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평 주택평면도 - 25pyeong jutaegpyeongmyeondo

[CSRM41X]

4인가족의 여유있는 공간을 위한 전원주택

41py

개요

Concept

벽돌과 징크지붕을 마감을 이용한 심플하고 모던주택입니다.

수도권 근교의 단독주택 또는 4인 가족주택으로 설계하였으며
분리된 매스를 통해 건축주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테라스공간을 통해
우수한 외부조망과 채광이 확보하였습니다.

거실 상부가 오픈되어 높은 층고의 공간감으로 실제보다 더욱 넓은 느낌을 주는
오픈하우스입니다.

건축 정보

information

건축면적:
지상1층:
지상2층:
합계면적:
연면적:
규모:
구조:

101.61㎡ (30.74평)
101.61㎡ (30.74평)
35.37㎡ (10.70평)
136.98㎡ (41.44평)
136.98㎡ (41.44평)
지상2층
경량목구조
벽체 2"x 6" S.P.F
지붕 2"x 10" S.P.F

철근콘크리트조
(매트기초)
지정벽돌
독일식 시스템창호
(3중유리)
T0.7 아연도금강판
바닥 : 강마루
벽 : 지정벽지
천장 : 지정천장지
계단 : T30 오크

기초 T115 압출법단열재(가등급)
외벽 R21 에너지세이버(가등급) + T8 스카이텍
지붕 R40 에너지세이버(가등급)

투시도

Perpective Drawing

1층 투시도

2층 투시도

평면도

Floor Plan

1층 평면도

2층 평면도


 안녕하십니까. 세라하우징 유아영차장입니다.

고객님과 협의하기 위한 계획도면 올려드립니다.

고객님이 원하시는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여 계획을 잡아 보았습니다.

배치도는 토목설계사무실에서 현황측량 후 메일 보내주시기로 하셨으므로

먼저 평면도 협의부터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층 평면도 

[시안 1] - 107.2㎡ / 32.43평

건물외형에 최대한 굴곡없이 하여 주방과 거실을 넓게 계획하였습니다.

각 거실과 주방에 넓은 창을 계획하여 마당으로 나갈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현관과 욕실, 다용도실은 다시 재배치하여보았습니다.

주방에서 다용도실과 현관을 가깝게 하여 장을 봐온 후 동선이 짧도록 하였습니다. 

1층 평면도 

[시안 2] - 101.68㎡ / 30.76평

시안 1에서 주방과 거실면적을 줄여 30평으로 맞추어 보았습니다. 

거실에서 나갈 수 있는 창과 현관이 가까이에 배치되어있으므로 

주방에서 따로 나갈 수 있는 도어 대신에 주방 가구를 좀 더 넓게 배치하였습니다. 

※연면적 100㎡가 넘는 부분은 발코니 확장면적으로 시공면적은 100㎡가 넘지만

신고면적은 100㎡가 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검토 후 수정사항이나 궁금하신 사항은 말씀해 주세요^^

그래서 1000만원을 넘었을 뿐 8개월 만에 근사한 전원주택 한 채를 지었다. 특히 중개업소. 특히 전용면적은 공동주택의 구분소유권 등기에 올라가는 등기면적입니다. 이 단지 대부분의 집은 25평 내외이고 작은 것은 18평도 있다.

SH공사가 공급한 만리동의 예술인협동조합형 공공주택이다. 도면 이재경씨 제공 이재경씨는 지난 5월 이 집을 완공하고 입주했다. 건설교통부의 표준설계도면이 비,바람이 많은 제주지역에서는 외면당하고 있다.

다세대 주택은 세대별 전용면적 85㎡약 25평이하일 경우이다. 전용 면적 13평형 이상분양 면적 18평형 이상 국민임대주택도 거실 발코니 부분이 확장도면 참조된다 주택으로,국민임대주택 표준 평면 중 18∼25평형이 해당한다. 건교부 계획대로라면 25평형은 2억7500만원, 33평형은 3억6300만원 수준에 분양된다.

거푸집을 뗄 날을 기다린다. "동탄 SK뷰파크 없어서 못팔아" 59㎡ 설계도면 85㎡ 대동소이 동탄2신도시 SK뷰파크 2차 높여 25평이지만 집이 작다는 느낌을 없앤 것이 요즘 트렌드라고 한다. "25평 같은 소형평형은 발코니 확장 안하면 정말 좁아보이죠. 안방에 침대 놓기도 어렵기 때문에 발코니를 확장 안하면 아무래도 선호도가 떨어집니다.

하우징쿱의 조합원인 서울시의 공공건축가가 설계를 맡는다. 전원주택을 짓기 위한 4가지 키워드 예산을 잡자 땅을 구매하자 땅에 맞는 설계를 하자 설계 도면대로 시공을 하자   무엇보다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예산일 터다. 작은 땅이지만 이 자리에 3층짜리 다가구주택을 지어 임대를 줄 요량이었다.

건축물 준공검사때도 도면을 디스켓으로 제출토록 하고 이를 영구 보관, 민원인과 건축행정 관리에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학교시설용지도 확보 안해 학교 대란 우려 충남 천안 신도시에서 한 주택건설 전문기업이 법망을 교묘히. 설계도면과 바닥 난방이 가능한 점 등으로 볼 때 사실상 완전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다. 분양주택 5844가구와 임대주택 2576가구로 나뉜다.

우선 땅콩주택듀플렉스 홈을 추천해볼 만하다.

소형견본주택

설계 도면은 주택 계획에 있어서 가장 밑바탕이 되는 중요한 자료다. 평면도란 건물이나 물건의 위치를 정확히 알기 위해 위에서 내려다본 구도의 그림을 말한다. 건축에서는 평면도를 통해 창문과 문의 위치, 각 공간의 크기와 구성을 알 수 있다. 어떤 건축물이나 주택에 대해 알아보고 싶을 때, 평면도가 있으면 가장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오늘 기사에서는 국내 주택의 평면도 7개를 준비했다. 단순한 선과 면들이 만들어가는 공간을 하나씩 살펴보며 설계 단계에서 들어간 건축가의 의도들을 파악해보고 실제 주택을 지을 때 적용할만한 아이디어를 참고해보자. 

1. 어디서나 자연을 마주하는 집

먼저 살펴볼 평면도는 178.85m² 크기의 2층 주택 중, 1층의 평면도다. 가로로 긴 구조의 넓은 1층 공간은 주방, 거실, 다이닝룸과 욕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간의 크기는 평면도의 바닥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가족들이 함께하는 공동 공간으로 설정한 만큼 넉넉한 공간감을 살려 안정되고 여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각 공간에 마당을 향하는 큰 창을 설치한 점이 눈에 띈다. 현관부터 이어지는 넓은 데크 쪽으로 설치된 개구부는 밝은 자연채광과 아름다운 바깥의 전망을 실내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안방에는 프라이빗한 드레스룸과 욕실을 안쪽으로 설치해 편리성을 높였다. 보통 주택의 안쪽에 설치되는 욕실은 습기 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욕실의 곰팡이를 관리하는 방법 등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2. 중정이 있는 집

이번에 살펴볼 평면도는 태안 원북면 방갈리의 단독 주택이다. 먼저 거실과 주방 사이에 깊게 들어온 중정 공간이 눈에 띈다. 데크 위, 화단으로 표시된 중정은 침실과 거실이 있는 휴식공간과 주방을 효과적으로 분리해낸다. 또한, 중정을 기준으로 삼면에 모두 유리창을 설치해서 밝은 자연채광을 확보하고 아름다운 전망을 어디서든 마주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3. 독특한 구조의 제주 돌담집

이번에 알아볼 주택은 제주도에 위치한 돌담 집이다. 평면도는 2층을 보여주는데, 긴 구조를 효율적으로 분할하고 알차게 채워 넣은 아이디어가 주목할 만하다. 계단을 통해 2층으로 올라왔을 때 가장 먼저 접하는 곳은 거실과 주방 등의 공동 공간이다. 거실 옆으로는 L자형 싱크대의 프레임과 다이닝테이블이 길게 연결되어 있어 안방 쪽으로 향하는 길을 복도식으로 길게 연출한다. 아이들이 지내는 방은 일자형의 공부방을 통해야 들어갈 수 있어, 아이들이 언제나 책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게 계획했다. 부부와 아이들이 함께하는 거실은 공동공간인 동시에, 아이 방과 안방을 가장 적절한 간격으로 분리해내는 공간이다.

4. 심플한 32평 아파트

이번엔 아파트 구조를 살펴보도록 하자. 깔끔한 모던 인테리어와 더불어 군더더기 없는 공간 구성이 매력적인 아파트다. 현관을 통해 들어오면 주방과 다이닝룸, 거실이 길게 이어지는 오픈 플랜 공간을 만난다. 거실과 주방은 약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어긋난 간격에 방을 만들었다. 주방에는 L자형 구조의 싱크대를 설치한 후 다이닝 테이블을 함께 배치해 ㄷ자 구조의 깔끔한 공간을 완성했다. 깔끔한 동선을 위해서는 바닥과 벽의 형태에 맞게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연결된 공간은 바닥재를 통일하는 것이 더 넓은 공간감을 연출하기에 좋은데, 이 땐 바닥 시공 전문가와 상의하여 가장 완벽한 솔루션을 찾아보도록 하자.

5. 양평 문호리의 단독 주택

이 사진은 양평 문호리에 있는 단독주택의 1층 평면도다. 28.77평 규모의 1층엔 거실과 주방이 있어 가족들이 주로 함께 지내는 공동공간으로 연출했다. 주방과 거실은 일자로 배치되어 있으며 욕실 옆에 계단을 깔끔하게 설치해서 복도형의 긴 동선을 만들어 냈다. 건축가는 현관 옆에 전원생활에 필요한 물건들을 정리할 수 있는 창고를 두어 더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배려했다.

6. 빈틈 없이 꽉 찬 미니멀 주택

이 사진은 국내 건축업체, 한글주택(주)에서 작업한 미니멀 스타일 단독 주택의 평면도다. 건축면적이 약 21평, 넉넉하다고는 할 수 없는 크기의 주택이지만 빈틈없이 알찬 구성과 특별한 공간 이해를 통해 가장 이상적인 실내 공간을 자랑한다. 사진 속엔 69.21㎡ 크기의 1층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욕실과 창고의 독특한 구조! 사선으로 잘린 듯한 애매한 공간을 완벽하게 해결하는 건축가의 센스는 공간에 심미성과 편의성을 함께 부여한다.

마지막으로 살펴볼 것은 익산의 전원주택이다. 3D로 그려진 평면도는 일반적인 평면도 보다 더 구체적으로 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 현관을 들어서면 먼저 갤러리형의 긴 복도가 있다. 보통 복도는 어둡고 답답한 반면, 이곳의 복도는 긴 테라스와 접해있어 밝고 트인 전망을 즐길 수 있다. 아이들의 방을 지나 넓은 거실로 이어진다. 박공지붕의 구조를 그대로 살린 거실의 높은 천장고는 공간을 더 개방적으로 연출한다.

가족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다정한 목조주택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