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7) 모르터가 굳은 후 #18와이어 메쉬(Wire mesh)를 깔고 두께 2cm정도로 모르터를 발라 바탕으로 한다. (모르터 대신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때에는 콘크리트가 굳은 다음에 그 위에 모르터를 바르고 바탕으로 한다)

(8) 바탕 모르터가 굳은 후에 아스타일(Astile) 또는 우드블록(Wood block)등으로 바닥마감을 한다.

1.2.1.2 주의 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밑에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1호(밀도 0.03g/m^3)를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2.2 슬래브 위에 시공하는 경우

1.2.2.1 시공방법 및 순서

(1) 콘크리트 슬래브를 깨끗하게 청소하고 그 위에 발포폴리스티렌을 틈이 없도록 깔며 이음부는 내습성 테이프로 접착 고정한다.

(2)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3) 모르터를 두께 2cm정도로 바른다.

(4) 모르터가 굳은 후에 #18 와이어 메쉬(Wire mesh)를 깔고 두께 2cm정도로 모르터를 발라 바탕으로 한다.

(5) 바탕 모르터가 굳은 후에 아스타일(Astile) 또는 우드블록(Wood block)등으로 바닥마감을 한다.

1.2.2.2 주의 사항

(1) 발포 폴리스티렌을 깔 때 밑에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3) 발포 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1호 (밀도 0.03g/m^3)를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3 마루바닥

1.3.1 멍에로 받치는 경우

1.3.1.1 시공방법 및 순서

(1) 잡석이나 모래를 고루 깔고 다진다.

(2)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분이 건조하기 전에 쇠흙손질하여 충분히 양생한다.

(3) 바닥 콘크리트면의 튀어나온 부분이나 붙어 있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고 평탄하게 한 후 깨끗하게 청소한다.

(4)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5) 소정간격으로 멍에를 배치한다.

(6) 멍에 사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틈 없이 깔며 이음부분은 폴리에틸렌 테이프로 접착 고정시킨다.

(7) 장선을 멍에에 고정하고 마루판을 깐다.

1.3.1.2 주의사항

(1) 멍에를 설치할 때나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밑에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 만일 부주의로 폴리에틸렌 필름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날 경우에는 내습성 테이프를 손상부위에 덧붙여야 한다.

(3)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3.2 장선으로 받치는 경우

1.3.2.1 시공방법 및 순서

(1) 잡석이나 모래를 고루 깔고 다진다.

(2)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분이 건조하기 전에 쇠흙손질하여 충분히 양생한다.

(3) 바닥 콘크리트면의 튀어나온 부분이나 붙어 있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고 평탄하게 한 후 깨끗하게 청소한다.

(4)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 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5) 소정간격으로 장선을 배치한다.

(6) 장선 사이에 발로폴리스티렌을 틈 없이 깔며 이음부분은 폴리에틸렌 테이프로 접착 고정시킨다.

(7) 내수합판을 바탕마루로 깔고 그 위에 소정의 마감재료로 바닥마감을 한다.

1.3.2.2 주의사항

(1) 장선을 설치할 때나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밑에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2) 만일 부주의로 폴리에틸렌 필름이 찢어지거나 구멍이 날 경우에는 내습성 테이프를 손상부위에 덧붙여야 한다.

(3)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 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3.3 동바리로 받치는 경우

1.3.3.1 시공방법 및 순서

(1) 지면을 평탄하게 고른다.

(2)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 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3) 모래나 입도가 작은 자갈을 두께가 10~15cm가 되도록 깐다.

(4) 동바리를 세우고 소정간격으로 멍에와 장선을 설치한다.

(5) 장선의 양옆에 단열재 받침판을 댄다.

(6) 단열재 받침판 위의 장선 사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틈 없이 채워 깐다.

(7) 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2번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깐다.

(8) 내수합판을 바탕마루로 깔고 그 위에 소정의 마감재료로 바닥마감을 한다.

1.3.3.2 주의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장선의 윗면과 발포폴리스티렌의 윗면이 가지런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 (밀도 0.016g/m^3)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4) 목조 바닥틀인 경우 마루 밑에는 벽 길이 3m이하마다 면적 300cm^2이상의 환기구를 설치하고 바닥에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 내습성의 커버를 설치하여야 한다.

1.3.4 슬래브 위에 설치하는 경우

1.3.4.1 시공 방법 및 순서

(1) 콘크리트 슬래브를 깨끗하게 청소하고 그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장선을 설치한다.

(2) 장선의 양옆에 단열재 받침판을 댄다.

(3) 단열재 받침판 위의 장선 사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틈 없이 채워 깐다.

(4) 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5) 내수합판을 바탕마루로 깔고 그 위에 아스타일(Astile)/우드블록(Wood block) 또는 플로어링(Flooring)깔기 등으로 바닥마감을 한다.

1.3.4.2 주의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장선의 윗면과 발포폴리스티렌의 윗면이 가지런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2)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4 기존바닥

1.4.1 시공방법 및 순서

(1) 기존 마루널을 뜯어내고 지면을 평탄하게 고른다.

(2)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3) 모래나 입도가 작은 자갈을 두께가 10~15cm가 되도록 깐다.

(4) 장선의 양옆에 단열재 받침판을 댄다.

(5) 단열재 받침판 위의 장선 사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틈 없이 채워 깐다.

(6) 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2번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깐다.

(7) 뜯어 낸 마루널을 바탕마루로 다시 깔고 그 위에 우드블록(Wood block)등으로 바닥마감을 한다.

1.4.2 주의사항

(1) 기존 마루널을 뜯어낼 때에는 다시 쓸 수 있도록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장선의 윗면과 발포폴리스티렌의 윗면이 가지런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5 부엌 및 욕실 바닥

1.5.1 바닥 콘크리트 위에 단열 시공하는 경우

1.5.1.1 시공방법 및 순서

(1) 잡석이나 모래를 고루 깔고 다진다.

(2)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분이 건조하기 전에 쇠흙손질하여 충분히 양생한다.

(3) 바닥 콘크리트면의 튀어나온 부분이나 붙어 있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고 평탄하게 한 후 깨끗하게 청소한다.

(4)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5) 발포폴리스티렌을 틈이 없도록 깔며 이음부는 내습성 테이프로 접착 고정한다.

(6) 모르터를 두께 2cm정도로 바른다.

(7) 모르터가 굳은 후에 #8 와이어 메쉬(Wire mesh)를 깔고 두께 2cm정도로 모르터를 평탄하게 바른다.

(8) 그 위에 액체 방수층을 만들고 보호 모르터를 바른다.

(9) 보호 모르터가 굳은 후에 모자이크 타일 (Mosaic tile) 또는 아스타일(Astile)등으로 바닥 마감을 한다.

1.5.1.2 주의 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밑에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2)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1호(밀도 0.03g/m^3)를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합니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5.2 바닥 콘크리트 밑에 단열 시공하는 경우

1.5.2.1 시공 방법 및 순서

(1) 잡석이나 모래를 고루 깔고 다진다.

(2) 밑창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분이 건조하기 전에 쇠흙손질하여 충분히 양생한다.

(3)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4) 발포폴리스티렌을 틈이 없도록 깔며 이음부는 내습성 테이프로 접착 고정한다.

(5)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충분히 양생한다.

(6) 바닥 콘크리트면의 튀어나온 부분이나 붙어 있는 찌꺼기 등을 제거하고 평탄하게 한 후 깨끗하게 청소한다.

(7) 그 위에 액체 방수층을 만들고 보호 모르터를 바른다.

(8) 보호 모르터가 굳은 후에 모자이크 타일(Mosaic tile) 또는 아스타일(Astile)등으로 바닥마감을 한다.

1.5.2.2 주의 사항

(1) 밑창 콘크리트는 1:3:6으로 배합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을 깔 때 밑에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3) 바닥과 벽의 접합부 단열시공에 주의하여야 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1호(밀도 0.03g/m^3)를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 벽체의 단열시공방법

2.1 공간 쌓기 벽

2.1.1 긴결철물을 사용하는 경우

2.1.1.1 시공방법 및 순서

(1) 안벽과 밖 벽을 긴결철물의 설치위치까지 쌓는다.

(2) 벽체를 쌓을 때 모르터를 흘리지 않도록 하고 단열재를 설치하는 면은 줄눈으로 흐른 모르터를 평탄하게 쇠흙손질하며 쌓는다.

(3) 긴결철물의 세로방향 설치간격에 맞추어 절단한 발포폴리스티렌을 안쪽 벽체에 붙여 끼워 넣는다.

(4) 발포폴리스티렌과 바깥쪽 벽체 사이에 쐐기용 발포폴리스티렌을 40~60cm 간격으로 빠듯하게 박아 넣어 고정시킨다.

(5) 긴결철물을 설치하고 위의 작업을 반복하여 벽체를 완성시킨다.

(6) 발포폴리스티렌의 사이는 초산 비닐수지계 접착제 등 발포폴리스티렌에 나쁜 영향이 없는 접착제로 붙인다.

(7) 폴리에틸렌 필름의 접합부는 5cm이상 겹쳐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2.1.1.2 주의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을 설치하기 전에 벽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대면 방습 및 결로 방지에 좋다.

(2) 폴리에틸렌을 대는 경우에는 안쪽 벽체를 먼저 쌓고 폴리에틸렌 필름을 붙인 다음 발포폴리스티렌을 설치하면서 붙인 다음 외측벽을 쌓아야 한다.

(3) 공간 쌓기 벽의 공간은 단열재의 두께보다 10cm정도 더 크게 하여야 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의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1.2 벽돌앵커를 사용하는 경우

2.1.2.1 시공방법 및 순서

(1) 긴결철물 대신 벽돌앵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시공법과 주의사항은 상기 경우와 같다.

(2) 벽돌앵커에 접하는 발포폴리스티렌은 벽돌앵커와 발포폴리스티렌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정밀하게 절단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1.3 실내측에 나무벽돌을 묻어 두는 경우

2.1.3.1 시공방법 및 순서

(1) 일반적인 시공법과 주의사항은 상기 경우와 같다.

(2) 실내측의 벽체를 쌓을 때에 소정간격으로 나무벽돌을 묻는다.

(3) 묻어둔 나무벽돌에 띠장을 대고 합판이나 보드(board)류로 마감한다.

2.1.4 철선으로 단열재를 고정하는 경우

2.1.4.1 시공방법 및 순서

(1) 안쪽 벽체를 먼저 쌓는다.

(2) 벽체를 쌓을 때 발포폴리스티렌 고정용으로 #16철선을 U형으로 구부려 간격 40*80cm 내외로 묻어둔다.

(3) 발포폴리스티렌을 묻어둔 철선으로 묶어 벽체에 밀착되도록 고정시킨다.

(4) 미리 묻어둔 긴결철물을 물려 바깥쪽 벽체를 쌓는다.

(5) 발포폴리스티렌 이음새의 접착 및 방습층 설치 등 기타사항은 상기 경우와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1.5 고정용 나팔관으로 단열재를 고정하는 경우

2.1.5.1 시공방법 및 순서

(1) 안쪽 벽체를 먼저 쌓는다.

(2) 벽체를 쌓을 때 긴결철물로 6mm 이형철근을 묻는다.

(3) 발포폴리스티렌을 벽체에 대고 고정용 나팔관으로 벽체에 밀착시켜 고정한다.

(4) 긴결철물을 물려 바깥쪽 벽체를 쌓는다.

(5) 발포폴리스티렌 이음새의 접착 및 방습층 설치 등 기타사항은 상기 경우와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1.5.2 주의사항

(1) 고정용 나팔관은 압착을 한 후 헐거워지지 않는 구조로 하고 재질은 녹슬지 않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2) 기타 주의사항은 상기 경우와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1.6 안쪽 벽체를 블록으로 쌓는 경우

2.1.6.1 시공방법 및 순서

안쪽 벽체를 블록으로 쌓고 바깥쪽 벽체는 벽돌로 쌓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시공법과 주의사항은 상기 경우와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2 조적벽 내단열

2.2.1 단열재를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경우

2.2.1.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를 완전히 쌓는다.

(2) 수장용 띠장을 미리 벽체에 묻어둔 나무벽돌에 고정시키거나 조적벽체에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시킨다.

(3) 발포폴리스티렌 붙임의 바탕으로서 고름 모르터를 평탄하게 미장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을 띠장 간격에 맞추어 정밀히 절단한 다음 접착제로 전면 접착시킨다.

(5) 약 30분 이내에 다시 압착하여 초기 박리를 방지한다.

(6) 방습용 폴리에틸렌 필름을 띠장에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여 발포폴리스티렌 전면을 기밀하게 덮는다.

(7) 합판이나 보드류로 수장마감을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2.1.2 주의사항

(1) 띠장의 춤은 수장재를 붙였을 때 발포폴리스티렌이 눌리지 않을 정도로 하여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의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2.2.2 공간 쌓기 벽의 경우

2.2.2.1 시공방법 및 순서

(1) 공간 쌓기 벽을 쌓고 실내측에 단열재를 붙이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시공방법과 주의사항은 나-1의 경우와 같다.

(2) 안벽과 밖 벽은 동시에 쌓아 올라가는 것이 능률적이다.

2.2.3 단열재를 줄대로 고정시키는 경우

2.2.3.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를 완전히 쌓는다.

(2) 수장용 띠장을 미리 벽체에 묻어 둔 나무벽돌에 고정시키거나 조적벽체에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시킨다.

(3) 발포폴리스티렌을 띠장 간격에 맞추어 정밀하게 절단하여 띠장 사이에 삽입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깐다.

(5) 줄대를 띠장의 네 변에 대고 띠장에 30cm내외로 못을 엇빗치기 하여 발포폴리스티렌을 고정시킨다.

(6) 합판이나 보오드류로 수장마감을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2.3.2 주의사항

(1) 띠장의 춤은 수장재를 붙였을 때 발포폴리스티렌이 눌리지 않을 정도로 하여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의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2.4 단열재를 철선으로 고정시키는 경우

2.2.4.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를 쌓을 때 40x80cm 간격으로 #16철선을 물려 쌓는다.

(2) 수장용 띠장을 미리 벽체에 묻어둔 나무 벽돌에 고정시키거나 조적벽체에 콘크리트 못으로 고정시킨다.

(3) 발포폴리스티렌을 띠장 간격에 맞추어 정밀히 절단하여 띠장 사이에 끼워 넣고 미리 물려 둔 철선으로 묶어 고정시킨다.

(4) 방습용 폴리에틸렌 필름을 띠장에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여 발포폴리스티렌 전면을 기밀하게 덮는다.

(5) 합판이나 보오드류로 수장마감을 한다.

2.2.4.2 주의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의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2.5 블록 벽체의 경우

2.2.5.1 시공방법 및 순서

(1) 블록 벽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접착제로 붙이는 경우에도 일반적인 시공방법과 주의사항은 상기 경우와 같다.

(2) 합판 위에 벽지를 붙이거나 페인트 칠 또는 수장합판으로 마감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3 벽과 바닥의 접합부

2.3.1 공간 쌓기 벽과 모르터 바닥의 접합부

2.3.1.1 시공방법 및 순서

(1) 기초 위에 방수액을 바르고 공간 쌓기 벽을 쌓는다.

(2) 발포폴리스티렌이 기초 위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벽체의 공중부에 끼워 넣는다.

(3) 바닥 콘크리트 위에 고름 모르터를 깔고 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과 발포폴리스티렌을 깐다.

(4) 바닥의 발포폴리스티렌과 벽면사이에는 나무널을 끼워 넣는다.

(5) 발포폴리스티렌 위에 바탕 모르터를 미장하되 중간에 #18 와이어 메쉬를 깐다.

(6) 수장 공사등 기타 시공방법과 주의사항은 일반 시공법과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3.2 공간 쌓기 벽과 온수온돌 바닥의 접합부

2.3.2.1 시공방법 및 순서

온수온돌 바닥과 접합되는 부위에도 일반적인 시공방법과 주의사항은 2.3.1의 경우와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3.3 내단열 조적벽과 온수온돌 바닥의 접합부

2.3.3.1 시공방법 및 순서

(1) 기초 콘크리트 위에 방수액을 바른 후 벽체를 쌓는다.

(2) 바닥 콘크리트 위에 두께 0.1mm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벽체의 밑면까지 기밀하게 깐다.

(3) 벽체에 수장용 띠장을 대고 고름 모르터로 미장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을 접착제로 붙인다.

(5) 폴리에틸렌 필름을 띠장에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여 발포폴리스티렌 전면을 기밀하게 덮은 후 바닥의 폴리에틸렌 필름과 겹쳐 붙인다.

(6) 온돌공사 및 기타의 시공방법과 주의사항은 일반공법과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3.4 내단열 조적벽과 동바리로 받치는 마루바닥의 접합부

2.3.4.1 시공방법 및 순서

(1) 기초 콘크리트 위에 방수액을 바른 후 벽체를 쌓는다.

(2) 벽체에 수장용 띠장을 대고 고름모르터로 평탄하게 마감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을 윗면에서부터 아래로 기밀하게 접착시킨다.

(4) 멍에 및 받침판 위에 바닥 발포폴리스티렌을 틈새 없이 깐다.

(5) 벽과 바닥의 발포폴리스티렌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붙여 깐다.

(6) 벽의 수장 및 바닥 마감등 기타의 시공방법과 주의사항은 일반공법과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3.5 내단열 조적벽과 멍에로 받치는 마루바닥의 접합부

2.3.5.1 시공방법 및 순서

(1) 기초 콘크리트 위에 방수액을 바른 후 벽체를 쌓는다.

(2) 벽체에 띠장을 대고 발포폴리스티렌을 부착시킨 다음 벽체의 발포폴리스티렌 전면과 바닥 콘크리트면을 함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덮는다.

(3) 콘크리트 바닥에 멍에를 대고 멍에 사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빈틈없이 깐다.

(4) 벽체의 수장과 마루 놓기 등 기타의 시공방법과 주의사항은 일반공법과 같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4 콘크리트 벽

2.4.1 콘크리트 벽 내단열의 경우

2.4.1.1 시공방법 및 순서

(1) 콘크리트 벽체와 같은 면이 되도록 나무벽돌을 설치한다.

(2) 벽체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가 되도록 양생한다.

(3) 단열재가 접착될 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4) 띠장을 못으로 나무벽돌에 고정시킨다.

(5) 단열재를 띠장 사이에 틈새 없이 붙여 댄다.

(6) 단열재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붙여 대고 보오드류 등의 마감재 또는 마감 바탕재를 붙인다.

2.4.1.2 주의사항

(1) 폴리에틸렌 필름은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여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2.4.2 콘크리트 벽과 조적벽을 공간 쌓기 하는 경우

2.4.2.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 콘크리트 시공시에 구조상 필요할 경우에는 긴결철물을 묻어 시공한다.

(2) 벽체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가 되도록 양생한다.

(3) 단열재가 접착될 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4) 단열재를 콘크리트면에 접착제로 붙이거나 미리 묻어 놓은 긴결철물로 고정시킨다.

(5) 실내측의 벽돌을 쌓는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1) 단열재를 겹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음새가 어긋나게 시공하여야 한다.

(2) 단열재를 거푸집 표면에 대고 콘크리트를 치는 시공법은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단열성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가급적 이 방법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실내측 마감이 내습성 재료가 아닐 경우에는 단열재의 실내측 표면에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방습층을 두어야 한다.

(4)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4.3 콘크리트 벽 외단열의 경우

2.4.3.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 콘크리트 시공시에 보울트/인서어트 등 띠장받이 고정쇠를 묻는다.

(2) 벽체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가 되도록 양생한다.

(3) 단열재가 접착 될 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4) 벽체의 실내측이 방습재 마감이 아닌 경우에는 벽체 외부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바르고 아스팔트 펠트를 붙이는 등 방습층을 설치한다.

(5) 단열재를 미리 묻어 놓은 철선 또는 긴결철물로 밀착시킨다.

(6) 단열재의 외부 면에는 알루미늄박 펠트 등 열반사 효과가 큰 재료를 붙인다.

2.4.3.2 주의사항

(1) 단열재를 겹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음새가 어긋나게 시공하여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4.4 세로 띠장을 대는 경우

2.4.4.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 콘크리트 시공시에 콘크리트 면과 동일하도록 나무벽돌을 묻는다.

(2) 벽체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가 되도록 양생한다.

(3) 단열재가 접착될 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4) 세로 띠장 (세로 받이재)은 미리 묻어 놓은 나무벽돌에 윗면이 가지런하게 나올 수 있도록 못으로 고정시킨다.

(5) 띠장 사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틈새 없이 설치한다.

(6) 합판 등 벽 바탕재를 설치한다.

(7) 벽 바탕재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깔고 내장마감을 한다.

2.4.4.2 주의사항

(1)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무벽돌을 묻을 필요가 없다.

(2) 발포폴리스티렌 사이는 틈새 없이 기밀하게 이어야 한다.

(3) 벽 바탕재를 생략하고 단열재의 실내측 면에 방습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4)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4.5 가로 띠장을 대는 경우

2.4.5.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 콘크리트 시공시에 콘크리트 면과 동일하도록 나무벽돌을 묻는다.

(2) 벽체 콘크리트가 소정이 강도가 되도록 양생한다.

(3) 단열재가 접착될 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4) 가로 띠장 (가로 받이재)은 미리 묻어 놓은 나무벽돌에 윗면이 가지런하게 나올 수 있도록 못으로 고정시킨다.

(5) 띠장 사이에 발포폴리스티렌을 틈새 없이 설치한다.

(6) 단열재의 실내측 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깐다.

(7) 벽 바탕재용 세로 받이재(띠장)을 대고 그 위에 벽 바탕재 및 마감시공을 한다.

2.4.5.2 주의사항

(1) 콘크리트 못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무벽돌을 묻을 필요가 없다.

(2) 발포폴리스티렌 사이는 틈새 없이 기밀하게 이어야 한다.

(3) 마감재가 비투습성 재료인 경우에는 방습층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4) 마감재가 합판등 판재류인 경우에는 방습층을 벽 바탕재의 실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5)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4.6 쐐기용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

2.4.6.1 시공방법 및 순서

(1) 벽체 콘크리트 시공시에 구조상 필요할 경우에는 긴결철물을 묻어 시공한다.

(2) 벽체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가 되도록 양생한다.

(3) 단열재가 접착될 면을 깨끗이 청소한다.

(4) 단열재를 콘크리트면에 접착제로 붙이거나 미리 묻어 놓은 긴결철물로 고정시키고 단열재 사이의 이음부분은 발포폴리스티렌 조각(쐐기용 단열재)을 덧대 못 또는 핀으로 고정시킨다.

(5) 실내측 마감이 내습성 재료가 아닌 경우에는 단열재의 실내측 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붙여 댄다.

2.4.6.2 주의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 기타 접합부

2.5.1 내단열 콘크리트 벽의 창호 상단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2 내단열 콘크리트 벽의 창호 하단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3 콘크리트 벽과 조적벽을 공간 쌓기 하는 경우의 창호 하단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4 콘크리트 벽과 조적벽을 공간 쌓기 하는 경우의 창호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5 콘크리트 벽과 조적벽을 공간 쌓기 하는 경우의 마루바닥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6 콘크리트 벽과 조적벽을 공간 쌓기 하는 경우의 천정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7 콘크리트 벽과 조적벽을 공간 쌓기 하는 경우의 온수온돌 바닥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8 콘크리트 벽과 조적벽을 공간 쌓기 하는 경우의 모르터 바닥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9 콘크리트 슬래브와 옥상난간 벽체의 접합부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0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 1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1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 2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2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 3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3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4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4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5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5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6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6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7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2.5.17 콘크리트 슬래브와 벽체부 위의 접합부 ; 방법8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 지붕 및 천장의 단열시공방법

3.1 지붕의 단열

3.1.1 지붕 외단열

3.1.1.1 시공방법 및 순서

(1) 지붕 슬래브 면을 건조시킨 후 방수층을 시공한다.

(2) 방수층 윗면을 깨끗이 청소한 후 발포폴리스티렌을 방수면에 밀착되게 깔되 발포폴리스티렌은 틈새가 나지 않도록, 서로 맞닿게 잇고 내습성 테이프를 붙인다.

(3) 단열재 윗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뜨지 않도록 겹쳐 깔되 그 접합부는 15cm이상 겹치게 하거나 5cm 이상 덧대어 접착제 또는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4) 누름 콘크리트를 소정의 두께로 친다.

(5) 누름 콘크리트 시공 및 마감 등 기타사항은 일반공법과 같다.

3.1.1.2 주의사항

(1) 지붕 슬래브 면이 고르지 못할 때에는 고름 모르터로 면을 평탄하게 고르고 건조시켜야 한다.

(2) 단열재를 겹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음새가 어긋나게 시공하여야 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1.2 슬레이트 지붕 ; 단열재를 고리철판으로 고정시키는 경우

3.1.2.1 시공방법 및 순서

(1) 중도리 앵글에 고리철판을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 치수에 알맞은 간격으로 용접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을 중도리에 꼭 끼워지게 절단하여 끼워 넣는다.

(3) 단열재의 이음은 틈이 나지 않도록 서로 맞닿게 하여 내습성 테이프를 붙이거나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3.1.2.2 주의사항

(1)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4호(밀도 0.016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1.3 슬레이트 지붕 ;단열재를 지붕널에 접착시키는 경우

3.1.3.1 시공방법 및 순서

(1) 지붕널을 중도리에 못박아 깔되 빈틈이 없도록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을 지붕널에 밀착시켜 붙인다.

(3) 단열재의 이음은 틈이 나지 않도록 서로 맞닿게 하여 내습성 테이프를 붙이거나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4) 골 슬레이트 이음은 표준시방에 따라 시공한다.

3.1.3.2 주의사항

(1) 단열재의 이음새는 길이 방향에서는 중도리 위에, 가로 방향에서는 지붕널에 닿는 골 부분에 두어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3호(밀도 0.20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1.4 슬레이트 지붕 ; 단열재를 플랜지에 접착시키는 경우

3.1.4.1 시공방법 및 순서

(1) 단열재의 접하는 철골 중도리의 플랜지(flange)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청소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을 접착제로 플랜지면에 접착시킨다.

(3) 단열재의 이음은 틈새가 없도록 옆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테이프로 붙이거나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4) 골 슬레이트 이음은 표준시방에 따라 시공한다.

3.1.4.2 주의사항

(1) 단열재의 길이 방향의 이음은 중도리 철골의 플랜지 위에 오도록 하여야 한다.

(2) 얇은 발포폴리스티렌 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겹마다 접착제로 밀착시키고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하여야 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3호(밀도 0.20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2 지붕 내단열

3.2.1 콘크리트 슬래브

3.2.1.1. 시공방법 및 순서

(1) 콘크리트지붕 슬래브 면을 고른 다음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2) 단열재는 접착제로 반자틀 사이의 슬래브 밑면에 고루 밀착되게 눌러 붙인다.

(3) 단열재의 이음은 틈새가 없도록 옆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테이프로 붙이거나 접착제로 접착시킨다.

(4) 반자 바탕 또는 천정판을 반자 틀에 못박아 단열재가 눌리게 한다.

3.2.1.2 주의사항

(1) 얇은 발포폴리스티렌 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겹마다 접착제로 밀착시키고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하여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3호(밀도 0.20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2.2 기와지붕

3.2.2.1 시공방법 및 순서

(1) 서까래 사이의 지붕널 밑면을 청소하고 불순물을 제거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서까래 사이에 꼭 끼게 잘라 수용성 접착제로 지붕널 밑면에 눌러 붙인다.

(3) 단열재의 이음새는 틈이 나지 않도록 접착시키거나 접착면이 서로 맞닿게 하여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4) 단열재 붙임이 끝난 다음 누름대를 서까래에 못박아 붙이고 쐐기 등을 박아 단열재를 눌러 고정시킨다.

(5) 기와이음은 표준시방에 따라 시공한다.

3.2.2.2 주의사항

(1) 얇은 발포폴리스티렌 판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겹마다 접착제로 밀착시키고 이음새가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오도록 하여야 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3호(밀도 0.20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3 천정 외단열

3.3.1 일반 반자틀의 경우

3.3.1.1 시공방법 및 순서

(1) 반자틀에 천정 바탕재를 붙여가면서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끼워 넣는다.

(2)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반자틀과 틀 사이에 꼭 낄 수 있는 치수로 잘라 반자 바탕과 밀착되도록 접착제를 사용하여 반자 바탕 위로 끼워 넣는다.

(3) 접착이 잘 되도록 눌러둔다.

3.3.1.2 주의사항

(1) 기존 반자인 경우 천정 속 작업이 가능하면 천정 속에서 단열재를 끼워 넣을 수도 있다.

(2) 단열재는 가급적 잇지 않은 것을 사용하면 이어 쓸 경우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켜야 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3호(밀도 0.20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3.2 경량금속 반자틀의 경우

3.3.2.1 시공방법 및 순서

(1) 경량급속 반자틀에 천정 마감재를 붙여 가면서 단열재를 설치한다.

(2)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반자틀에 꼭 낄 수 있는 치수로 잘라 반자틀 사이에 끼워 넣는다.

(3) 단열재의 이음새는 틈이 나지 않도록 접착시키거나 접착면이 서로 맞닿게 하여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3.3.2.2 주의사항

(1) 기존 반자인 경우에는 천정 속 작업을 원칙으로 하지만 천정 마감재를 붙여가면서 단열재를 설치 할 수도 있다.

(2)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3호(밀도 0.20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3.3.3 누름대로 단열재를 고정시키는 경우

3.3.3.1 시공방법 및 순서

(1) 반다틀을 설치한다.

(2) 반자틀 윗면을 고르고 불순물을 제거한다.

(3) 천정 속 주위의 벽면에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접착제로 눌러 붙인다.

(4) 반자틀 윗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발포폴리스티렌 단열재를 눌러 붙인다.

(5) 단열재의 이음새는 틈이 나지 않도록, 접착시키거나 접착면이 서로 맞닿게 하여 내습성 테이프로 붙인다.

(6) 누름대를 반자틀에 못박아 댄다.

(7) 반자틀에 천정 바탕을 붙인다.

3.3.3.2 주의사항

(1) 단열재의 이음새는 반자틀 위에 오도록 하여야 한다.

(2) 달대가 오는 부분에는 정확하게 단열재를 오려내어 꼭 끼게 하여야 한다.

(3) 발포폴리스티렌은 KS 보온판 3호(밀도 0.20g/m^3)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그 두께는 부록 별표에서 정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단열재 격자 넣기 - dan-yeoljae gyeogja neohgi

4. 품셈

4.1 공통사항

4.1.1 수량계산

단열재의 수량을 산출할 때 다음에 열거하는 면적은 구조물의 수량에서 공제하지 않는다.

(1) 보울트, 스위치 박스 등의 구멍

(2) 으음줄눈의 간격

(3) 1개소 당 0.1m^2 이하의 구조물 자리

(4) 기타 전항에 준하는 것

4.1.2 소운반

이 품셈에서는 소운반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소운반이라 함은 수평거리 20m이내의 운반을 말한다. 소운반 거리가 20m을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분에 대하여 이를 별도로 계상한다. 경사면의 소운반 거리는 수직거리 1m을 수평거리 6m의 비율로 본다.

4.1.3 시공관리 시험비

시공관리를 위하여 시험실 또는 현장에서 시행되는 모든 시험비를 계상한다.

4.1.4 유해/위험 작업

유해/위험작업/시간의 야간 또는 휴일의 근무가 불가피할 경우는 근로기준법의 관계규정에 따라야 한다.

4.1.5 품할증

이 품셈은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조건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조건일 경우에는 작업능률의 저하를 감안하여 품을 할증할 수 있다.

(1) 고층특수 건축물의 공사에서 고소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능률 저하를 고려하여 품을 여건에 맞추어 할증할 수 있다.

(2) 10m^2이하 기타 이에 준하는 소규모 공사에는 품을 50%까지 할증 할 수 있다.

(3) 산악지/도서지구 기타 현장의 여건상 공사의 진행에 장애가 예상 될 경우 품을 10~20% 할증 할 수 있다.

(4) 동일 장소 내 여러 증기를 가동함으로써 작업장소의 협소/소음/위험 등 작업능률의 저하가 클 때에는 50%까지 품을 할증 할 수 있다.

(5) PERT/CPM 공정계획에 의하여 일정을 산출한 결과 야간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나 공사의 성질상 부득이 야간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능률이 20% 까지 저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