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인증표시소개 친환경 인증표시 방법을 소개합니다.

친환경 인증표시

친환경 인증로고는 국가가 인증한 품질 좋고 안전한 농식품임을 알 수 있도록 국새 모양의 초록색 사각표지로 소비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단순화 하였습니다.

친환경 인증 종류별 표시방법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농(한글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농(한글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축산(한글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농(영문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유기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재배 농산물 또는 유기농
-유기재배 ○○(○○은 농산물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한다), 유기축산 ○○, 유기○○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농림축산식품부 무농약(한글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농림축산식품부 무농약(영문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무농약

-무농약, 무농약농산물 또는 무농약○○
-무농약재배 농산물 또는 무농약재배○○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가공품(한글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가공품(영문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유기가공식품

-유기가공식품, 유기농 또는 유기식품
-유기농○○ 또는 유기○○

  • 농림축산식품부 무농약원료가공식품(한글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농림축산식품부 무농약원료가공식품(영문표시)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무농약원료가공식품

-무농약원료가공식품
-무농약원료 ○○
-무농약○○(으)로 만든 가공식품
-무농약○○(으)로 만든 ○○

- 무공해·저공해 등 소비자에게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표시를 하지 아니할 것
- 토양이 아닌 시설 또는 배지[培地, 버섯류, 양액(배양액을 말한다. 이하 같다)재배 농산물 등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급하거나 작물이 자랄 수 있도록
  조성된 토양 외의 물질]에서 작물을 재배하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외부에서 공급하거나 외부에서 공급하지 않고 자연용수에 용존(溶存)한 물질에 의존하여 재배한
  농산물은 양액재배농산물 또는 수경재배농산물로 별도 표시 할 것

친환경농축산물 인증제도

  • 친환경농축산물 인증제도란?
    정부가 지정한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ㆍ검사하여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생산한 농축산물임을 인증해주는 제도입니다.
  • 친환경농축산물이란?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에서의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하며,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기 위하여 합성농약, 화학비료, 항생제및 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생산한 농축산물을 말합니다.
  • 친환경농축산물 관리 토양과 물은 물론 생육과 수확 등 생산 및 출하단계에서 인증기준을 준수 했는지의 엄격한 품질 검사와 시중 유통품에 대해서도 허위표시를 하거나 규정을 지키지 않는 인증품이 없도록 철저한 사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 친환경농축산물의 종류 및 기준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2종류) -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친환경축산물 인증 종류(1종류) - 유기축산물

친환경농축산물의 종류와 기준

종류기준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농산물은 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전환기간 : 최초 수확 전 3년)
유기축산물은 유기농산물의 재배·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된 [유기사료] 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무농약농산물 무농약농산물은 합성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 이내 사용

친환경농축산물이란?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에서의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하며,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축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유기합성농약, 화학비료, 사료첨가제, 항생제 및 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소량만을 사용하여 건강한 환경에서 생산한 농축산물을 말함

친환경농축산물 인증제도

친환경농축산물 인증제도란?

  •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친환경농축산물을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 검사하여 정부가 그 안전성을 인증해주는 제도입니다.

친환경농축산물 관리

  • 토양과 물은 물론 생육과 수확 등 생산 및 출하단계에서 인증기준을 준수했는지의 엄격한 품질 검사와 시중 유통품에 대해서도 허위표시를 하거나 규정을 지키지 않는 인증품이 없도록 철저한 사후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친환경농축산물의 종류 및 기준

  •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2종류) -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 친환경축산물 인증 종류(2종류) - 유기축산물, 무항생제축산물
친환경 농산물 종류별 표시방법 및 실천기준 : 종류, 기준 으로 구성
종류기준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 유기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전환기간 : 다년생 작물은 최초 수확 전 3년, 그 외 작물은 파종 재식 전 2년)
  • 유기축산물은, 유기농산물의 재배·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된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무농약농산물
무항생제축산물
  • 무농약농산물은, 유기합성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 이내 사용
  • 무항생제축산물은, 항생제, 합성향균제, 호르몬제가 첨가되지 않은 [일반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 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친환경 인증 종류별 표시방법

친환경 인증 종류별 표시방법 : 종류, 설명 으로 구성
종류설명
유기
  • 유기농산물, 유기축산물, 유기재배 농산물 또는 유기농
  • 유기재배 ○○(○○은 농산물의 일반적인 명칭으로 한다), 유기축산 ○○, 유기○○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무농약
  • 무농약, 무농약농산물 또는 무농약○○
  • 무농약재배 농산물 또는 무농약재배○○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무항생제
  • 무항생제, 무항생제축산물, 무항생제○○ 또는 무항생제 사육 ○○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유기가공식품
  • 유기가공식품, 유기농 또는 유기식품
  • 유기농○○ 또는 유기○○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친환경 인증 종류 - chinhwangyeong injeung jonglyu

  • 무공해·저공해 등 소비자에게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표시를 하지 아니할 것
  • 토양이 아닌 시설 또는 배지[培地, 버섯류, 양액(배양액을 말함)재배 농산물 등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급하거나 작물이 자랄 수 있도록 조성된 토양 외의 물질]에서 작물을 재배하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외부에서 공급하거나 외부에서 공급하지 않고 자연용수에 용존(溶存)한 물질에 의존하여 재배한 농산물은 양액재배농산물 또는 수경재배농산물로 별도 표시 할 것

친환경 인증관리 정보시스템 친환경 인증관리 정보시스템 바로가기바로가기 아이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관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 친환경 농축산물, 유기가공식품과 관련된 상세한 정보는 및 지역별 인증정보 등의 자세한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메뉴담당자 담당부서 : 미래농업과 친환경축산담당 담당자 : 최윤록(044-301-2731) 최종확인일 : 2022-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