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환기시스템 사용법 - apateu hwangisiseutem sayongbeob

아파트 환기시스템 사용법 - apateu hwangisiseutem sayongbeob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2006년 이후 승인된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에는 ‘환기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서울시, 환기장치 사용 및 관리 요령 안내 나서

서울시 공동주택에 설치된 대부분의 빌트인 환기장치(전열환기시스템)는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2006년 이후 승인된 100세대 이상 신축 공동주택에는 ‘환기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미세먼지 등 외부의 탁한 공기를 필터링해 깨끗한 공기는 유입시키고 조리, 가전 등 실내에서 발생하는 나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시설이다. 서울시 공동주택의 약 20%에 해당하는 총 30만5511세대에 환기장치가 설치돼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법을 정확히 아는 시민들이 많지 않다.

서울시가 지난 6월 환기장치가 설치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한 결과 대부분의 세대에서는 환기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필터교체 방법을 모르거나 적기에 교체하는 가구가 적었고 공동주택마다 기기가 달라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서울시가 이처럼 집안에 설치돼 있는 환기장치의 존재를 모르거나 알더라도 제대로 된 사용법을 모르는 시민들에게 ‘환기장치 사용 및 관리 요령’을 안내하고 나섰다. 운전요령, 필터관리, 전기료 발생 등의 내용이다.

예컨대 시간 당 10분 내외 정도를 가동하면 실내 공기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렇게 했을 때 전기료는 월 3000~5000원 정도 예상된다. 겨울철엔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따뜻하게 데워 유입하는 과정에서 전기료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필터는 설치사마다 교체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제작사의 매뉴얼 기준에 따르면 된다. 필터 종류에 따라 필요 시 진공청소기로 청소한다.

아울러 시는 공기정화기의 경우 내부 먼지만 제거하지만 환기장치는 내부의 나쁜 공기는 밖으로 내보내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유입하는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시는 자치구를 통해 이와 같은 내용을 각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에 공유하고 서울시 공동주택 통합정보마당 홈페이지와 자치구별 홈페이지에도 게시토록 했으며 미세먼지 주의보(나쁨) 발령 시 관리사무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 안내 멘트도 함께 게시했다.

시는 또 필터교체와 관련해 관리사무소가 적극 협조할 수 있도록 권고했다. 입주자 개인이 필터 구매처를 일일이 알아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만큼 관리사무소가 사전에 대량 공동구매하고 입주자가 요청할 경우 저렴한 값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최근 승인되고 있는 공동주택은 스마트 앱을 통한 원격관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돼 있지만 기본적인 사용 및 관리요령을 숙지하고 있어야 원격 관리기능도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서울시가 안내한 정보를 시민들이 유용하게 이용하길 기대한다고 시는 덧붙였다.

아파트 환기시스템 사용법 - apateu hwangisiseutem sayongbeob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집안에 이미 설치돼 있는 환기장치를 잘 이용하기만 해도 노약자 등 건강 취약계층의 건강관리를 보다 강화할 수 있는 만큼 겨울과 봄철 미세먼지 및 황사 대비는 물론 평소 시민 여러분께서 서울시의 이번 환기장치 사용 및 관리 요령을 잘 활용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아파트 전열교환기 사용방법

이 아파트에 입주 때부터 2년 가까이 살았는데도

아직까지 거실 보일러 옆에 있는 걸 한번도 사용 한 적이 없다.

뭔데 저렇게 거실에 떡하니 자리 잡았을까-

팬 모양이 있는 걸로 보아 환기 관련 기능인 것 같은데 알 수가 없었다.

여기저기 검색을 해보니 이게 바로 전열교환기 컨트롤러 라는!

전열교환기는 이렇게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밖으로 배기하고,

야외의 신선한 공기를 안으로 급기하는 기구였다.

그저 환기라면 창문을 열어서 할 수도 있는 것이지만 전열교환기의 역할은 환기를 해도

겨울에는 춥지 않게, 여름에는 덥지 않게

온도를 유지해주는 장치이다.

거실이며 방이며 있던 환풍구가 어떤 역할을 하나 싶었는데,

전열교환기 컨트롤러로 전열교환기를 가동시키면 환풍구로 공기가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것이었다.

우리집에는 이렇게 총 12개의 환풍구가 있었다. (거실 6개, 방별로 2개씩)

아파트 환기시스템 사용법 - apateu hwangisiseutem sayongbeob

이 환풍구를 통해 실내의 공기는 빨아들이고, 새로운 공기를 넣어주는 장치가 세탁실 천장에 있었다.

(2년동안 이게 뭔지 한번도 궁금해한 적 없는 나도 대단하다...)

집에 있는 시간이 길지 않아서 결혼할 때 선물받은 공기청정기 한대로

이방 저방 돌아가면서 사용하고 있었는데,

전열교환기를 사용하면 따로 공기청정기도 필요 없을터였다 :)

그래서 컨트롤러의 전원을 켜보았는데,

이렇게 실내온도만 표시될 뿐 딱히 기능을 하는 것처럼 느껴지지는 않았다.

세탁실에 있는 전열교환기에서도 아무소리가 나지 않았다.

아파트 커뮤니티, 지역 커뮤니티 등을 찾아봐도 구동 방법은 없었다 T.T

이 좋은 기능이 있는데 왜 쓰지를 못하니... 답답해하던 와중에

입주할 때 받았던 자료들을 찾아보니 다행히 전열교환기 사용설명서가 있었다.

설명서를 보니... 맙소사... 이렇게 바보같을 수가 없었다.

전원을 누른 후, 화살표 버튼을 눌러 환기팬이 돌아가는 강도를 조절해야했던 것...

(왜 이걸 눌러 볼 생각을 안했을까...)

환기가 시작되니 세탁실에서 돌아가는 소리가 들린다.

정지예약 버튼을 누르면 정지 시간을 예약할 수 있는데,

30분, 60분, 90분 세가지 중에 선택할 수 있다.

요즘 요리를 하면 한시간씩 전열교환기를 틀어주고 있는데,

확실히 음식 냄새도 빨리 빠지고, 창문을 열고 환기를 하느라 집이 추워질 일도 없어서 좋다.

문제는 요즘은 바깥 공기도 미세 먼지가 너무 심하다는 점인데,

전열교환기 안에 있는 필터를 헤파필터로 바꿔주면 충분히 미세먼지를 거를 수 있다고 한다.

겨울만 지나면 헤파필터로 바꿔서 환기 자주해야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