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겨울이 시작되면서 제주는

돌담 안으로 샛노란 감귤이 탐스렇게 익어가고

길에도, 마을 안에도, 농원에도, 관광지마다 진분홍으로 물들이는

애기동백꽃이 어우러져 즐거움은 배가 된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좁은 농로길 따라 들어가면

제주 돌담과 감귤밭이 어우러진 곳 

둥글둥글하게 잘 다듬어진 숲을 이룬 애기동백나무가 한 눈에 들어온다.

'위미 동백나무 군락'과는 500여 미터 떨어져 있는 조경용으로 심어진

약 40년 된 애기동백나무들이 숲을 이룬 사유지 농원이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오래된 나무는 크리스마스 트리를 연상하게 하고

윤기나는 반지르한 잎사귀 사이사이 마다 진분홍 꽃으로 수채화를 그려내는

만발한 사랑스런 애기동백꽃은 한 그루 한 그루가 예술이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대부분의 꽃이 지고 채색되어 가던 나뭇잎과

가을향기로 가득찼던 계절은 멀어져가지만 찬바람이 불어오면서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애기동백이 겨울의 시작을 알린다.

따뜻한 남쪽지방에서 자라 겨울에 피어난다고 해서 붙여진 '동백(冬柏)'

꽃이 귀한 시기에 피어서인지 향기는 없지만 윤기나는 진녹색 잎 사이로 살포시 피어나는

화사한 진분홍꽃은 누구에게나 정답고 따뜻하게 느껴진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동백나무는

차나무과의 상록활엽소교목으로 높이는 5~15m 정도 자란다.

어긋나는 타원형의 잎에는 물결모양의 잔톱니가 있고 광택이 나는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 잎 뒷면의 맥상에 털이 있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합쳐지고 꽃은 활짝 벌어지듯 핀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수술대는 밑부분만 붙어 있고

동백나무와 다르게 씨방에 털이 있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진분홍꽃은 해를 넘기지 않고 10~12월에 피지만 

이듬해 1월까지 볼 수 있고 꽃이 질 때는 꽃잎이 각각 한 장씩 떨어지는 특징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3개의 암갈색 종자가 들어있고 익으면 3갈래로 벌어진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해풍에는 강해 주로 제주도와 남쪽 해안지방에 분포하고

워낙 꽃이 화사해서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있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동백나무는

꽃잎은 서로 포개져 반쯤 벌어지듯 피는데

수술대가 모두 붙어 있고 서로 합쳐진 원통모양을 하고 있다.

꽃은 해를 넘은 1~4월까지 피고 씨방에는 털이 없다.

꽃이 질 때는 통째로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유난히 동백꽃을 좋아하는 동박새가 꿀을 빨아먹고

꿀을 빨아 먹는 사이에 꽃가루받이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조매화(鳥媒花)로

꿀을 가져가면서 꽃밥을 묻혀 다른 곳으로 옮기는 공생관계에 있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돌도고리에 떨어진 동백꽃이 운치있어 더 아름답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일찍 색을 잃어버린 꽃과 수북이 쌓인 낙화

바닥에 둥그런 진분홍 카펫을 깔아 놓은 듯 낙화마저 아름다운 낭만의 길로

하얀 겨울에 피어 더 아름다운 꽃은 겨울을 더 아름답게 물들인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낭만과 사랑을 담은 겨울의 여왕 '동백꽃'

꽃말은 자랑, 겸손한 아름다움이다.

서울에서도 동백꽃 꽃망울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동백나무를 보면 꽃잎이 살짝 벌어진 것과 많이 벌어진 것이 있는데 각각 동백나무와 애기동백나무다. 이 둘은 구분하면 ‘꽃맹탈출’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이다. 동백꽃은 11월부터 피기 시작해 이듬해 5월까지 피는, 명실상부한 겨울꽃이다. 일년에 반년 이상 꽃이 피는 것이다.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에 분포하고, 서해안을 따라 백령도 바로 아래 대청도에서까지 자란다. 물론 동해안을 따라서도 올라가 있다. 제주도에는 동백수목원, 카멜리아힐, 동백포레스트, 동백동산, 환상숲 등 동백을 주제로 한 수목원이나 숲이 많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동백나무 꽃. 반쯤만 벌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동백나무가 한겨울에 꽃을 피우는 것은 곤충이 아닌 동박새가 꽃가루받이를 돕기 때문이다. 동박새는 동백꽃의 꿀을 먹는 과정에서 이마에 꽃가루를 묻혀 다른 꽃으로 나른다. 동박새는 워낙 작고 날쌔 실물을 보기가 참 힘든 새다. 동백꽃을 보러 갈 때마다 동박새를 담아보려고 했지만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동백나무 사이에서 새소리가 나는 것으로 보아 동박새가 있는 것이 분명한데 좀처럼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동백꽃은 반 정도만 벌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소설가 김훈이 에세이 꽃 피는 해안선에서 목련에 쓴 표현을 빌리면, 꽃잎을 절반만 벌어져 있을 때가 동백꽃의 결정인 것이다. ^^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고 노란색 수술이 90~100개 있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동백꽃. 동백꽃은 듬성듬성 피어 여러 송이를 찍는 것이 쉽지 않았다. ^^

애기동백나무는 꽃잎이 활짝 벌어져 동백나무와 구분할 수 있다. 동백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인 자생식물이지만, 애기동백나무는 일본 원산으로 도입한 재배식물이기도 하다. 동백꽃은 벌어질듯 말 듯 중간쯤만 벌어지기 때문에 꽃잎이 활짝 벌어져 있으면 애기동백나무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애기동백나무는 일년생 가지와 잎 뒷면의 맥, 씨방에 털이 있는 점도 다르다.

애기 동백 꽃말 - aegi dongbaeg kkochmal
애기동백나무 꽃. 꽃잎을 활짝 펼치고 있으면 애기동백나무 꽃이다.

애기동백나무는 만개하는 시기가 동백나무보다 좀 빠르다. 제주도든 남해안이든 우리 자생종 동백나무보다 애기동백나무를 더 흔히 볼 수 있다. 사람 손길이 닿은 곳은 특히 그렇다. 동백나무 꽃은 진한 붉은색이고 어쩌다 흰색이 있는 반면 애기동백나무는 위 사진처럼 연한 붉은색이 가장 많고 여러 색깔의 다양한 원예품종들이 있다. 이제 동백꽃 비슷한 꽃이 보이면 동백나무 꽃인지, 애기동백나무 꽃인지 구분을 시도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