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아나운서 - SBS nyuseu anaunseo

장르 방송 국가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방송 분량 제작자 진행자 음성 자막 HD 방송 여부 관련 프로그램 외부 링크 

SBS 8 뉴스
SBS 8 NEWS

뉴스
대한민국
SBS TV
1991년 12월 9일 ~ 1997년 3월 2일

SBS 9시 뉴스&뉴스 큐 1997년 3월 3일 ~ 6월 29일

1997년 6월 30일 ~ 현재

평일 저녁 7:50 ~ 9:00
토요일 밤 8:00 ~ 8:35
일요일 밤 8:00 ~ 8:45
평일 : 70분
토요일 : 35분
일요일 : 45분
SBS 보도본부
평일 : 김현우, 최혜림
주말 : 김용태, 주시은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폐쇄 자막 방송
수어 통역 방송
HD 생방송
KBS 뉴스 9
MBC 뉴스데스크
SBS 8 뉴스 홈페이지

비고:
SBS 뉴스 홈페이지의 대본 멘트의 "SBS ○○○ 입니다."의 무표기
한국 수어 통역 방송(2020년 9월 21일 이후)

SBS 8 뉴스》(SBS 8 NEWS)는 대한민국 SBS TV에서 평일 저녁 7시 50분과 주말 밤 8시에 방송되는 SBS의 메인 종합뉴스 프로그램이다.

SBS 8 뉴스 역사[원본 편집]

  • 1991년 12월 9일 : 첫방송
  • 1995년 5월 14일 : 부산, 대구, 광주, 대전민방 개국에 따라 수중계 (전국방송 시간은 밤 8시부터 25분 까지만 수중계함.)
  • 1995년 7월 3일 : 부산, 대구, 광주, 대전민방 수중계 시간 변경 (전체 뉴스시간45분에서 40분으로 줄이고 40분 뉴스 전체다 전국 동시 수중계로 변경, 1996년 개편이후 수중계 시간 변경, 밤 8시~8시 30분까지로 변경됨.)
  • 1997년 3월 3일 : 9시 뉴스로 변경하였다.[1]
  • 1997년 6월 30일 : 8시 뉴스로 다시 부활하였다.[2]
  • 1997년 9월 1일 : 울산민방 개국에 따라 수중계
  • 1997년 9월 27일 : 전주민방 개국에 따라 수중계
  • 1997년 10월 18일 : 청주민방 개국에 따라 수중계
  • 2000년 6월 15일 : 평양에서 뉴스 스튜디오 중계하였다.
  • 2001년 12월 15일 : 강원민방 개국에 따라 수중계
  • 2002년 5월 31일 : 마지막으로 제주민방 개국에 따라 수중계
  • 2017년 1월 2일 ~ 1월 29일 : 본래 메인 스튜디오에서 진행하였지만, 2017년 SBS 새해 개편으로 인하여 새로운 메인 스튜디오 공사에 들어감에 따라 모닝와이드와 SBS 1010 뉴스, SBS 12 뉴스,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SBS 오 뉴스, SBS 나이트라인, SBS 주말뉴스, SBS 뉴스특보와 함께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전용 스튜디오에서 임시로 진행하였다.
  • 2017년 1월 30일 ~ 2021년 12월 30일 : 새로운 메인 스튜디오의 개편에 따라 모닝와이드와 SBS 나이트라인, SBS 뉴스특보와 함께 다시 메인 스튜디오에서 진행하고 폐지의 종료에서 것은 있다.
  • 2017년 지원종료 SBS 나이트라인에서 삭제에서 함께해 종료에서 것은 있는 하다.
  • 2018년 2월 중순 : 하단 뉴스티커를 삭제하였다.
  • 2018년 4월 16일 : 타이틀 로고 배경색깔과 위치, 자막의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2018년 8월 23일 : 제 19호 태풍 솔릭으로 인하여 잠시 태풍관련 하단 뉴스티커를 추가하였다.
  • 2019년 3월 23일 : 봄 개편 시작과 함께 헤드라인 뉴스 자막과 날씨 자막 및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2019년 7월 15일 : 평일 클로징에서 앵커가 그 날의 주요뉴스 관련 사진을 보여주며 설명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8월 6일 : 제 8호 태풍 프란시스코로 인하여 잠시 태풍관련 하단 뉴스티커를 추가하였다.
  • 2020년 3월 30일 : SBS 스포츠뉴스 클로징에서 이승기가 일일 아나운서로 출연하였다.
  • 2020년 3월 30일 ~ 2020년 4월 19일 : 3주간 평일만 방송시간을 10분 앞당겨서 저녁 7시 50분에 방송되었다.
  • 2020년 8월 3일 ~ 2020년 8월 16일 : 여름 집중호우 사건사고 특집방송으로 인하여 평일만 방송시간을 10분 앞당겨서 저녁 7시 50분에 방송되었다.
  • 2020년 8월 26일 : 제 8호 태풍 바비로 인하여 방송시간을 1시간 앞당겨서 저녁 7시특집 8시 뉴스로 방송되었고, 기상관련 하단 뉴스티커를 추가하였다.
  • 2020년 9월 2일 : 제 9호 태풍 마이삭으로 인하여 방송시간을 30분 앞당겨서 특집 8시 뉴스로 방송되었고, 기상관련 하단 뉴스티커를 추가하였다.
  • 2020년 9월 21일 : 개편에 따라 평일 70분 확대 편성 및 1·2부 분할 편성되었으며, 한국 수어 통역 방송 중이다.[3]
  • 2020년 10월 1일 : 추석을 맞이하여, 하단의 8 NEWS 로고를 한가위 8 NEWS 로고와 병행 및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 2020년 12월 20일  : 뉴스 시스템 일시 오류로 인하여 방송 시작이 지연(저녁 8시 14분)되는 방송사고가 나타났다.[4]
  • 2020년 12월 24일, 12월 25일 : 성탄절을 맞이하여, 하단의 8 NEWS 로고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 2021년 1월 1일 : 신년을 맞이하여, 하단의 8 NEWS 로고를 2021 HAPPY NEW YEAR 로고와 병행 및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 2021년 1월 7일 : 뉴스 초반 폭설 요약영상 및 자막 송출이 되지 않는 방송사고가 나타났다.
  • 2021년 8월 23일 : 제 12호 태풍 오마이스로 인하여 방송시간을 30분 앞당겨서 특집 8시 뉴스로 방송되었고, 기상관련 하단 뉴스티커를 추가하였다.
  • 2021년 9월 21일 : 추석을 맞이하여, 하단 좌측의 8 NEWS 로고를 한가위 8 NEWS 로고와 병행 및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 2021년 11월 29일 : 변경된 스튜디오에서 방송을 시작하였다.
  • 2021년 12월 24일, 12월 25일 : 성탄절을 맞이하여, 하단의 8 NEWS 로고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 2022년 1월 1일 : 신년을 맞이하여, 하단의 8 NEWS 로고를 2022 HAPPY NEW YEAR 로고와 병행 및 전환하여 사용하였다.
  • 2022년 8월 9일 : 폭우로 인하여 특집 8시 뉴스로 방송되었고, 기상관련 하단 뉴스티커를 추가하였다.

방송 시간[원본 편집]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 SBS TV
1991년 12월 9일 ~ 1992년 3월 22일 매일 밤 8시 ~ 8시 30분 (30분)
1992년 3월 23일 ~ 1992년 5월 24일 평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주말 밤 8시 ~ 8시 55분 (55분)
1992년 5월 25일 ~ 1993년 4월 25일 매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3월 2일
1993년 4월 26일 ~ 1993년 5월 30일 평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주말 밤 8시 ~ 8시 20분 (20분)
1993년 5월 31일 ~ 1993년 10월 17일 평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주말 밤 8시 ~ 8시 35분 (35분)
1995년 4월 17일 ~ 1996년 10월 13일
1997년 6월 30일 ~ 1997년 10월 26일
1993년 10월 18일 ~ 1994년 4월 17일 평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주말 밤 8시 ~ 8시 35분 (35분)
1998년 10월 19일 ~ 1999년 4월 4일
2002년 11월 2일 ~ 2008년 4월 27일
1994년 4월 18일 ~ 1995년 4월 16일 평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주말 밤 8시 ~ 8시 40분 (40분)
2008년 4월 28일 ~ 2012년 11월 4일
1997년 3월 3일 ~ 1997년 5월 18일 평일 밤 9시 ~ 9시 45분 (45분)
주말 밤 8시 ~ 8시 45분 (45분)
1997년 5월 19일 ~ 1997년 6월 29일 평일 밤 9시 ~ 9시 50분 (50분)
주말 밤 8시 ~ 8시 40분 (40분)
1997년 10월 27일 ~ 1998년 3월 1일 평일 밤 8시 ~ 8시 50분 (50분)
주말 밤 8시 ~ 8시 35분 (35분)
1998년 3월 2일 ~ 1998년 10월 18일 평일 밤 8시 ~ 8시 40분 (40분)
주말 밤 8시 ~ 8시 35분 (35분)
1999년 4월 5일 ~ 2002년 11월 1일
2012년 11월 5일 ~ 2013년 3월 10일 평일 밤 8시 ~ 8시 50분 (50분)
주말 밤 8시 ~ 8시 45분 (45분)
2013년 3월 11일 ~ 2013년 6월 30일 평일 밤 8시 ~ 8시 55분 (55분)
주말 밤 8시 ~ 8시 50분 (50분)
2013년 7월 1일 ~ 2019년 4월 14일 평일 밤 8시 ~ 8시 55분 (55분)
주말 밤 8시 ~ 8시 45분 (45분)
2019년 5월 13일 ~ 2020년 3월 29일
2020년 4월 20일 ~ 2020년 9월 20일
2019년 4월 15일 ~ 2019년 5월 12일 평일 저녁 7시 55분 ~ 8시 55분 (60분)
주말 밤 8시 ~ 8시 45분 (45분)
2020년 3월 30일 ~ 2020년 4월 19일 평일 저녁 7시 50분 ~ 8시 50분 (60분)
주말 밤 8시 ~ 8시 45분 (45분)
2020년 9월 21일 ~ 2021년 4월 11일 평일 저녁 7시 50분 ~ 밤 9시 (70분)
토요일 밤 8시 ~ 8시 40분 (40분)
일요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2021년 4월 12일 ~ 2022년 2월 20일 평일 저녁 7시 50분 ~ 밤 9시 (70분)
토요일 저녁 7시 50분 ~ 8시 35분 (45분)
일요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2022년 2월 21일 ~ 현재 평일 저녁 7시 50분 ~ 밤 9시 (70분)
토요일 밤 8시 ~ 8시 35분 (35분)
일요일 밤 8시 ~ 8시 45분 (45분)
명절(설날ㆍ추석)[5]
월요일 ~ 목요일 저녁 7시 50분 ~ 8시 35분 (45분)
금요일 저녁 7시 50분 ~ 8시 15분 (25분)

구성[원본 편집]

  • 지방은 중간광고를 포함한 2부는 편성하지 않는다.
코너명진행자비고
SBS 8 뉴스 예고 평일 : 최혜림 아나운서
토요일 : 주시은 아나운서
[6][7][8]
헤드라인 (주말) 주시은 아나운서 [9]
오프닝 평일 : 김현우 기자
주말 : 김용태 기자
탐사리포트 끝까지 판다
단독 취재
제보가 왔습니다
S Pick (평일) 김현우 기자 2020년 9월 21일 신설
SBS 스포츠뉴스 평일 : 이윤아 아나운서
주말 : 김영성 기자
SBS 날씨 월요일 ~ 토요일 : 남유진
일요일 : 양태빈
제주 JIBS 평일 자체 날씨방송 주말은 SBS 날씨 수중계
클로징(지방제외) 평일 : 최혜림 아나운서
주말 : 주시은 아나운서
[10][11]

앵커[원본 편집]

현재 앵커[원본 편집]

  • 현재 앵커는 평일은 2017년 5월 22일부터, 주말은 2020년 11월 7일부터를 기준으로 한다.
  • 1월 1일이나 특집에는 주말에도 평일 앵커가 진행한다.

평일[원본 편집]

  • 김현우 (남) - SBS의 보도본부 정치부 기자
  • 최혜림 (여) - SBS의 아나운서

※ 평일 앵커가 휴가 또는 출장 시에는 주말 앵커가 대신 진행.

주말[원본 편집]

  • 김용태 (남) - SBS의 보도본부 정치부 기자
  • 주시은 (여) - SBS의 아나운서

※ 주말 앵커가 휴가 또는 출장 시에는 평일 앵커가 대신 진행.

역대 앵커[원본 편집]

  • 데이터는 마산도서관의 VOD 목록 기반으로 작성되었고, 원본 영상을 코로나 19에서 기득하고에서 되있다. 확인할 길이 막혀 있어 증거자료를 확보하기가 힘들 수 있음.

평일[원본 편집]

역대
(기수)진행자진행 기간비고 남성여성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0기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16기
맹형규 빈칸 1991년 12월 9일 ~ 1992년 3월 20일
최영임 1992년 3월 23일 ~ 1994년 4월 15일
한수진 1994년 4월 18일 ~ 1995년 9월 18일 [12][13]
김형민 1995년 9월 19일 ~ 1996년 10월 11일 [14]
송도균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6월 27일 [15]
전용학 1997년 6월 30일 ~ 1998년 10월 16일
김형민 1998년 10월 19일 ~ 2000년 8월 7일 [16]
이영춘 2000년 8월 8일 ~ 2002년 3월 29일 [17]
곽상은 2002년 4월 1일 ~ 2004년 2월 29일
박상규 김소원 2004년 3월 1일 ~ 2005년 10월 28일 [18]
신동욱 2005년 10월 31일 ~ 2011년 3월 18일
김성준 박선영 2011년 3월 21일 ~ 2014년 7월 18일 [19][20][21]
정미선 2014년 7월 21일 ~ 2014년 12월 31일 [22][23]
신동욱 2015년 1월 1일 ~ 2016년 12월 16일 [24][25][26]
김성준 최혜림 2016년 12월 19일 ~ 2017년 5월 19일 [27]
김현우 2017년 5월 22일 ~ 현재 [28][29][30]

주말[원본 편집]

역대
(기수)진행자진행 기간비고 남성여성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정성환 빈칸 1991년 12월 14일 ~ 1992년 3월 22일
이계진 이혜영 1992년 3월 28일 ~ 1992년 6월 28일
정성근 김영 1992년 7월 5일 ~ 1992년 11월 29일 [31]
송선경 1992년 12월 6일 ~ 1993년 4월 25일 [32]
이승열 빈칸 1993년 5월 2일 ~ 1993년 5월 30일
한수진 1993년 6월 5일 ~ 1994년 4월 17일 [33]
최영주 1994년 4월 23일 ~ 1994년 10월 23일
김형민 이지현 1994년 10월 29일 ~ 1995년 9월 24일
빈칸 1995년 9월 30일 ~ 1996년 10월 13일
신완수 1996년 10월 19일 ~ 1997년 6월 29일
이창섭 이현경 1997년 7월 6일 ~ 1998년 6월 28일 [34]
고희경 1998년 7월 4일 ~ 1998년 10월 18일
이영춘 1998년 10월 24일 ~ 2000년 4월 16일
박수택 최영아 2000년 4월 22일 ~ 2000년 10월 1일
정성근 2000년 10월 7일 ~ 2001년 4월 29일 [35]
김성경 2001년 5월 5일 ~ 2002년 3월 31일
홍지만 김소원 2002년 4월 6일 ~ 2004년 2월 28일
박진호 윤현진 2004년 3월 6일 ~ 2008년 5월 4일
박선영 2008년 5월 10일 ~ 2011년 3월 20일
송욱 장선이 2011년 3월 26일 ~ 2011년 7월 17일
편상욱 최혜림 2011년 7월 23일 ~ 2012년 1월 15일
정미선 2012년 1월 21일 ~ 2012년 7월 1일
최혜림 2012년 7월 7일 ~ 2014년 9월 14일 [36]
이혜승 2014년 9월 20일 ~ 2016년 2월 21일 [37]
박현석 2016년 2월 27일 ~ 2016년 12월 18일
김현우 장예원 2016년 12월 24일 ~ 2017년 5월 21일 [38]
김용태 정미선 2017년 5월 27일 ~ 2018년 7월 1일 [39]
김범주 2018년 7월 7일 ~ 2019년 3월 17일
김민형 2019년 3월 23일 ~ 2020년 11월 1일 [40]
김용태 주시은 2020년 11월 7일 ~ 현재 [41][42][43][44]

시그널 변천사[원본 편집]

  • 1대 (1991년 12월 9일 ~ 1994년 1월 30일)
  • 2대 (1994년 1월 31일 ~ 1994년 10월 23일)
  • 3대 (1994년 10월 24일 ~ 1997년 3월 2일) : 제공자막 부분에 쓰였던 당시 시그널은 SBS의 주말 메인뉴스인 《SBS 뉴스 2000》에서도 사용되었다.
  • 4대 (1997년 3월 3일 ~ 1997년 6월 29일)
  • 5대 (1997년 6월 30일 ~ 1998년 3월 29일) : 성우 엄주환의 "한시간 빠른 뉴스, SBS 8시 뉴스"라는 나레이션이 포함된 시그널이 사용되었으며, 이 시그널의 변주곡은 2017년 10월 18일부터 CJB 8 뉴스의 시그널로 사용 중이다.
  • 6대 (1998년 3월 30일 ~ 2004년 2월 29일) : 나레이션이 성우 김관철로 바뀌였으며, 시그널도 이전과 다른 것으로 사용되었다.
  • 7대 (2004년 3월 1일 ~ 2008년 7월 27일)
  • 8대 (2008년 7월 28일 ~ 2014년 5월 18일) : 시그널이 일부 수정되었다.
  • 9대 (2014년 5월 19일 ~ 2014년 12월 24일) : 영화 《마당을 나온 암탉》中중에서 OST 작곡자인 이지수 작곡가가 새롭게 작곡한 시그널로 사용되었다.[45] 이 시그널은 2014년 7월 21일부터 모닝와이드의 시그널로 사용 중이며, SBS 8 뉴스와 더불어 SBS의 뉴스 프로그램[46]의 시그널로 선정되었다.
  • 10대 (2014년 12월 25일 ~ 2022년 현재) : 위의 종료 시그널이 약간 변형되었다.

SBS 스포츠뉴스[원본 편집]

  • 평일은 전국이고 kbc, JIBS 등은 방송 차체 첫을 있고을 UHD 4K에서 좋아있다.

기상 캐스터[원본 편집]

역대[원본 편집]

  • 공항진 (현 SBS 보도국 문화과학부 기자)
  • 이찬휘 (전 KBS 보도국 기자)
  • 안영인 (현 SBS 보도국 문화과학부 기자)

현재[원본 편집]

  • 평일, 토요일 : 남유진
  • 일요일 : 양태빈

캐치프레이즈[원본 편집]

기수캐치프레이즈기간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8기 9기
1시간 빠른 뉴스 1997년 6월 30일 ~ 2004년 2월 29일
디지털 시대의 중심 2004년 3월 1일 ~ 2004년 10월 10일
진실의 창 2004년 10월 11일 ~ 2012년 12월 31일
대한민국 뉴스 리더 2013년 1월 1일 ~ 2014년 12월 31일
2015 배려 대한민국을 바꿉니다 2015년 1월 1일 ~ 2015년 12월 31일
함께 만드는 기쁨 2016년 1월 1일 ~ 2016년 12월 18일
SBS 8 뉴스 2016년 12월 19일 ~ 2019년 3월 22일
거침 없이 간다, 깊이 있게 본다, 끝까지 판다 2019년 3월 23일 ~ 2020년 9월 20일
대한민국 뉴스의 기준, 중심을 지키는 저널리즘 2020년 9월 21일 ~ 현재

타이틀 변천사[원본 편집]

현재 타이틀은 1997년 6월 30일부터를 기준으로 한다.

기수타이틀방송 기간 1기 2기 3기 4기 5기 6기 7기
SBS 8 뉴스 1991년 12월 9일 ~ 1992년 3월 22일
SBS 8 뉴스 (평일)
SBS 뉴스쇼 (주말)
1992년 3월 23일 ~ 1992년 6월 28일
SBS 8 뉴스 1992년 6월 29일 ~ 1994년 10월 23일
SBS 8 뉴스 (평일)
SBS 뉴스 2000 (주말)
1994년 10월 24일 ~ 1996년 10월 13일
SBS 8 뉴스 (평일)
SBS 뉴스 Q (주말)
1996년 10월 14일 ~ 1997년 3월 2일
SBS 9시 뉴스 (평일)
SBS 뉴스 Q (주말)
1997년 3월 3일 ~ 1997년 6월 29일
SBS 8 뉴스 1997년 6월 30일 ~ 현재

시보 광고[원본 편집]

광고 기간광고주
1991년 12월 9일 ~ 1992년 4월 30일 산도스시계
1992년 4월 30일 ~ 1993년 6월 30일 KT 국제전화 001
1993년 7월 1일 ~ 1998년 1월 16일
(1997년 9월 1일 ~ 1998년 1월 16일: 평일 시보)
위니아전자
대우전자 탱크 (TANK, 기업 이미지, 1993)
대우 입체냉장고 탱크 (1994)
대우 초간편 VTR 딱한번 (1994 ~ 1995)
대우 입체냉장고 탱크 (1995)
개벽 X5 (1995 ~ 1996)
대우 입체냉장고 탱크 II (1996)
공기방울세탁기 (1996)
대우 탱크냉장고 신선은행 (1997)
대우전자 탱크주의 (TANK, 기업 이미지, 1997 ~ 1998)
1997년 9월 6일 ~ 2011년 4월 3일
(1997년 9월 6일 ~ 1998년 1월 11일: 주말 시보)
서울, 수도권: 매일유업
매일맘마밀 (1997 ~ 1998)
장에는 GG (1998)
매일 1등급우유 (1998)
매일맘마 (1998 ~ 1999)
매일맘마Q (1999 ~ 2000)
장에는 GG (2000)
매일맘마Q (2000 ~ 2001)
뼈로가는 칼슘두유 (2001 ~ 2002)
매일맘마 QT (2002)
매일맘마 우리아이 프로젝트 (2002)
뼈로가는 칼슘두유&검은깨 (2002 ~ 2003)
앱솔루트 명작 (2003)
썬업 델츠 (2003)
매일우유 ESL (2003.3~2003.6)
우리아이 두뇌이야기 (2004)
매일우유 ESL (2004)
매일 불가리아 → 장수나라 (2005.7~2005.11)
앱솔루트 명작 (2005 ~ 2006)
카페라떼 바리스타 (2007)
앱솔루트 명작 (2007)
앱솔루트 궁 (2008)
매일 저지방&칼슘우유 (2008 ~ 2009)
매일우유 (2009 ~ 2011)
카페라떼 (2010)
앱솔루트 명작 (2010 ~ 2011)
부산: 한화종합화학 / 광주: CJ제일제당 / 대전: 신원텔레콤, 농심
2011년 4월 4일 ~ 현재 현대자동차
  • 2022년 4월 16일부터 SBS 8 뉴스까지 50분에서 첫 방송에서 시간까지 현재시간에서 차체되었다.

지역민방 프로그램[원본 편집]

  • 다음 지역민방 프로그램은 오후 8시 30분 경부터 방송되며, 방송 직전의 화면 오른쪽 위에 지역민방 프로그램명이 뜬다. 스포츠뉴스 종료 후 본사의 날씨 소식 및 클로징을 직접 내보내던 지역 KBS 및 MBC와는 달리 지역민방들은 SBS 스포츠뉴스 및 SBS 날씨 수중계 종료 시 자체적으로 클로징을 내보내며 마친다.

동남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민방 뉴스 타이틀이 8 뉴스로 통일 했다.지역 민방 UHD만 서울 본사의 엔딩 클로징과 평일 생방송 투데이, 토요일 재방송, 일요일 집사부 일체 방송중 8시 뉴스 예고 자막과 평일 생방송 투데이, 토요일 펀먹고 공치리, 일요일 집사부 일체 시작전 8시 뉴스 예고 영상까지 볼 수 있다. 2020년 9월 21일 개편분부터는 1부만 방송되며 중간광고 편성대상에서 제외된다.

방송국방송 권역프로그램 타이틀평일 진행자주말 진행자SBS 스포츠뉴스 수중계SBS 날씨 수중계 G1방송JTVkbcCJBTBCJIBSubcKNNTJB
강원 G1 8 뉴스 오서윤 오서윤, 김수민, 김우진, 김태준 O O
전북 JTV 8 뉴스 하원호, 서주영 유진수, 서주영, 김문정, 유일한 O O
광주·전남 kbc 8 뉴스 정채운, 신재은 김은민 평일 : O
주말 : X
평일 : O
주말 : X
충북 CJB 8 뉴스 황수동, 변수민 SBS 8 뉴스 수중계 O O
대구·경북 TBC 8 뉴스 박영훈, 김예은 김명미, 김예은, 이향원, 백승열, 박수연 O 평일 : X
주말 : O
제주 JIBS 8 뉴스 최재혁, 김지현 최재혁, 김지현, 장성규, 김민경, 이정민 O O
울산 ubc 프라임뉴스 편정택, 장수정 편정택, 장수정, 이승재, 배윤주 O O
부산·경남 KNN 뉴스아이 박철규, 정준희 박철규, 정준희, 황범, 고강용, 정희정, 김다롬, 이해리, 임혜림 X X
대전·세종·충남 TJB 8 뉴스 노동현, 양세원 강병주, 이은지, 이보현, 오주호, 이은수, 최승희, 양세원 O O

SBS 날씨[원본 편집]

평일 / 토요일[원본 편집]

  • 남유진 (여) - SBS의 기상 캐스터

※ CJB에서 첫 평일 기상 캐스터가 휴가 및 출장 시, 일요일 기상 캐스터가 대신 진행.

일요일[원본 편집]

  • 양태빈 (여) -SBS의 기상 캐스터

※ TBC을 차체 일요일 기상 캐스터가 휴가 및 출장 시, 평일/토요일 기상 캐스터가 대신 진행.

비판[원본 편집]

2010년 9월 배추값을 비롯하여 채소값이 전반적으로 폭등하던 때 이명박 대통령은 배추가 비싸니 내 식탁에는 배추김치 대신 양배추 김치를 올리라고 지시했는데 양배추 가격도 배추와 비슷한 수준으로 폭등하였기 때문에 누리꾼들은 전 국민이 먹는 김치 값 관리도 제대로 못하면서 '양배추 김치'로 생색만 내면 다냐며 먹을 빵이 없으면 고기를 먹으라고 말했던 마리 앙투아네트의 발언과 비교하며 비판했다.[47] 그러자 SBS 8 뉴스는 클로징에서 요즘 김치대란이 일어나고 있다는 말을 듣고 대통령이 김치 대신 양배추 김치를 식탁에 올리라고 했다는 말이 전해지면서 네티즌들이 논란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고 말한 뒤 대통령이 물가를 잘 모르고 엉뚱한 말을 했다는 건데, 설혹 그렇게 했다고 하더라도 과연 그렇게까지 해석하고 논란으로 볼 일인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네티즌들은 정상적인 팩트(사실)를 가지고 정당한 비판을 한 국민(네티즌)을 정신 나간 사람들 취급을 했다며 그러고도 너희가 언론이냐고 맹비난했다.[48] 그러자 신동욱 앵커는 본인의 트위터에 배추 관련 문제로 마음 아파할 농민, 주부, 서민들의 안타까운 심정을 대변하는 마음에서 한 클로징 멘트였으나 대통령을 옹호하는 발언을 한 것 같은 인상을 주게 되어 가슴이 아프다며, 이 일로 뉴스를 진행할 때 더욱 신중해져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고 글을 게시했다.[49]

또한 지난 2017년 5월 2일에 복잡한 사실관계를 명료하게 분리해서 설명하지 못함으로써 발제 의도와는 전혀 다른 결과를 낳았다는 점에서 세월호 유가족, 문 대통령(당시에는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시청자들한테 사과했다. 이는 기사의 게이트 키핑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김성준 앵커가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당시 부산에서 유세하고 있었던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당시에는 대선 후보)는 잘못된 보도였다는 점에서 8시 뉴스를 없애버리겠다는 발언도 했다. 그러나 대선 패배 이후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서 홍 대표는 내가 키웠던 SBS에 이런 과한 말을 했다는 점에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로고[원본 편집]

  • 구형 사용 (1991년 12월 9일 ~ 1994년 10월 23일)

  • 구형 사용 (1992년 3월 28일 ~ 1992년 6월 28일, 주말)

  • 구형 사용 (1994년 10월 24일 ~ 1997년 2월 28일, 평일)

  • 구형 사용 (1994년 10월 29일 ~ 1996년 10월 13일, 주말)

  • 구형 사용 (1996년 10월 19일 ~ 1997년 6월 29일, 주말)

  • 구형 사용 (1997년 3월 3일 ~ 1997년 6월 27일, 평일)

  • 구형 사용 (1997년 6월 30일 ~ 2000년 11월 13일)

  • 구형 사용 (2000년 11월 14일 ~ 2004년 2월 29일)

  • 구형 사용 (2004년 3월 1일 ~ 2008년 7월 27일)

  • 구형 사용 (2008년 7월 28일 ~ 2011년 12월 31일)

  • 구형 사용 (2012년 1월 1일 ~ 2014년 5월 18일)

  • 구형 사용 (2014년 5월 19일 ~ 2020년 9월 20일)

현재 사용 (2020년 9월 21일 ~

시청률[원본 편집]

대한민국에서 첫 코로나 19에서 것은 현재 시간에서 따르면 매일 시청률 현재 100%로 집계한 것이다.

2020년대 초반 이후부터 시청률 두자리 수가 떨어지고, 한자리 수로 급격히 돌아하였다.

방송사 별 메인 뉴스 프로그램[원본 편집]

  • MBC 뉴스데스크
  • KBS 뉴스 9
  • OBS 뉴스O
  • JTBC 뉴스룸
  • MBN 뉴스7
  • 뉴스A
  • TV조선 뉴스 9

그 외 SBS 뉴스 프로그램[원본 편집]

각주[원본 편집]

  1. 동시간대 KBS 1TV와 MBC, SBS 9시 메인 뉴스 프로그램이었다.
  2. 동시간대 KBS 1TV와 MBC, SBS 9시 메인 뉴스를 중계했으나, SBS 9시 뉴스 시청률이 너무 저조하여, 3개월 만에 시간대를 다시 밤 8시로 옮겼다.
  3. 수도권만 적용되며 지역민방은 2부 시간대에 지역뉴스가 편성된다.
  4. //www.asiatoday.co.kr/view.php?key=20201220002025041.
  5. 토요일, 일요일은 편성시간 변동 없음.
  6. 2020년 11월에는 김용태 기자가 진행했다.
  7. 평일의 경우에는 최혜림 아나운서가 휴가 또는 출장 시에는 주시은 아나운서나 다른 여성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며, 토요일의 경우에는 주시은 아나운서가 휴가 또는 출장 시에는 최혜림 아나운서나 다른 여성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한다.
  8. 일요일에는 방송하지 않는다.
  9. 1997년부터 2016년까지 평일과 주말 모두 남성 앵커가 진행했으나, SBS의 2016년 겨울 개편에 따라 2016년 12월 19일부터 2018년 7월 1일까지 평일은 여성 앵커가, 주말은 남성 앵커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SBS의 2018년 여름 개편에 따라 2018년 7월 7일부터 2021년 5월 9일까지 평일과 주말 모두 여성 앵커가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2021년 5월 10일부터는 평일에는 하지 않고 주말에만 한다. 다만, 주시은 아나운서가 휴가 또는 출장 시에는 최혜림 아나운서나 다른 여성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한다.
  10. 서울, 인천, 경기, 충북 지역에서는 본사 클로징을 볼 수 있으나, 그 외 지역은 SBS 홈페이지에 접속해 온에어를 통해 볼 수 있다.
  11. 2016년 12월 18일까지는 ED 이전에 클로징을 했으나, SBS의 2016년 겨울 개편에 따라 2016년 12월 19일부터는 SBS 날씨 이후와 중간 광고 이전 사이에 클로징을 하며, 때때로 ED 이전에 클로징을 하기도 한다.
  12. 한수진 부국장급 선임기자는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이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13. 맹형규 前 기자는 1995년 9월 19일에 뉴스 진행 대신 마지막 인사를 끝으로 퇴장.
  14. 김형민 前 보도제작국장은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이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15. SBS 9시 뉴스 시절 포함.
  16. 김형민 前 보도제작국장은 1년 10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그러나, 위암 초기 판정으로 2000년 8월 7일 방송을 끝으로 하차.
  17. 이영춘 前 수원지국장은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이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18. 김소원 아나운서팀 부장(現. SBS 12 뉴스 앵커)은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이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19. 박선영 前 아나운서는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이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20. 김성준 前 논설위원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3년 8월 5일 ~ 2013년 8월 9일 방송분은 편상욱 국제부장(現. SBS 오 뉴스 앵커)이 대신 진행했다.
  21. 박선영 前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4년 2월 3일 ~ 2014년 2월 25일, 2014년 4월 11일 방송분은 최혜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22.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現. 평일 모닝와이드 1, 2부 앵커)은 주말 SBS 8 뉴스 1차 진행한 지 2년 만에 평일 SBS 8 뉴스 진행.
  23. 김성준 前 논설위원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4년 8월 18일 ~ 2014년 8월 22일 방송분은 편상욱 국제부장(現. SBS 오 뉴스 앵커)이 대신 진행했다.
  24. 신동욱 前 국제부장(現. TV조선 보도본부장, TV조선 뉴스 9 앵커)은 3년 10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25. 신동욱 前 국제부장(現. TV조선 보도본부장, TV조선 뉴스 9 앵커)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5년 7월 27일 ~ 2015년 7월 31일 방송분은 편상욱 국제부장(現. SBS 오 뉴스 앵커)이 대신 진행했고, 2016년 7월 25일 ~ 2016년 7월 29일 방송분은 박현석 사회부 기자(現. 평일 모닝와이드 1, 2부 앵커)가 대신 진행했다.
  26.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現. 평일 모닝와이드 1, 2부 앵커)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5년 8월 17일 ~ 2015년 8월 21일, 2016년 8월 1일 ~ 2016년 8월 5일 방송분은 이혜승 아나운서(現. 평일 모닝와이드 3부 진행자)가 대신 진행했다.
  27. 김성준 前 논설위원은 2년 만에 평일 SBS 8 뉴스 재진행. 최혜림 아나운서는 주말 SBS 8 뉴스 진행한 지 2년 4개월 만에 평일 SBS 8 뉴스 진행.
  28. 김현우 정치부 기자는 주말 SBS 8 뉴스 마지막 진행 이후 평일 SBS 8 뉴스 진행.
  29. 김현우 정치부 기자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7년 12월 4일 ~ 2017년 12월 8일, 2017년 12월 14일 ~ 2017년 12월 15일, 2021년 6월 11일, 2021년 9월 6일 ~ 2021년 9월 10일, 2022년 5월 16일 ~ 2022년 5월 20일 방송분은 김용태 정치부 기자가 대신 진행했고, 2018년 11월 12일 ~ 2018년 11월 16일, 2019년 9월 2일 ~ 2019년 9월 6일, 2019년 12월 16일 ~ 2019년 12월 20일, 2020년 8월 24일 ~ 2020년 8월 28일 방송분은 김범주 사회부 차장이 대신 진행했다.
  30. 최혜림 아나운서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7년 8월 21일 ~ 2017년 8월 25일, 2018년 7월 16일 ~ 2018년 7월 20일 방송분은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現. 평일 모닝와이드 1, 2부 앵커)이 대신 진행했으며, 2019년 7월 29일 ~ 2019년 8월 2일, 2019년 12월 30일 ~ 2019년 12월 31일, 2020년 8월 10일 ~ 2020년 8월 14일 방송분은 김민형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1년 4월 15일, 5월 28일, 6월 7일 ~ 6월 11일, 8월 16일 ~ 8월 20일, 2022년 3월 21일 ~ 3월 22일, 3월 25일 방송분은 주시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3월 28일 ~ 4월 1일, 8월 29일 ~ 9월 2일 방송분은 김다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31. 일요일 진행.
  32. 1993년 1월 1주까지 일요일 진행.
  33. 방송 시간이 30분으로 확대됨에 따라서 남녀 앵커 체제로 전환.
  34. 일요일 진행.
  35. 정성근 前 논설위원은 7년 만에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36. 최혜림 아나운서(現. 평일 SBS 8 뉴스 앵커)는 1년 2개월 만에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37. 광복 70주년 특집으로 인하여, 2015년 8월 15일 방송분은 신동욱 前 국제부장(現. TV조선 보도본부장, TV조선 뉴스 9 앵커)과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現. 평일 모닝와이드 1, 2부 앵커)이 대신 진행했다.
  38. 2017년 신년특집으로 인하여, 2017년 1월 1일 방송분은 김성준 前 논설위원과 최혜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39. 정미선 아나운서팀 차장(現. 평일 모닝와이드 1, 2부 앵커)은 5년 6개월 만에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40. 김범주 경제부 경제정책팀장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19년 4월 27일 ~ 2019년 4월 28일 방송분은 김현우 정치부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41. 김용태 정치부 기자는 2년 4개월 만에 주말 SBS 8 뉴스 재진행.
  42. 2020년 11월 7일부터 2020년 11월 28일까지는 토요일 한정으로 김용태 정치부 기자가 단독으로 진행.
  43. 주시은 아나운서의 개인 사정, 코로나 19 확진 또는 2020 도쿄 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중계 편성으로 인하여, 2021년 7월 24일 ~ 2021년 8월 8일 방송분은 김용태 정치부 기자가 단독으로 진행했으며, 2021년 9월 5일, 12월 26일 방송분은 최혜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고, 2022년 2월 5일 ~ 2022년 2월 20일, 2022년 4월 16일 ~ 2022년 4월 17일 방송분은 김다영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다.
  44. 김용태 정치부 기자의 휴가 또는 출장으로 인하여, 2022년 7월 30일 ~ 2022년 7월 31일 방송분은 김현우 정치부 기자가 대신 진행했다.
  45. 인터뷰 배용준 대역에서 시작된 인생의 새길 조선비즈 2015년 [[4월 7일 .
  46. SBS 파워 스포츠, 스포츠 인사이드, SBS 스포츠뉴스, 나이트라인 스포츠의 경우 시그널만 그대로 변경되지 않았고,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의 경우 별도의 시그널을 사용하고 있으며, SBS 오 뉴스의 경우 2017년 1월 2일부터 2017년 새해 개편으로 기존의 SBS 뉴스퍼레이드에서 현재의 SBS 오 뉴스로 변경되면서 MBC 이브닝뉴스 헤드라인 음악의 변주곡을 사용하고 있다.
  47. '이명박 양배추 김치', 성난 민심에 '혼쭐' 민중의 소리 2010년 9월 30일
  48. 李대통령 양배추김치 두둔 SBS뉴스 클로징 ‘뭇매’ 쿠키뉴스 2010년 10월 1일
  49. MB '양배추 김치' 옹호 신동욱 앵커, 직접 해명 머니투데이 2010년 10월 1일

외부 링크[원본 편집]

SBS TV 평일 프로그램
이전 SBS 8 뉴스 다음
생방송 투데이 생활의 달인 (월)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 (화)
골 때리는 그녀들 (수)
공생의 법칙 (목)
궁금한 이야기 Y (금)
저녁 6시 50분 저녁 7시 50분 밤 9시
SBS TV 주말 프로그램
이전 SBS 8 뉴스 다음
프로그램 재방송 (토)
집사부일체 (일)
당신이 혹하는 사이 (토)
맨 인 블랙박스 (일)
저녁 6시 (토) 밤 8시 밤 8시 35분 (토)
저녁 6시 30분 (일) 밤 8시 45분 (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