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메카트로닉스 전망 - baiomekateulonigseu jeonmang

1. 바이오메카트로닉스 학과 전망

-최근 국가에서는 새로운 먹거리 사업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논의되고 있는 여러 아이템 중, 단연코 돋보이는 것은 바이오사업입니다. 하지만 바이오사업 단독만으로는 사업의 확장성 면에 한계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강점인 반도체 기술, 정밀 기술, 나노 기술 등과의 융합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면에서 바이오메카트로닉스 학과는 바이오+기계+전자+컴퓨터가 합쳐진 학과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명공학 분야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확신합니다.

– 성균관대 바이오메카트로닉스 학과는 생명공학대학 소속이지만 졸업 시 이학사가 아닌 공학사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취업 역시 다양한 분야로 진출합니다.

– 대표적인 취업 분야는 전자, 자동차, 중공업, IT 관련 대기업은 물론 국공립연구소, 정부기관, 대학병원 등 다양하게 취업하고 있습니다.

– 대학원 과정으로 진학 시, 국공립연구소, 대기업은 물론 대학교수로 산업체와 대학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2. 융합전공이란?

-융합전공은 문자 그대로 융합되어 있는 전공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학과가 분리되어 있는 것에 익숙하지만, 대학원에만 가도 기계공학과 교수님께서 세포를 키우고 화학 실험으로 나노 물질을 만드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기존 전공에 새로운 분야를 융합하여 창의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융합전공은 이러한 장점을 학과 전공에 옮겨와서, 기존 학과보다 좀 더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전공 시스템을 말합니다.

-물론, 깊이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지만, 반대로 그만큼 더 넓은 전공을 배워 본인의 적성을 찾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우수한 전공 시스템입니다.

3. 대학원 면접 노하우

-대학원을 진학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3가지입니다. 1) 본인이 현재 속한 대학, 2) 학점, 3)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 교수님과의 상담. 이 3가지 모두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은 대학원 진학은 다음 3가지에서 합격여부가 결정이 나지만, 만약 1,2,3번의 모든 점수가 비슷한 경우라면 마지막 단계인 면접에서 승부가 납니다.

-이렇게 1,2점의 차이가 중요한 상황이라면 면접에 대한 준비를 잘해야 합니다.

1) 대학원에 진학하는 목적에 대해서 선명히 말하라.

2) 대학원에 진학하여하고 싶은 연구에 대해서 준비하자.(단,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실의 분야와 높은 연관성이 있어야 한다.)

3) 기본적 전공 지식에 대한 질문이 나올 수 있다. (혹은,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있는 전공지식을 물어볼 수도 있다.)

4) (석사, 박사) 학위를 받고 나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자신 있게 말하라.

-기본적으로 면접은 자신감이 무척 중요합니다.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여주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4. 학부 인턴 모집

-성균관대학교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NBES Lab.(Nano Bio Environmental Sensor Lab, 나노 바이오 환경 센서 연구실)에서는 학부 연구생과 학부 인턴을 상시 모집하고 있습니다.

-22년 초에 갓준표님의 Youtube 채널로 홍보를 진행했는데, 많은 학생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셨습니다. 동영상을 보고 타 대학에서도 많은 문의를 주셨습니다. 기존 3명의 학부 연구생이 현재 6명으로 늘었고, 추가로 논의 중인 학생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22년 여름방학에는 학부 연구생과 학부 인턴을 더 이상 받기가 어렵고, 22년 겨울방학에는 3명 정도 모집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 박교수의 브런치

–박진성 교수가 운영하는 브런치입니다. 대학생활, 취업, 대학원 등에 대한 부족한 조언을 몇 자 적어두었습니다.

학과안내 및 소개

바이오메카트로닉스는 전자공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분야의 기술과 지식을 바이오 및 의학 분야 기술과 지식에 효율적으로 접목하여 통합하는 새로운 융합학문이다. 이 분야에서는 인체를 포함한 동물, 식물, 미생물 등 생명체의 진단, 생산, 복제, 배양, 합성, 가공 등에 필요한 기계, 전자 장비의 연구개발에 필요한 학문을 다룬다. 예를 들면, 인체내부를 이동하면서 암을 검진하는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체의 특성, 암의 특성 등 생체에 관한 지식, 로봇의 운동에 대한 기계공학적인 지식,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공학적인 지식이 융합되어야 한다. 또한, 미래의 산업으로 각광 받게 될 식물공장에는 식물이 생육하는데 필요한 생물학적 지식은 물론 온도, 습도, 광, 영양분 등 식물 환경을 조절하고 생산설비를 설계하기 위한 기계, 전자공학 지식이 동시에 필요하다. 바이오메카트로닉스는 인간의 생명을 윤택하게 보전하는 생명보전공학의 중심적 학문으로서, 21세기 생명?의공학 산업 분야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비전 및 진로

현재 순수 생명공학 분야는 미국이 독보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나, 생명.의공학 기술과 컴퓨터, 전자, 기계기술을 접목한 융합학문인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분야는 세계적으로 태동기에 있다. 세계의 우수 대학과 연구소에서도 이러한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분야의 연구력 증대를 위하여 대규모의 투자를 하고 있으며 많은 연구 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21세기 융합 바이오공학 분야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중견 기술 인력으로서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졸업자들은 국내외적으로 바이오메카트로닉스와 관련하여 학문연구의 기회가 다양하게 주어질 것이며 앞으로 다가올 바이오 융합생명산업과 의공학 산업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메카트로닉스 분야는 생물체의 생육, 가공, 유통에 등에 필요한 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다루며, 생체 모방 기술과 정보화, 생체 요소와 기능의 분석 및 모델링, 생물체의 생산과 가공․유통에 필요한 자동화시스템, 생육환경의 측정 및 제어 등에 요구되는 바이오센서, 무선 원격제어 및 로봇시스템, 실시간 비파괴 생체 품질 및 안전성 검사, 바이오 제품의 생산에 필요한 공정분석 및 시스템의 설계 등과 같은 요소기술이 바이오 산업체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생명공학 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생명산업의 기반 설비 기술로서 큰 발전이 기대된다.

의공학 분야의 연구 내용은 매우 다양하며 전망이 밝다. 생체에서 발생하는 심전도, 뇌전도 등의 신호를 검출하여 진단에 이용하는 생체신호처리, 생체시스템의 모델링, 동맥경화의 진단 및 인공관절의 설계 등에 이용되는 생체역학, 초음파, X선, MRI, 현미경 영상 등을 이용한 새로운 의료영상신호 처리 및 분석, 의수 및 의족 등을 개발하는 재활공학, 인공 심장 등과 같이 인체 기관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장기 분야는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인간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건강과 복지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되고 있다.

다양한 바이오 산업에 활용할 폭 넓은 학문 습득으로 졸업생의 진로는 매우 넓으며, 특히 최근 5년간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전공 졸업생의 취업률은 국내 대졸자 취업률보다 10%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인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본 전공 졸업생의 취업률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며 성장하고 있다. 업종별 취업 현황을 보면 주로 전자, 자동차, 중공업, 정보통신 관련 대기업은 물론 국공립연구소, 정부기관, 대학병원 등에 취업하고 있으며, 관련 전공의 대학원은 물론 의학 및 치의학 대학원에 진학하고 있다. 대학원 졸업생들은 국내외 국공립연구소, 대기업 등의 산업체, 대학 등에 취업하여 바이오메카트로닉스 분야의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안녕하세요! 입시를 앞두고 있는 바이오 엔지니어가 꿈인 고등학생입니다.

organ on a chip/인공 장기 분야/의료수술 로봇와 프로그래밍 분야에 관심을 두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생체공학이나 바이오메카트로닉스(의공학) 같은 과로 진학하는 것 보다기계공학을 학사전공으로 하고 바이오를 부전공으로 하거나, 석사를 바이오로 다는 것이 더 깊은 공부를 할 수 있고, 바이오 문제를 기계공학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결론적으로는 BME를 하고 싶다는 것인데.. 브릭에서 BME 관련 게시글을 계속 찾아보았는데 기계+바이오는 취업에 있어서 악조건이다, 기계가 바이오를 다는 순간 취업률이 떨어진다 등등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의견이 대다수더라고요.

게다가 대학교 다니면서 만약 계속 연구하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면 유학 갈 의지도 있었는데 '미국에서도 BME가 지고 있다, 일자리 없다, 오지마라' 등 댓글 보면서 비전 좋다고 들었는데 아닌가..? 싶고 혼란이 막대하네요.

Q1. 기계(학사)전공이 대학원에서 바이오석사하면 취업이 안되나요?

Q2. 한국에서는 정말 BME는 안되는 걸까요? 해외에서도 BME는 유망하지 않습니까?

Q3. 현재 BME 전망 고려했을 때 꿈 접고 소프트웨어/컴공으로 진학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나을까요?

Q4.  bioinformatics제외하고 sw(프로그래밍)을 바이오에 적용하는 분야가 있을까요?

관련 대학()생님들 또는 전문가님들,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하나라도 좋으니 견해 여쭙고자 합니다. 정말로 현실이 암울해도 괜찮습니다.

/*두서없고 무지한 글 읽어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전망 - baiomekateulonigseu jeonmang
 #BME   #기계공학   #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