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G2 버전을 기반으로 한 카빈형. 프로토타입만 생산되었다. 총열이 11.25인치로 짧아졌으며, 짧아진 총열에 맞게 노리쇠뭉치가 경량화되었다. 또한 AUG처럼 방아쇠울이 대형화되었으며, 방아쇠울이 전방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개량된 버전도 있다.

  • FAMAS F1 Valorisé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2010년에 공개된 버전. FAMAS FÉLIN 기반이며 FÉLIN 체계가 적용되지 않은 보병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FÉLIN처럼 장전손잡이가 측면로 튀어나오고 캐링핸들은 높이가 낮아지고 조준장비의 원활한 부착을 위해 피카티니 레일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었다.

  • FAMAS FÉLIN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You are doing it wrong.
    배보다 배꼽이 크다

    특유의 캐링핸들이 G36C를 연상시키는 낮은 높이의 피카티니 레일 결합 캐링핸들로 교체되었고, 장전손잡이가 측면으로 튀어나온 구조로 바뀌었다.

  • 파마스 클론
    Kel-Tec RDB로 흉내낸 커스텀이 있다.

4. APAV 40 총류탄[편집]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이중목적고폭탄 총류탄으로, FAMAS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총류탄이다. F1과 F2 버전이 있으며 F1 버전은 공포탄을 써야하고, F2 버전은 불렛 트랩이 적용되어 실탄으로도 발사할 수 있다.

5. 기타[편집]

  • 2008년 8월 18일, 아프가니스탄 주둔 프랑스군을 공격하여 프랑스군 10명을 사살하고 21명을 부상입힌 탈레반 중 일부가 프랑스군 군복과 방탄모 등의 장비와 FAMAS를 휴대하고 외신과 인터뷰를 하여 밀리터리 매니아들 사이에서 작은 화제가 되었다.

  • 미 해병대 대원 몇명이 1차 걸프 전쟁때 프랑스군이 망실한 것인지 소수 수출된 FAMAS가 돌고 돌아서 이라크까지 간 것인지 모르겠지만 그런 FAMAS를 입수하여 미국의 총포상에 전용 탄창을 주문하여 잘 사용했다고 한다.

  • 디자인 덕분에 프랑스군에서는 le Clairon(르 클레롱)이라는 별명으로 부르는데, 나팔이라는 뜻이다. 총을 위아래로 뒤집어 캐링핸들을 손으로 잡고 총구를 나팔의 입 대는 부분으로 보면 딱 그렇게 생겼다고 한다. 그렇다고 총구에 입 대지 마라. 요르단 강을 건너는 수가 있다.

  • 아무튼 폼에 목숨거는 프랑스 물건답게 멋지게 생겨서 그런지 프랑스군에 관련된 미디어에서 자주 보인다.

  • Forgotten Weapons의 운영자인 이언 맥칼럼이 위 민수형을 한정 소유하고 있다.

6. 대중매체에서의 등장[편집]

국내 일부 계층에 한때 '프랑스 외인부대' 붐이 일었을 때 경쟁적으로 출간되던 외인부대 수기류 소설 및 저작물들에서는 FAMAS가 최첨단 신개념의 외계인 소총처럼 묘사되기도 했다. 불펍 소총을 접한 당사자의 놀라움에서 온 것으로 추측된다.[25] 하긴 M16 소총도 처음에는 장난감총, 외계인총 취급을 받곤 했으니...

6.1. 게임[편집]

분당 발사속도가 매우 빠른 점 때문인지 대다수의 FPS 게임에서 매우 빠른 연사력을 보유한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26] 연사력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한 발의 데미지가 약하게 만들거나, 반동이 매우 강하거나, 정확도가 나쁘게 밸런스 패치를 하는 편. 등장하는 게임이 연사력이 중요하게 여겨지느냐 아니느냐에 따라 극명하게 평가가 달라지는 총이다.[27]

또한 FAMAS의 3점사 사격 방식과 FAMAS F1 특유의 25발 탄창을 개성으로 내세우는 편으로, 몇몇 게임에서는 아예 3점사만 가능한 소총으로 내놓기도 한다. 주로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영향을 받은 게임에서 3점사로 등장하는데, 이 경우 3점사 자체는 매우 강력한 성능으로 등장하지만 정작 사용 난이도가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인기가 급격히 없어진다. 모던 워페어 2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게임이 아니라도 좀비 게임 등 총기의 개성을 중시하는 게임에서도 넣을 총들 다 넣고 남은 3점사 소총의 자리에 FAMAS가 들어가는 경우가 잦은 편. 사실상 3점사 소총의 자리를 M16A4와 양분하는 수준이다. 아니면 그냥(...) 3점사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FAMAS의 아이덴티티인 높은 연사력을 죽이기 때문에 3점사 FAMAS를 보고 좋아하는 사람은 얼마 없다.

25발 탄창은 주로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의 영향을 받은 매체이거나 미쳐 날뛰는 연사력으로 인한 엄청난 성능을 밸런싱하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약 30발들이 탄창으로 등장한다고 해도 정작 모델링은 25발 탄창인 경우가 많다. 정작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에서는 모델이 30발들이로 교체되었다(...)

  • AVA
    기본적으로 25발 탄창용 F1 모델이 나오며, 개조를 통해 30발 탄창용 G2 모델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빠른 연사력이 장점이지만 데미지가 살짝 떨어지며 빠른 연사력에 대한 페널티로 강한 반동, 그럼에도 불구하고 딱히 좋지 않은 정확도로 인해 마니아조차 장식용으로 구입만 해놓는 총으로 통했다. 초창기엔 '한국인.'이라는 닉네임을 가진 유저가 파마스G2를 들고 8대 1 역전승을 거두는 프랙무비가 유명해[28] 비록 쓰이지는 않지만 로망총의 이미지로 남던 특이한 총이었다.

이후 유로 캡슐용으로 나온 '파이어폭스'는 대미지, 정확도, 안정성이 기존 FAMAS보다 좋아서 사용하는 유저가 간혹 있었다. 그런데 훗날 두 모델을 단종시키고[29] FAMAS Mk.3라는 듣도 보도 못한 신 총기를 만들어냈다. G2의 외형에 점사를 추가하여 성능 강화를 한 모델이다. 그리고 FAMAS FELIN 모델도 등장했는데, 유로가 아닌 '레드티켓'으로만 획득할 수 있다. 그러니까, 레드티켓에서 레드티켓을 뽑고, 다시 FELIN 캡슐에서 또 뽑아야 된다.

이외에 AVA판 배틀패스에 해당하는 '지옥열차' 이벤트 총기로 'FAMAS Mono'라는 총이 등장했는데, FELIN 모델에 전반적인 스펙향상 및 열화상 조준경 기능이 추가되었다. 야간 이보트 등을 즐겨 한다면 이 열화상 조준경 기능이 생각보다 좋게 다가오며 그렇지 않더라도 기존 FELIN보다 한 차원 높은 성능으로 근거리는 물론 중거리까지 철근같이 씹어먹는다.

  • Block Strike
    성능이 가격값을 못하는 총기.

  • Bullet Force
    싼 가격을 주고 살 수 있는 총기. 1000RPM이라는 무시무시한 연사력 덕에 탄약 관리가 힘들지만 반동이 매우 적어서 운용 난이도 자체는 쉬운 편. 모델링은 FAMAS FÉLIN을 바탕으로 F1의 25발 탄창을 끼운 모습이다.

  • Cry of Fear
    해금무기로 등장하며 모델은 G2, 해금방법은 최고 난이도인 나이트메어 모드 클리어로 까다로운만큼 소총들 중 유일하게 풀오토가 가능하며 장탄수는 무한이라 스피드 클리어라면 필수 무기다.

  • Krunker
    Commando 클래스의 총으로 등장하며 실총과 달리 3점사 총이다.

  • Phantom Forces
    F1이 45랭크에 해금되는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 900RPM이라는 높은 연사력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반동이 적고 위력도 약하지 않아서 사용하기 좋은 소총이다. 다만 기계식 조준기가 영 좋지 않다. 그리고 탄창이 25발밖에 안 된다. G2는 1200RPM 이라는 거의 크리스 벡터급의 연사력의 총으로 나온다. 탄창이 30발이지만 엄청난 연사력 때문에 탄창 관리 안 하면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1초도 안 돼서 죽을 것이다. 또다른 단점이라면 마이웨이 반동. 위 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반동이 튀어서 원거리의 적은 단발로 쏘거나 보조무기로 죽여야 한다. 반동을 상쇄하고 싶으면 좌우 반동을 잡는 손잡이 부착물 스터비 그립과 수직 반동을 잡는 총구 부착물 컴펜세이터를 쓰자.#

  • Pixel Gun 3D
    특수기동대 소총 - 초반에 상점에서 코인으로 해금되는 무기이다. 연사력은 98로 라이플 중에선 빠른 편의 연사력을 가지고 있으며 장탄수는 30발이다.[30] 초반에만 쓸만하고 이후 고렙 유저가 등장하는 중후반에는 그닥 쓸모가 없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GIGN 소속 오퍼레이터 트위치의 주무기로 등장한다. 연사력이 980인데, 공격팀의 주무기 중 연사력이 가장 높다. 근접전이 자주 일어나는 게임 특성상 연사력이 높아 화력도 좋고 반동도 적었으나 지속적인 너프로 전체적인 반동이 심해졌다. F2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모델링 상으로는 F1이다.[31] 이전에는 장탄수가 모델과 맞지 않는 30발이었으나, 이후 너프로 25발로 줄었다.

  • 라이프애프터
    제작숙련도 90을 달성하면 제작과 구매 및 판매를 할수있고 전투 숙련도 90을 달성하면 사용할 수 있는 무기 현재는 고렙던전에서 사용시에는 트롤 취급받지만 90레벨 유저들에게는 훌륭한 전투 숙련도작 수단이자 좋은 던전용 무기이다

  • 메탈기어 시리즈
    메탈기어 솔리드 시리즈에서 맨 처음 채용된 소총임에도 불구하고 왠지 이후 시리즈에서는 보기 어렵다.

    • 메탈기어 솔리드
      섀도우 모세스 섬의 반란군들이 쓰고 있다. 미군인데 어째서? 스네이크도 현지 조달을 통해 사용. 뜬금없이 FAMAS가 채택된 이유는 당시 하드의 그래픽 성능 한계[32] 때문이었다고 한다. 본래는 M16 같은 AR-15 계열을 채택하려고 했던 모양인데 외형이 당시의 하드웨어로서는 표현하기에 복잡하다고 판단했던 듯.

    • 메탈기어 솔리드 2
      티저 영상에서 솔리드 스네이크가 들고 나온 장면이 있다. 체험판에도 등장한 바 있으나 본편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 서브시스턴스에서도 VR 미션 버라이어티 모드에서 지놀라(Genola)가 들고 나온다.

    • 메탈기어 솔리드 포터블 옵스 플러스
      사용가능한 무기로 나온다. 포터블 옵스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게임 내에서는 돌격소총 중 가장 빠른 연사력을 가진 총으로 등장했고, 기본 거치대를 장착하고 있어 엎드려 사격시 반동을 줄여준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5.56mm탄을 사용한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2
      유로포스 확장팩에서 유럽연합군 의무병의 주무장으로 등장한다. 연사력도 빠르고 대미지도 평균 이상. 근데 이거 모델링은 F1인데 장탄수가 30발이다.

    • 배틀필드 3
      DLC인 '카칸드로의 귀환'에서 Best Friend Forever 과제를 풀면 얻을 수 있다. 하지만 FAMAS의 기본 아이언사이트가 매우 끔찍하게도 화면을 가린다. 농담삼아 줌을 하면 자동으로 자신에게 셀프 제압이 걸린다고 할 정도다. 근성으로 힙샷 10킬을 하자. FAMAS의 발사 속도는 배틀필드 3의 등장 총기 중 AN-94의 2점사 1200발을 제외하면 가장 빠른 분당 1000발로 근접전에서는 사기라는 소리를 들었다. 하지만 2012년 3월 28일자 패치로 G2 버전과 같이 30발이던 탄창이 F1 버전의 25발로 너프당했다. 너프도 고증을 따라서 하는 제작진! 오오! FAMAS의 장전 속도도 느린 편이라 패치 이후부터는 전략적인 플레이가 요구되는 총으로 바뀌었다.

    • 배틀필드 4
      FÉLIN 상부 레일이 장착된 버전이 등장하는데, 성능은 여전하다. 25+1발 장전, 높은 반동, 정신 나간 연사 속도, 느려터진 재장전. 하지만 배틀필드 3와는 처지가 다른 게 반동을 낮출 수 있는 부착물들이 생겨난지라 근접전 한정으로 돌격소총 중에서 가장 흉악한 화력을 내뿜고 있다. 상대방 핑이 한 자릿수에 FAMAS를 들고 있다면 근접전을 벌일 시 승산은 없다고 봐도 좋다. 때문에 파마스에는 배율 조준경이나, 열화상 조준경을 달지 않는게 좋다. 가장 좋은 건 무배율 RDS에 짧은/포테이토 그립, 소음기를 달고 적의 후방을 치는 것. 대신 산으로 가는 반동과 탄퍼짐 때문에 30m만 벌어져도 저연사력 총기에 역으로 당하는 수가 있다.

    • 배틀필드 플레이4프리
      모델링은 배틀필드 3와 마찬가지로 FÉLIN 버전이다.

  • 블루 아카이브
    이치노세 아스나가 사용하는 총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 서든어택
    F1 버전이 등장한다. 라이플 중에서 가장 빠른 연사속도를 자랑한다. 데미지도 평균 이상이며, 연사 시 컨트롤만 잘 되면 근거리에선 승률이 매우 높다. 하지만, 그만큼 반동 제어가 힘들고 재장전 횟수가 많으며, 긴 재장전 시간은 덤이다.
    PC방 총기로 나오는 총기 라이선스를 피한 듯한 F3 모델도 있다. F3는 실존하지 않는 모델로, 모델링은 F1과 G2를 적절히 섞고 레이저 사이트같은 각종 옵션을 부착한 모습이다. 성능은 기존 F1 버전과 동일하다.

  • 소녀전선
    돌격소총 카테고리의 4성 전술인형으로 등장한다. 기본 일러스트는 착검한 상태로 앞으로 내지르는 모습이지만 해당 총기의 특징 중 하나인 총열 위 착검 대신 아래 착검으로 되어있다. 자세한 건 FAMAS(소녀전선) 참조.

  • 솔저 오브 포춘 온라인
    유탄발사기가 달리지는 않지만, 유탄따위 있으나 마나하다라고 말하는 듯이 엄청난 연사력과 파워다. 그러면서 탄착군이 나쁜 편도 아니다.

  • 스페셜솔져
    FÉLIN 모델이 등장한다. 고증무시가 빈번한 게임답게 600RPM의 낮은 발사속도를 가졌다.

  • 스페셜 포스 시리즈

    • 스페셜 포스(피망)
      G2 사양으로 등장했다. 초창기에 엄청난 사기 소리를 들었다가 하향되어 장거리 교전 능력이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3금 소리를 듣는다.

    • 스페셜 포스 2
      G2 사양이 등장했다. 초기엔 25발짜리 무기로 비주류였으나, 이후 30발로 상향과 함께, 시그, K2의 하향으로 대부분 시그 K2 유저들이 파마스로 넘어오면서 주류 총기가 되었다.총소리가 시끄럽다는 소리가 많다.

  • 스펙 옵스: 더 라인
    싱글캠페인 'The Road'에서 사용해볼 수 있다. ACOG이 기본 장착되어있어 중거리에서 꽤 쓸만한 편이다.

  • 언턴드
    러시아 맵에서 나오는 민병대용 돌격소총인 퓨지우트(Fusilaut)[33]로 등장한다. 이름 역시 자동 소총(Fusil + automatique)의 프랑스어를 그대로 차용한 것이다. 프랑스 맵에서는 G2 FELIN 사양이 퓨질렛(Fusilette)으로 나온다. 성능은 그럭저럭이지만 확장탄창의 부재와 탄창의 호환성이 떨어져서 버려지는 비운의 총기다.

  • 이터널시티 시리즈

    • 이터널시티
      2등급 돌격소총으로 FAMAS와 FAMAS SV가 등장한다. 저레벨 앵벌이용 총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 이터널시티2
      여러 종류의 FAMAS가 등장하고 성능도 제법 괜찮지만 크리티컬이 슈타이어 AUG보다 약간 낮아 잘 쓰이지 읺는다. 단 엘리트 무기 대여 쿠폰으로 36등급 엘리트 FAMAS G1 코만도가 있어서 좀 자주 쓰이는 편이다. 39 등급 슈타이어를 개조하면 FAMAS가 나오는데 한 번 더 개조하면 다시 AUG가 된다...?

  • 인서전시: 샌드스톰
    탈레반이 프랑스군에게서 노획한 사례에서 따왔는지, 안보지원군이 아닌 반군 진영 전용 돌격소총으로 F1이 등장한다. 5.56mm 특유의 화력과 작품 내 총기 중 MG3, AS Val과 함께 공동 1위를 달리는 연사속도 덕분에 화끈한 근접전 화력을 자랑하지만, 반대로 MG3에 버금갈 정도로 지향사격 안정성이 낮고, 탄약 소모가 극단적으로 심하고, 높은 보급 포인트 요구량 때문에 장비 구성에 고심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 워게임: 레드 드래곤
    프랑스군의 현대화 보병들의 주력 소총으로 나온다.

  • 워록(게임)
    전투병 전용 무기로 나왔는데 희대의 사기 아이템이 되었다. 연사력도 빠르고 데미지도 꿇리지 않으며 정확도도 높고 반동제어도 크게 어렵지 않다. 의무병/공병에게 MP7이 있다면 전투병에게는 FAMAS!라는 것이 한때의 진리였으나 결국 MP7과 함께 나란히 상점에서 내려가고 가끔 이벤트로나 제공된다. 게이머들간에 FAMAS나 MP7을 쓰는 것이 비매너로 인식되어 쓰면 바로 강퇴당할 정도로 밸런스 파괴가 심했다. 아마 FAMAS가 가장 강력하게 나온 작품일 것이다.

  • 월드 인 컨플릭트
    NATO군의 주력 소총이다.

  • 오버워치 2
    시네마틱 트레일러에서 프랑스 경관이 FAMAS를 모티브로 한 총기를 적대 옴닉에게 난사한다.

  • 오퍼레이션7
    상당히 강력한 주류 총기들 중 하나이다. 게임 시스템상 같은 장탄을 쓰는 총기의 데미지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M4나 G36과 동일한 데미지를 보유하고 있으면서 무시무시한 연사력으로 적을 '지워'버린다. 거기에 30발 탄창 사용이 가능할뿐더러[34] 유탄발사기를 장착해서 폭격 놀이를 즐길 수도 있다. 단, 연사력이 지나치게 좋은 탓에 제어도를 최대한 올려도 반동 제어가 쉽지 않다. 사실 반동도 연사력 때문에 반동이 강한 것인지라 끊어서 쏘면 반동이 그다지 강하지는 않다. 그런데 그러면 FAMAS가 아니지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30발들이 STANAG 탄창을 쓰는 G2 모델로 등장했다. 유효 사거리는 약간 짧지만 발사 속도가 빨라서 쓸 만하다. 1.13 모드에서는 총열의 길이가 M16A4와 거의 같은 점을 감안해서 유효 사거리가 장총신 5.56mm 소총과 동격으로 설정되는 버프를 받았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오리지널부터 소스까지는 F1, 글옵에서는 G2가 등장한다. 상술한 대로 돈이 부족할 때 M4를 대체하는 대테러부대용 총으로 나오며 M4보다는 낮은 가격, 돌격소총 계열 중 가장 안정적인 반동, 빠른 3점사와 소총이라는 특성상 중, 장거리를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은 메리트가 있다. 라이플 중에서는 부족한 데미지와 장탄량의 문제로 화력이 다소 모자란 게 문제지만 그래도 안정적이고 무난한 총. 일반적으로 돈이 M4를 사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구입한다. 참고로 글옵에서 플레이어가 들고있는모델은 G2모델이며 오른쪽 아래 아이콘에는 F1의 방아쇠울 을한 G2가 있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
      성능이 P90 상대로도 밀리는데 거기에 더하여 AR-57이라는 괴물 총기가 피구공의 상위 벤더로 출시되면서 존재감을 상실했다. 거기다가 3점사라는 아이덴티티마저도 T86이 가져가버렸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인피니티 워드의 작품에서는 G1 버전이 3점사 전용으로, 트레이아크 작품에선 FÉLIN 버전이 전자동 버전으로 등장하는 전통이 있다. 등장하는 시리즈마다 내적으로든 외적으로든 고증오류를 적어도 하나씩은 가지고 나오는 특징이 있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싱글 캠페인에서 러시아 세력이[35] 사용한다. 멀티플레이에서는 처음부터 언락되어 있는 무기로 M16A4처럼 3점사로만 발사 가능하다. 두 총기가 미묘하게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FAMAS가 사거리가 더 길며 조준 사격 시 반동이 적고 거리에 따른 대미지 하락이 적은 편이라 원거리에서는 더 유용하다. 하지만, M16A4는 홀로그래픽 사이트 장착시 반동이 줄고, 재장전도 빠른 데다, 사거리의 차이도 크게 느낄 수 없기에 취향에 따라 사용자가 나뉜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FÉLIN 버전이 등장하며, 야만타우 산맥에 주둔한 소련군이 사용한다.[36] 성능은 초반에 해금되는 것치고[37] 상당히 뛰어난 양품이라서 멀티플레이 유저의 상당수가 쓴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디클래시파이드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3
      서플라이 드롭 무장으로 FÉLIN 버전이 FFAR이라는 이름으로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F1이 FR 5.56이란 이름으로 등장하며 모던 워페어 2처럼 3점사 돌격소총으로 나왔다. 개인 커스텀 세트가 풀리는 4레벨 전까지 쓸 수 있는 유일한 돌격소총이다. 싱글 플레이에서는 알카탈라 테러리스트,우르지크스탄 해방전선, 러시아군이 들고 나온다. 협동전에서는 정당 400만원짜리 소총을 자금난에 시달리는 알카탈라 잡병들이 수십수백명씩 우루루 들고 나오는 것을 보면 기가 찰 지경. 탄창의 철제탄피는 충실히 구현하였으나 25발들이 탄창에 30발에 들어가는 고증오류는 여전하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파마스 펠린 버전이 등장한다. 전작과는 다르게 고연사 AR로, 기본 25발 탄창이 흠이지만 쓸만한 총이라 평가받는다. 모델링부터 이름까지 사실상 블랙 옵스 3의 것을 그대로 복붙한 수준.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모던워페어와 같이 FR.556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였지만 콜드워의 성능을 지녔다. 발사 방식은 점사가 아닌 연사이며, 2021 1시즌 배틀패스에 처음 나왔다. 모델링은 거의 모던워페어에서 복사해 왔다.

  • 크로스파이어
    1.0버전에서 등장하였다. 성능은 이 게임이 당연히 그렇듯 서든어택의 FAMAS와 똑같다.

  • 톰 클랜시의 디비전 시리즈

    • 톰 클랜시의 디비전
      엑조틱 무기인 불프로그로 등장. 기본 30발에 확장탄창으로 66발까지 늘릴 수 있다. 연사 속도가 빠르고 특수 탤런트는 명중률과 안정성 모듈이 없을 경우 최대 15%까지 대미지가 증가하는 특징이 있지만 명중률과 안정성을 다른 방어구에서 챙겨주지 않으면 탄착군이 만주벌판급으로 퍼진다.

    • 톰 클랜시의 디비전 2
      일반 무기로 나온다. 으레 그렇듯 900RPM이라는 돌격소총중 가장 빠른 연사력을 특징으로 내세우며 등장했지만, 초기에는 탄창 개조가 불가능해서 30발 기본 탄창으로 먹고사는 처지였다. 그나마 그에 대한 보상인지 여타 다른 게임들과는 다르게 빠른 연사에 비해 반동이 안정적이고 대미지도 약하지 않은 수준으로 밸런스가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이후 탄창 개조가 가능하게 패치되면서 여유분 스킬(탄 용량 20% 추가) + 대형 탄창(20발 추가)으로 60발이라는 어마어마한 탄창 용량을 초고속으로 연사하는 총기가 되었다. 이 무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스킬 세팅을 맞춘다면 매우 어렵게 얻어야 하는 특급 무기보다 일부 상황에서 딜량이 더 강하기도 한다.

  • 페이데이 2
    Clarion Rifle이라는 이름으로 Gage Assault Pack DLC 무장으로 등장한다. 1000이라는 연사속도를 자랑하고 은신도가 높아서 퓨지티브 스킬트리와 조합이 좋은데 데미지가 너무 낮은 것이 단점.

  • 포트나이트/배틀로얄
    '점사 돌격소총'의 고등급(현재는 저등급) 무기의 외관으로 등장한다. 이유는 위의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에서 3점사 모드에서 영향을 받은 듯 한데 탄창은 카스의 25발들이가 아니라 저등급과 마찬가지로 30발짜리다.

  • 풀 메탈 패닉
    코다르용 라이플과 매우 흡사하게 생겼다. 특히 로봇혼으로 나온 코다르를 보면 확실히 알 수 있다.

6.2. 애니메이션[편집]

  • 강식장갑 가이버
    프랑스군이 조아노이드들에게 FAMAS를 쏘고 있다.

  •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
    작중 등장은 하지 못한 알렉스 전용 빔 라이플이 이 총을 닯았다. 탄창위치가 전방으로 변경된 것 외에는 다른게 없을 정도.

  • 놀러갈게!
    5, 6화의 무기고에서 볼 수 있다.

  •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 돼지발굽 대작전
    킨니쿠가 사용하는 소총이 바로 이 총이다.

  • 매드락스

  • 블루 젠더
    세컨드 어스의 군인들이 사용한다.

  • 엘펜리트
    카쿠자와 교수가 디클로니우스 연구 시설에서 탈출한 3번 실험체를 사살하기 위해 파마스 G2를 사용한다. H&K MP5의 9x19mm 총알은 우습게 튕겨내는 디클로니우스의 벡터도 이 총에 장전된 철갑탄은 못 막아내는 지 한 발 맞고 나동그라져버린다.

  • 은혼
    살인귀 취조 에피소드에서 용의자를 호송하는 경찰특공대원들이 들고 나왔다.

  • 주문은 토끼입니까?
    2기 2화에서 테데자 리제가 소장중인 모델건으로 등장한다.

  • 특례조치단체 스텔라 여학원 고등과 C3부
    1화의 동아리방 벽 제일 위에 걸려있다.

  • 프로젝트 A코
    병사들이 FAMAS를 쓴다. 참고로 A ko는 총알을 팔찌로 다 튕긴다.[38]이게 무슨

6.3. 영화[편집]

당연하다면 당연하게도 프랑스군이 등장하면 대부분 등장한다.

  • 13구역
    프랑스 경찰이 F1 버전을 사용한다.

  • 노 맨스 랜드(2001)
    프랑스군이 G2 버전을 사용한다.

  • 다이어리 오브 더 데드
    영화 중간 생존자의 집에서 F1 버전이 잠깐 등장한다.

  • 리벨리온
    프랑스군이 F1 버전을 사용한다.

  • 배틀로얄 2
    나나하라 슈야를 제거하러온 학생들이 사용한 03식 BR소총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제작에는 도쿄마루이제 전동건이 사용되었다.

  • 상티넬
    프랑스 대테러 경비작전인 상티넬을 주제로 한 영화다 보니 영화 내내 주인공이 들고 다닌다. 하지만 사격발수는 채 10발이 안된다.

  • 에너미 라인스
    영화 중반부쯤 주인공 '크리스 버넷' 대위를 구출하기 위해 헬리콥터로 출동한 NATO군 소속 프랑스군이 F1 버전을 소지하고 있다.

  • 울프 콜
    선장이 대잠헬기를 판처파우스트 3로 격침하려 할때 한 수병이 들고 나온다.

  • 첩혈속집
    무기 밀매 조직원들이 이 총을 들고 나온다.

  • 택시
    2, 3, 4편에 F1 버전이 등장한다.

  • 호텔 르완다
    프랑스군이 F1 버전을 사용한다.

7. 에어소프트건[편집]

  • 도쿄 마루이
    역사상 최초의 전동건으로 뽑히는 마루이의 전동건이 FAMAS F1을 모델로 만들어진 것이다. 지금은 상당히 희귀한 아이템이지만 초기형 중에서도 극초기형 전동건이라 발굴해도 게임에 쓰기는 어려운 성능이고, 엄청나게 희귀하다보니 비싸다...는 국내 한정이고 일본에서는 F1과 SV사양 둘 다 지금까지도 절찬리에 판매중. 성능도 여타 도쿄마루이 표준형 전동건들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가격도 1만 엔 대 후반 정도로 매우 저렴하다. 개머리판과 몸통이 연결되는 불펍 구조덕분에 전동건의 모듈을 한군데에 몰아넣기 좋다는 이유로 채택된 것이다. FAMAS 개발을 통해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점차 몸체가 얄팍한 보통 총에 발사 모듈을 넣었다.

  • 보스 엘리펀트

  • 더블이글
    다른 메이커에서도 제품화된 적이 없는 에어코킹 모델을 제품화했다. 국내에서도 수입이 되었지만 중국제의 특성상 발매기간이 짧아서 레어가 되어 버렸다. 몸체에 나사구멍이 무수하지만 유일한 에어코킹 모델인지라 찾는 수집가들도 많다.

  • 사이버건
    프랑스 회사여서 그런지 FAMAS에 남다른 애정이 있다. 최근 FÉLIN 버전을 공개했다. 마루이제와 다르게 FÉLIN부터 탄피 배출구가 열린다.

  • 아카데미과학
    "파마스 FR 5.56"이란 이름으로 2019년 12월 신규 옵션 파츠들과 함께 공개되었으며 실총기준 최근에 FAMAS Felin 형태로 공개되었다. 에어건 50,000원, 전동건 65,000원[39]으로 HK416보다 5,000원 비싼 가격으로 출시되었다. 출시 후에는 아카데미과학 답지 않게 장전바가 움직이고 양각대가 움직이는 등 65000원의 가격이 아깝지 않은 퀄리티를 보이고 있다.그리고 그 욕을 처먹는 최신형 급탄방식이라는 총 상단 내장 탄창과 탄창 배터리가 아닌것으로도 호평이다.

  • Northeast

    STEN, UZI의 GBBR로 꽤 유명해진 Northeast社에서 사이버건 라이센스를 받은 FA-MAS F1의 GBBR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8. 둘러보기[편집]

냉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프랑스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Mle 1886, Mle 1934, MAS-36, FR-F1, FR-F2,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AS-49, M1 개런드, M1 카빈, G3SG/1

자동소총

FAMAS F1, SG540, M2 카빈, M16A2

기관단총

MAS-38, MAT-49,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MP40, Mini Uzi, MP5A3

산탄총

발트로 PM-5, 레밍턴 M870

권총

Mle 1892, MAB Mle D, Mle 1935A, Mle 1935S, Mle 1950, PAP F1, PA-MAS G1, 마뉘랭 MR 73, M686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Minimi

중기관총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HB

로켓발사기

M1A1, M9A1, M20, PIAT, LRAC F1, RAC-112 APILAS

미사일발사기

MILAN, Eryx, Mistral

무반동총

M18, M40

화염방사기

M2, LFP 54

박격포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유탄

F1 수류탄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냉전기 보병장비

현대 프랑스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FAMAS F1/G2, G36(C/K/V), SG551, M16A2, HK416F, HK416(A5/D14.5RS), SCAR-L, CZ-806 브렌 2, SIG MCX

지정사수소총

G3SG/1, MSG90, HK417, SCAR-H PR

저격소총

FR-F2, PGM 에카트 II, 울티마 라시오, TRG-42, AW, AWSM

기관단총

MAT-49, MP5(A5/F), MP5SD6, UMP9, MP7A1, FN P90

산탄총

베넬리 M3 슈퍼 90, 모스버그 500, 발트로 PM5, FN TPS, Sensied S&F K1, Kel-Tec KSG

권총

MAC 50, PA-MAS G1, MR 73, PAP F1, 글록 17, USP.SD, FN Five-seveN, M686, P11

지원화기

기관총

AA-52, FN MAG, FN 미니미, FN EVOLYS, M2HB, M134

유탄발사기

AG36, M203, APAV 40

대전차화기

APILAS, AT4 CS, MILAN, ERYX, FGM-148 재블린, LRAC F1, 아케론 MP

박격포

LGI Mle F1, LLR 81mm, MO 120 RT

맨패즈

미스트랄


※둘러보기: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 아르헨티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아르헨티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돌격소총

FAL, FARA 83, M16A1, M16A2, M4A1, AUGA1, 갈릴 ACE

저격소총

M24 SWS, SSG 69, HS.50

기관단총

FMK-3, 스털링 SMG

산탄총

바탄 71, 매버릭 88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지원화기

기관총

MG3, FN MAG, M240, MG 74, M2 브라우닝, AA-52

유탄발사기

Mk.19, M203

대전차화기

MARA, Mathogo, M72 LAW, AT4, M3, BGM-71

박격포

FM-60, FM-81, FM-120

맨패즈

RBS 70, 블로우파이프

특수전 화기*

돌격소총

FAMAS

저격소총

M95, CZ750 S1 M1

기관단총

콜트 9mm 기관단총, MP5, P90, APC9 PRO

기관총

M249, HK21

*: 아르헨티나 해병 코만도 부대 및 601 코만도 중대에서 사용


※둘러보기 :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 아랍에미리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아랍에미리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G3, FAL, M16A4, M727, CAR816, FAMAS, T91

지정사수소총

MSG90

저격소총

로베브 SVL, M107 LRSR

기관단총

MP5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카라칼 시리즈, P7M13, P228

지원화기

기관총

MG3, HK23E, MG5, AAT-52, FN MAG, FN 미니미, M249, M2HB

유탄발사기

M203

대전차화기

9M113


※둘러보기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 레바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레바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AKM, M16A1, M16A4, G3, FAMAS, SG540, AKS-74, AKS-74U, AK-74M, M4A1, Mk.18, M21

저격소총

M82, M24, SSG 69

기관단총

MP5, P90

산탄총

SPAS-12, M500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G17, G18, 베레타 92, P-64

지원화기

기관총

FN 미니미, FN MAG, MG3, M60, M249, M240L, Mk.46, M2

유탄발사기

M203, Mk.19

로켓발사기

RPG-7, AT4, M72, M141, Mk.153

미사일발사기

9K32, MILAN, BGM-71, M712

무반동총

M40


※둘러보기 : 레바논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의 차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차드 국가군 (1969~)
Armée nationale tchadienne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تشادي

권총

자동권총

VIS, PP 슈퍼, P1, Mle 1950, 토카집트 58

리볼버

MR 73

기관단총

UZI, MAT-49, M12

소총

볼트액션 소총

MAS-36

돌격소총

M16, AKM, AK-47, 56식, M70, FAMAS, 갈릴

전투소총

FAL, G3, SG542

기관총

경기관총

RPD, RPK, PK, MAG

중기관총

SG-43, DShK, M2 브라우닝

유탄 발사기

AGS-17, M79

대전차 화기

대전차 미사일

ERYX, MILAN

대전차 로켓

RPG-7

무반동포

M40A1


※둘러보기 : 차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SS1, SS2, SAR-21, AK-47, 56식 자동소총, Vz.58, AK-101, BM59, M16A1, M16A2, M16A4, M4A1, K2, 갈릴, G36C, FAMAS F1, AUG, SS552, G3, HK416

지정사수소총

갈라츠, MSG90, HK417

저격소총

M24, SPR-1, SPR-2, SPR-3, SSG 69, M93, PGM 헤카테 II, NTW-20, L96A1, AW, AWM, M82A1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PM1, PM1A1, PM2, K7, 마이크로 우지, Vz.61, P90, MP9, MP5, MP5SD, MP7A1, CZ 스콜피온 EVO 3, K1

산탄총

M3T, SPAS-12

권총

P1, P2, G2, HS2000, Mk.23, M1911A1, P226, 92SB, 92F, Five-seven, G17, G19, K5, PPK

지원화기

기관총

울티맥스 100, SM2, K3, SPM2, M60, M134D, SMB-QCB, DShKM, M2HB

유탄발사기

SPG3, AG36, M79, M203, SPG1, M32

대전차화기

RPG-7, M2CG, C90-CR (M3), M80 Zolja, NLAW, AT4, FGM-148, AT-13, PF-89, PF-98

박격포

W87, 81 KRH 71 Y


※둘러보기 : 인도네시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 베네수엘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군(1999~)
Ejército Nacional de la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권총

자동권총

하이파워, 글록 17

소총

자동소총

AK-103, FNC, FAL, QBZ-95, FAMAS F1

저격소총

SVD, M14, M700

기관단총

오리노코 IV, P90, MP5, UZI, CF-05, CS/LS7

기관총

경기관총

미니미, MAG, M60

중기관총

M2 브라우닝

박격포

MO-120 RT

대전차화기

RPG-7, AT4

맨패즈

이글라-S, RBS 70


※둘러보기 : 베네수엘라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 세네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세네갈군(1962~)
Forces armées du Sénégal

개인화기

권총

G1, P220, 모델 1950

기관단총

K1

소총

자동소총

FAMAS, CETME 모델 L, T4, CQ 5.56, M4A1 M723, M16A1, M16A2, TAR-21, KNT-76

저격소총

SVD, 갈라츠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

M60

지원화기

대전차화기

대전차 미사일

MILAN

대전차 로켓

LRAC F1

곡사포

TRF1, 모델 50, M101


※둘러보기 : 세네갈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 지부티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개인화기

권총

베레타 92, 모델 1950

기관단총

MAT-49

소총

돌격소총

AK-47, AK-63, AKM, AUG, 56식, M4 카빈, FAMAS, 갈릴

전투소총

FAL, G3, SG540

저격소총

SVD, M700

지원화기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

MAG, AA-52

경기관총

RPD, RPK, PK

중기관총

M2 브라우닝, NSV

맨패즈

FN-6

유탄발사기

Mk.19

대전차 로켓

APILAS, RPG-7V, LRAC F1


※둘러보기 : 지부티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아카데미 파마스 개조 - akademi pamaseu gaejo
현대 파푸아 뉴기니 방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파푸아뉴기니 방위군 (1973~)
Papua New Guinea Defence Force

개인화기

소총

자동소총

FAMAS, L1A1, G3, M16A2, HK33, SAR 80, SR 88, L85A1, 갈릴, AUG

반자동소총

XM-15

볼트액션 소총

리-엔필드

기관단총

F1, P90, 스털링

권총

하이파워, M1911

지원화기

다목적기관총

L2A1, 브렌 L4A4, 울티맥스 100, FN MAG

중기관총

M2HB

유탄발사기

M203

대전차화기

RPG-7


※둘러보기: 파푸아 뉴기니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보병 장비 둘러보기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실제로는 양산된 적이 없다.[2] 'GIAT 인더스트리(GIAT Industries)'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3] 프랑스어 약자로 된 물건들은 대부분이 이런 식인데, 이를테면 한국의 KTX-1으로도 유명한 프랑스 고속열차 TGV는 사실 Train à Grande Vitesse(트항 아 그항드 비떼스), 그러니까 '엄청난 속도의 열차'라는 뜻이다.[4] 발음은 퓌지 다쏘 드 라 마뉘팍튀흐 다흐므 드 쌍떼띠엔.[5] 한국에서는 '파마스'라는 영어식 발음으로 자주 부르지만, 프랑스어 단어 어미의 자음은 거의 발음하지 않아서 현지에서는 '파마'라고 불린다. 다만 캐나다(퀘벡)식 프랑스어 같은 경우에는 영어식으로 '파마스'라 부르기도 한다.[6] 하지만 스텐과는 달리 MAT-49는 적어도 쓸 만한 총이었다.[7] 레버 지연 블로우백 방식인 FAMAS와 달리, 가스 작동식이다.[8] 여기에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는데, 독불여단 창설 때 독일 총기를 제식으로 쓰기에는 살짝 자존심이 상한 프랑스군 고위층의 압력으로 독불여단에서 공식화기가 FAMAS로 결정되자 이번에는 반대로 구세대 7.62mm G3을 사용하는 독일군의 체면이 구겨졌다. 독일군의 고위층은 급하게 5.56mm 총기를 찾았고, 동독에서 수출용으로 만든 5.56mm 버전의 AK 소총을 사용하기 직전에 이르렀으나 큰 시장을 잃을 것 같았던 H&K에서 급하게 5.56mm 소총을 개발하여 보급하는데 성공했다. 그 소총이 바로 H&K G36. 하지만 급하게 만든 것은 문제가 있기 마련이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의 결함 문단 참조.[9] 이것은 스위스의 무기 규제로 인해 자국에서 생산하기가 곤란하다는 것도 한 몫했다.[10] 전후 프랑스에서 개발된 MAS-49/56 반자동소총(실질적인 지급완료는 56년 이후)이 MAS-36 볼트액션 소총을 대체하여 냉전 중기에 25년 넘게 주력 제식소총으로 쓰였고, 비전투/후방부대에서 소수의 MAS-36이 쓰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이미 50년대 후반 세계의 주요 각국에서는 자동사격 기능을 가진 소총(M14 소총, AKM, H&K G3, FN FAL 등)가 많이 출시되어 대량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물론 돌격소총의 개념에 적합한 AKM을 제외한 나머지 전투소총들은 자동사격에 부적합해 퇴출당하고 후방부대로 물러나다가 겨우 20년도 더 지나서야 지정 사수 소총으로 복귀하는 신세가 되었지만 말이다.[11] 제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고 프랑스가 무기 하나 하나 아까워서 Kar98k을 사용하는 등 굉장히 다양한 소총이 프랑스군에 존재하게 되었는데, 헌병대 병기고에는 르벨 M1886조차도 1970년대까지 치장물자로 남아있었다고 한다.(...)[12] 동영상에서 빅커스가 M4 카빈과 함께 사격했는데 집탄율은 M4가 더 나았다. 그러나 래리 빅커스 본인이 M4가 가장 익숙한 소총이라고 했기 때문에 그 점도 고려한다면 양자간 집탄율 차이는 크지 않을 것이다.[13] 정확히는 초기형 M16에서 운반손잡이가 장전손잡이 보호를 위한 역할을 했다. 초창기 M16은 장전손잡이가 뒤로 이동한 오늘날의 M16과 다르게 장전 손잡이가 FAMAS처럼 소총 몸체 위에 있기 때문. M16이 개량되면서 장전손잡이가 오늘날처럼 뒤로 이동했음에도 여전히 운반손잡이는 M16에 남아있었고 이는 장전손잡이 보호를 위한 것이기보다는 무거운 총을 편히 들고 다닐 수 있게 그냥 내버려두자는 개발자들의 의도였지만 베트남 전쟁 기록 사진에서 보듯이 대부분 멜빵을 이용하거나 총열과 소총몸체 중간 부분을 잡지 운반손잡이를 잡고 있는 장병들의 사진은 드물다. 또한 FAMAS처럼 운반손잡이의 존재는 조준경같은 것들을 달기 어렵게 하였고(그래도 M16은 길이가 어느 정도 되고 또 반동을 받는 개머리판과 소총이 일직선 상에 있는 현대적인 디자인 덕에 FAMAS처럼 운반손잡이가 명중률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결국 후기형 M16과 M4A1은 운반손잡이가 분리된다. 최근엔 아예 운반 손잡이를 레일에서 빼내고 플립업 사이트를 활용하여 광학조준경이 고장나거나 쓰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다.[14] 이 때문에 개량형인 G2와 일부 F1 스포츠 버전은 총열덮개에 악세사리 레일을 달 수 있게 개량했다.[15] 신뢰성이 낮기로 유명했지만 현재는 개량을 마쳐 평범한 수준의 소총이 되었고, 4배율 광학 조준경을 쓰기 때문에 명중률만 따지면 오히려 좋은 편에 속한다.[16] 이와 유사하게 총몸을 플라스틱으로 만든 슈타이어 AUG도 기본형 기준으로 3.6kg으로 비슷하다.[17] 참고로 1000달러면 AR-15 1정과 레플리카 조준경, 탄창도 나름 넉넉히 살 수 있고, 동구권에서 흘러온 소총을 산다면 아예 총을 풀튜닝해도 될 정도의 값이다.[18] AC 58이라는 RHA 350mm까지 관통하는 대전차 총류탄, APAV 40 이라는 40mm 대인 총류탄을 쓴다.[19] M203은 방아쇠울만 있고 따로 손잡이가 없다. 일반적인 AR-15 스타일의 소총들은 자연스럽게 탄창이 그 역할을 하기 때문인데, FAMAS는 F1 모델 한정으로 탄창이 뒤쪽에 있으므로 권총손잡이를 감싸는 듯한 커다란 핸드가드 비스무리한 것을 달게 된다. 구글 등지에 FAMAS M203이라고 검색하면 사진이 몇 개 뜨는데, 꽤나 어색해보인다. 다만 G2 모델은 방아쇠울이 크게 확장되어 슈타이어 AUG나 TAR-21처럼 방아쇠울이 권총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 보통 불펍식에 언더배럴식으로 쓰기에는 별도의 권총손잡이가 있는 H&K M320 계열이 더 낫다. 아니면 Mk.13 EGLM을 부착하거나 GL-1, QLG-10A처럼 맞춤형으로 설계한 유탄발사기를 부착하는 방법도 있다.[20] 이것은 롤러 지연 블로우백을 사용하는 StG45(H&K G3)와 롤러 잠금 노리쇠 및 단주퇴 반동 이용식을 사용하는 MG42(MG3)의 관계와 유사하다.[21] FAMAS처럼 (롤러) 지연 블로우백 방식으로 작동하는 H&K HK33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난다.[22] 5.56×45mm NATO 탄 자체는 9인치당 1회전인 강선 규격에 최적화되었지만, 예광탄이 보통탄보다 길어서 예광탄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회전을 늘려야 했다. 5.56×45mm를 사용하는 총기 중 일부는 강선 규격이 9인치당 1회전인 경우가 있다.[23] NATO 회원국간 규격호환 문제는 총기를 포함해서 여러 분야나 장비에서 발생하고 있다. 프랑스만 유독 그런 것은 아니다. 이탈리아와 영국의 경우에도 자국군이 채용한 돌격소총이 NATO 표준탄약을 장전하고 발사했을 때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로 인해 NATO에서 직접 서면통보를 했다.[24] 대부분의 소총은 총열 위에 총검을 착검하게 되면 가늠자와 가늠쇠가 총검에 가려지기 때문이다. FAMAS의 경우에는 길쭉하고 높은 캐링핸들 위에 가늠자와 가늠쇠가 모두 몰려 있기에 상관없는 듯 싶지만 말이다.[25] 하지만 이 총은 군필자들이 군생활중 지겹게 보던 K2 소총보다도 개발, 양산 모두 5년 이상 앞선 물건이다.[26] 사실 연사력으로 따지면 분당 900~1000발의 F1보다 분당 1,000~1,100발의 G2가 더 빠르다.[27] 레인보우 식스 시리즈같이 근거리 CQB 위주로 돌아가서 연사력이 빠를수록 좋은 게임에서는 돌격소총 1티어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배틀필드 4처럼 총기의 전체 밸런스가 더 중요한 게임에서는 근거리에서만 힘을 쓸 수 있는 총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그런 류의 게임에서도 3점사로 나오지 않는 이상 근거리 화력만은 출중하게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