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제품설명

Mega2560은 아두이노 Mega의 업데이트입니다.

이 보드는 ATmega2560-16AU를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보드이며

54개의 디지털 입/출력 핀 (이 중 14개는 PWM 출력으로 사용 가능), 16개의 아날로그 입력,

4개의 UART (하드웨어 직렬 포트), 16 MHz 수정 발진기, USB 연결, 전원 잭,

ICSP 페더 및 재설정 버튼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USB 케이클로 컴퓨터에 연결하거나 AC-DC 어댑터 또는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기만 하면 됩니다.

Mega는 아두이노 Duemilanove 또는 Diecimila를 위해 설계된 대부분의 실드와 호환됩니다.

CH340G는 Atmega 8U2 / 16U2를 대체합니다.

CH340G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를 복사하여 브라우저에 붙여 넣으십시오:

http://www.5v.ru/ch340g.htm

 

제품정보

마이크로 컨트롤러 : ATmega2560

클럭 속도 : 16 MHz

EEPROM : 4 KB

SRAM : 8 KB

플래시 메모리 : 256 KB 중 8 KB가 부트 로더 사용

작동 전압 : 5 V

입력 전압 (권장) : 7~12 V

디지털 I/O 핀 : 54개 (그 중 14개는 PWM 출력 제공)

3.3 V 핀의 DC 전류 : 50 mA

I/O 핀당 DC 전류 : 40 mA

크기 : 100 x 55 mm

 

제품구성

ATmega2560-16AU CH340G Board *1

USB Cable *1

 

 

반응형


아두이노우노와 아두이노 메가의 기구 도면



출처 참고 : http://www.krekr.nl/content/arduino-uno-technical-drawing/

https://blog.adafruit.com/2011/02/28/arduino-hole-dimensions-drawing/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Arduino Mega 2560 SVG Drawing 출처 아래와 동일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Arduino Uno SVG Drawing  출처 :

https://www.wayneandlayne.com/blog/2010/12/19/nice-drawings-of-the-arduino-uno-and-mega-2560/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메이커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나노 핀맵 - 아두이노 나노 I2C 핀  (0)2019.02.20Fritzing 라이브러리 다운 받는 곳  (0)2019.01.28스마트팜 구축가란?  (0)2019.01.24OLED 테스트 코드  (0)2018.12.061차 이메일 송부 - 20181120  (0)2018.11.21

반응형

▶ 아래가 아두이노 메가 보드의 핀맵 또는 핀 아웃입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 됩니다)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이미지 :  Arduino.cc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이미지 : Arduino.cc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아두이노 메가의 디지털 핀맵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아두이노 메가 기타 핀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이미지 : www.theengineeringprojects.com

▶ 아래는 아두이노 메가의 데이터 시트입니다. 

아두이노 메가 규격 - adu-ino mega gyugyeog
이미지 :  Arduino.cc

 

▶ 아두이노 메가에서 여러개의 하드웨어 시리얼 통신핀 사용하기
 아두이노 메가에서는 여러개의 하드웨어 시리얼 통신핀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메가 핀 옆에 글자로 14번 15번은 TX3, RX3 , 16번 17번은 TX2, RX2,  18번 19번은 TX1, RX1 로 표시되어 있는데요,
0번 1번은 그냥 RX, TX로 생각하면 되는데요, 
 일반적으로 아두이노 우노에서는 하나뿐인 하드웨어 시리얼 핀을 선언할 때는 Serial.begin 로 선언하고,  사용할 때는 Serial.print("  ") 와 같이 사용하게 되는데요,  Mega보드의 경우,

Setup ( )  {    }에서,  
Tx1 , Rx1은  Serial1.begin 과 같이 선언해주고,  
Tx2 , Rx2는  Serial2.begin 과 같이 선언해주고,  
Tx3 , Rx3는  Serial3.begin 과 같이 선언해주고,  

main ( )  {   } 에서 사용할 때는, 
Tx1 , Rx1은  Serial1.print 와 같이 사용하면 되고,  
Tx2 , Rx2는  Serial2.print 와 같이 사용하면 되고,  
Tx3 , Rx3는  Serial3.print 와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참고로 아두이노 우노에서는 모든핀을 소프트웨어 통신핀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메가 보드에서는 소프트웨어 통신 핀으로 사용 가능한 핀이 정해져 있습니다. 
   - 아두이노 메가의 경우10, 11, 12, 13, 14, 15, 50, 51, 52, 53, 62, 63, 64번 핀이 사용 가능하고 
   - 아두이노 레오나르도의 경우 8, 9, 10, 11, 14, 15, 16번 핀을 소프트웨어 통신 핀으로 사용 할 수 있어요.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라즈이노 iOT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아두이노 > 5. 아두이노-프렌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lynk 2.0 】 블링크2.0 기존 프로젝트(템플릿) 삭제 방법 How to delete Blink2.0 existing project (template)  (0)2022.06.17【 Blynk 2.0 】 #1 Nano33 ioT & Blynk2.0으로 LED On/Off WiFi 제어하기! / How to use Blynk2.0 & Cloud ?  (0)2022.06.16【 ATtiny85】 초소형 아두이노 ATtiny85 기초부터 응용까지 완벽 풀코스(초미니 OLED 온·습도계 제작)  (11)2020.12.17【 아두이노Nano#2】 NANO 33 IoT 처음사용 설명서 2편 WiFi 활용하기  (2)2020.07.20【 아두이노Nano#1-2】 NANO 33 IoT 처음사용 설명서 #1-2 (LSM6DS3 센서 테스트)  (2)20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