마다 90cm씩 늘려서 그려놓은 모습이다. 두 건물의 치수를 보고 둘레를 구해보면 정확하게 둘다 29.2m가 나온다. 이말은 결국 어떤 모습의 건물이던 위에서 언급했던 원형이나 삼각형등만 아니라면 '둘레+7.2m' 란 소리다.

다음은 높이다. 높이는 기초 하단부터 옥탑층 파레펫 까지의 높이를 구하고 여기다가 90cm를 더하면 된다. 도대체 90cm를 더하는 이유는 뭘까? 바로 안전을 위한 난간대 설치를 위한 높이다. 안전 난간대가 있고 없고는 직접 올라가서 작업을 해보면 몸소 체험(?)할 수 있다.

단지 난간 한줄 더 들어가 있는게 얼마나 안정감을 주는지는 정말 체험해 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다. 반드시 안전모와 안전화를 착용하고 한번 올라가서 체험해보길 권유 드린다. 아래 그림을 보자.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마지막 파라펫의 높이가 1,500이다. 비계 높이는 여기다 900을 더해서 2,400으로 계산하면 되는 것이다. 전체 건물의 높이가 파라펫까지 29,100 이라면 900을 더해서 30,000이 된다. 비계물량의 산출식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외주길이 + 7.2)*(높이+0.9)'

배웠으니 실습을 해보자. 아래 도면의 비계설치 면적을 구해보자.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파라펫 까지의 높이는 7,500이다.

알려드린데로 잘 이해하신 독자들이라면 어렵지 않게 구하실 수 있을거다. 우선 평면도를 보고 둘레를 구해보자.

(17.9+11.75)*2+7.2 = 66.5 이것이 이건물의 둘레다. 다들 이와같이 나오셨는가? 다른 답이 나왔다면 일단 산수를 제대로 했는지 확인해 보고 치수를 다시한번 확인하자.

다음 높이는 파라펫까지 7.5m라고 하였으니 여기다가 0.9만 더하자. 8.4m다. 이제 비계설치 면적을 구하면 된다.

둘레 * 높이다. 66.5*8.4 = 558.6m2 이것이 이 건물의 외부 쌍줄비계 설치면적 이다. 시스템 비계도 산출식은 똑같다.

다만 한가지 틀린점이 있다면 시스템 비계는 외벽에서 0.9를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1.0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7.2를 더하는 것이 아니고 8을 더하면 시스템 비계 설치 면적이 나온다. 이 건물에 시스템 비계를 설치하기 위한 면적 산출식은 아래와 같다.

((17.9+11.75)*2+8)*(7.5+0.9) = 565.32m2

이렇게 비계면적을 구하면 된다. 여기까지는 면적을 구하는 이론적인 접근방법 이었고 이제 실무적으로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 보도록 하자. 캐드파일로 설계개요가 들어있는 도면을 열어놓고 바닥면적을 확인한다. 그리고 층별로 바닥면적의 차이를 확인하여 면적의 차이가 없으면 가장 큰 면적을 가진 층의 구조도를 확인한다.

(여기서 면적의 차이가 있다면 각층마다 비계면적을 구해서 더하면 되고 높이에 따라 30m를 초과하는 건물의 경우 3.5m 마다 비계 설치면적을 구한다.)

구조도의 외곽선을 1)번 PL 라인으로 따라서 그린후 2)번 OFFSET 명령어를 입력 엔터 3)번 900 입력 엔터 4)번 방금 그려놓은 PL라인을 클릭하고 엔터 5)번 마우스를 PL라인의 외곽으로 끌어온 후 클릭 여기까지 진행하면 외곽선의 바깥으로 900이 늘어난 외곽선이 하나더 생긴다.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노랑색이 외곽선을 따라그린 PL라인 이다. OFFSET 명령어를 입력하고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방금 그려놓은 PL라인을 클릭하여 바깥쪽으로 마우스를 움직인후 왼쪽버튼을 클릭한다.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위와같이 바깥으로 900이 늘어난 PL라인이 하나더 생긴다. 여기까지 진행이 되었다면 그다음은 6)번 명령어 LIST 엔터 한후 새창이 뜨면 그곳에서 둘레를 확인한다.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LIST 명령어를 치고 900 늘어난 PL라인을 클릭한후 엔터

강관 비계 견적 - gang-gwan bigye gyeonjeog

둘레를 확인한다. 어떤가? 66.5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둘레를 구한뒤 높이는 단면도를 확인하여 파레펫까지 치수를 찍은후 여기에 0.9만 더해서 구하면 된다. 이것이 캐드를 활용하여 비계 면적을 구하는 실무적인 방법이다.

물론 바쁠 때는 PL라인을 따라 그리는 것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리습을 사용하거나 건축개요에 나와있는 가장 큰 바닥면적을 확인한 후 REC 명령어로 같은 면적의 사각형을 그리고 OFFSET 시킨후 둘레를 구하기도 한다. 큰 차이는 없기 때문에 개략견적을 낼 때는 가끔 사용한다.

오늘은 이렇게 비계물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역시 글이 길어졌으니 오늘은 여기까지 하도록 한다. 다음시간에는 동바리 수량산출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