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본 라우터 차이 - baegbon lauteo chai

정의-백본 라우터 란 무엇입니까?

백본 라우터는 네트워크의 서로 다른 메시에있는 별도의 시스템을 서로 연결하는 라우터 유형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백본 라우터는 모든 네트워크 연결에서 백본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백본 네트워크의 일부입니다. 외부 네트워크와의 독립적 인 시스템 연결이 가능합니다.

Techopedia는 백본 라우터를 설명합니다

백본은 일반적인 라우터가 아닙니다. 한 번에 수십 개의 시스템에서 수백 개의 프로세스를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성능이 뛰어나고 안정적이어야합니다. 백본 라우터는 일반적으로 강력한 처리 능력과 많은 메모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우팅 테이블은 수백 대의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꾸준히 흐르게하기 위해 방대합니다. 프로토콜에 따라 백본 라우터는 주요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합니다. 백본 라우터에는 Cisco Systems의 IOS (Internetwork Operating System)와 같은 전용 운영 체제가 제공됩니다.

이 정의는 네트워킹과 관련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봐도봐도 모르겠고, 알다가도 모르겠는 허브, 라우터, 공유기, 스위치의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1. 허브(Hub)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서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치로서, 데이터 패킷을 받으면 연결된 모든 장치들에게 모두 보냅니다. 모든 장치들이 데이터 패킷을 받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 패킷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취득합니다. 즉, 단순 분배를 하는 중계 장치입니다.

허브는 위와 같이 모든 연결된 장치들에게 패킷을 뿌리기 때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전송 대역을 분리해서 사용해야 됩니다. 예를 들어, 원래 허브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500Mbps라고 하면, 장치 5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대역폭은 100Mbps로 나눠지게 됩니다.

허브는 IP 할당 기능은 따로 있지 않고, 리피터1와 멀티포트2의 역할을 합니다.

2. 스위치(Switch)

스위치는 연결된 장치들의 IP와 MAC 주소를 모두 테이블 형태로 가지고, 원하는 목적지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허브와 달리 스위치는 무작정 데이터 패킷을 뿌리는 것이 아니라, IP와 MAC 주소를 기반으로 필요한 장치에게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줍니다.

가령, 87.90.40.2:5000 라는 IP와 Port로 요청이 들어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스위치는 해당 요청을 받아서, 테이블에서 요청된 IP와 Port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찾고, 해당 MAC 주소를 가진 장치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줍니다. 만약, IP주소와 Port에 일치하는 MAC 주소가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허브처럼 모든 장치들에게 다 데이터 패킷을 뿌려서(포워딩해서) 테이블을 갱신합니다.

허브에서 언급한 예제와 동일한 데이터 전송속도를 스위치가 가지고 있다고 하면, 장치가 5대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500Mbps로 유지됩니다.

3. 라우터(Router)

라우터는 LAN(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해 주는 장치로써, 데이터를 전송할 때 최종 목적지에 가기 위하여 거쳐야하는 많은 경로들 중에 적절한 통신 경로를 결정하기 위하여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Web에서 우리가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글, 네이버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에 접속을 필요로 합니다. 이런 경우에 서버가 내 IP와는 다른 IP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먼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www.naver.com’와 같은 도메인을 통하여 접속을 하면, 도메인 서버를 통하여 IP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IP를 이용하여 요청을 보내면, 라우터에서는 ‘다음은 여기 라우터로 가야됩니다!’ 라고 판단하고 데이터 패킷을 다른 라우터에게 전송해줍니다. 이런 과정을 여러번 진행하면서 수많은 라우터들을 거치고, 최종 목적지인 네이버로 도착하게 되는 것입니다.

위의 에제에서는 Web에서 비유했는데, 전화망에서도 라우터를 사용합니다. 전화망의 전화번호가 Web에서의 IP와 같은 번호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많은 장치들을 한 번에 라우터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라우터로 연결하기 전에 장치들을 백본 스위치에 연결하고 나서, 백본 스위치의 선을 라우터에 연결한다고 합니다.

4. 공유기

ISP(Internet Service Provider)3 업체에서는 IP를 제공하고, 소비자는 해당 IP를 구매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집이나 회사에서 해당 IP를 통하여 여러 장치들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공유기를 사용하여 여러 노트북과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ISP에서 제공해주는 IP는 외부 IP라고 하고, 공유기를 통해서 내부의 컴퓨터들이 사용할 수 있는 IP는 내부 IP라고 합니다. 192.168.0.xxx 와 같은 형태를 띄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담이지만 이전에 서든어택을 하기 위해서는 함께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 IP를 가져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런 경우에 한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같은 방에서 서든 어택을 할 수 없었습니다.

5. 인터넷, LAN, MAN, WAN

인터넷(Internet)은 Inter-networking(인터넷들의 연결)의 약자로, 쉽게 표현하면 라우터들의 모임입니다. 여러가지의 LAN이 얽히고 섥혀서 만들어진 거대한 네트워크가 바로 인터넷이고 이를 WAN(Wide Area Network)이라고 합니다.

  •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집, 회사 정도의 규모
  •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도시 지역 통신망. 도시 하나 정도의 규모
  • WAN(Wide Area Network) : 광역 통신망. MAN이 모여서 만들어짐.

출처

  • https://minwan1.github.io/2018/10/01/2018-09-03-network-network-divice/
  • http://blog.daum.net/hmjnara/3
  • https://ykarma1996.tistory.com/13
  • https://ko.wikipedia.org/wiki/인터넷_서비스_제공자

오늘의 시사/일반상식 하나

 라우터(router)

최적의 IP 경로를 설정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중계해주는 장치.

인터넷을 접속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경로를 설정하는 통신장비를 말한다. 즉, 최적의 IP 경로를 설정하여 전송한 후 수신된 정보를 통해 자신의 네트워크와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점을 결정하는 장비이다. 나아가 통신 흐름을 제어하고,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 통신망 관리기능도 수행한다.

시사/일반상식 퀴즈

(퀴즈1)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있는 ‘정릉(貞陵)’은 누구의 무덤인가?

① 중종

② 문정왕후

③ 신덕왕후

④ 명성황후

 

(퀴즈2) 미국에서 TV 프로그램과 관련해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상은 무엇인가?

① 퓰리처상 ② 그래미상 ③ 에미상

④ 아카데미상

☞ 퀴즈의 정답은포스팅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시사/일반상식 둘

 백본(backbone)

기업 전산망의 근간이 되는 네트워크를 연결시켜주는 고속 통신망.

계층구조로 된 분산망에서 각 망의 주요 노드(node)를 고속통신회선으로 접속하여 구성한 부분망으로, 전체망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추회선의 기능을 하는 기간망을 말한다.

랜에서 광역통신망(WAN)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회선이나 여러 회선의 모음을 뜻하기도 하고, 빌딩 간의 연결처럼 랜 안에서 거리를 효율적으로 늘리기 위한 회선을 뜻하기도 한다.

시사/일반상식 퀴즈 정답 및 해설

(퀴즈1 정답)

정릉은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의 무덤이다.

(퀴즈2 정답)

에미상(Emmy Awards)은 ‘텔레비전의 아카데미상’이라고 불린다. 1949년부터 미국 텔레비전 예술과학아카데미(NATAS)가 연기, 연출, 작가, 프로그램, 영상, 의상, 분장, 음악, 조명, 영화 편집, 비디오테이프 편집, 그리고 녹음 등의 분야에 시상하고 있다.

*위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더 많은 시사/일반상식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백본 라우터 차이 - baegbon lauteo chai

>> 시사/일반상식의 달인 오픈캐스트 구독하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