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르모 퐁퐁퐁 마지막화 - mileumo pongpongpong majimaghwa

채민서 (미르모 퐁퐁퐁) 한국어 Wiki: Online encyclopedia

미르모 퐁퐁퐁 - Wiki 한국어

⚠️ Disclaimer: Content from Wikipedia 한국어 language website. Text is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License; additional terms may apply.Last modified: November 30 2022 07:47:08
Wikipedia does not encourage the violation of any laws, and cannot be responsible for any violations of such laws, should you link to this domain, or use, reproduce, or republish the information contained herein.

Notices:
  • - A few of these subjects are frequently censored by educational, governmental, corporate, parental and other filtering schemes.
  • - Some articles may contain names, images, artworks or descriptions of events that some cultures restrict access to
  • - Please note: Wiki does not give you opinion about the law, or advice about medical. If you need specific advice (for example, medical, legal, financial or risk management), please seek a professional who is licensed or knowledgeable in that area.
  • - Readers should not judge the importance of topics based on their coverage on Wiki, nor think a topic is important just because it is the subject of a Wiki article.

  • 이 문서는 2022년 6월 28일 (화) 19:53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경우, 내용은 CC BY-SA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tudy in China 2023
  • Wiki News
  • Wiki Travel
  • Wiki Portals
  • Wiki Events
  • Portal Biography
  • Lists of celebrities
  • Lists of 2023 films
  • Wiki Featured Articles
  • Top 1000
  • Archives
  • Wiki Contents
  • Topviews Wiki 한국어
  • 한국어: Wiki How To Do ?
  • Wiki Tips
  • 개인정보처리방침
  • 위키백과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 약관
  • 데스크톱
  • 개발자
  • 통계
  • 쿠키 정책



1. 개요2. 상세3. 기타

1. 개요

미르모 퐁퐁퐁의 주인공 요정. 일본판 명칭은 미루모(ミルモ)이며 성우는 코자쿠라 에츠코/김서영(1~2기), 김율(4기)[1]/웬디 리.

2. 상세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그저 귀엽고 조그마한 요정에 불과하지만 사실은 요정나라 국왕의 장남, 즉 요정나라의 차기 왕위를 이을 황태자다. 마법 악기는 마라카스. 게다가 아르므라는 어엿한 약혼녀(!)까지 있는데, 툭하면 괴력이나 서투른 마법 실력으로 사고를 치거나 괴상한 요리를 만들어주는지라 질색하고 있다(...). 인간계에서도 아르므의 스토킹에 종종 시달리며 라이벌인 야초나 남동생 무르모까지 인간계로 따라오게 된다. 더군다나 자기를 노리는 적들인 블랙망토단까지 쫓아다니며 온갖 훼방을 놓는 등...

연우진에 대한 짝사랑으로 가슴앓이를 하던 채민서앞에 어느 날 갑자기 채민서의 소원에 이끌려 갑툭튀하여 나타났다. 하지만 워낙 성격 자체가 자존심이 세고 제멋대로인데다가 말을 툭툭 내뱉는 까칠한 면까지 있는지라 파트너인 민서를 처음 보자마자 "못난이"[2]는 둥의 막말을 하는가 하면 민서의 우유부단함에 "그런 식이면 절대 사랑은 안 이뤄져!"라고 가슴에 대못을 박는 발언까지 서슴치 않았다.

하지만 미르모의 마법보다는 스스로의 노력으로 사랑을 이뤄내겠다는 민서의 순수한 마음에 감화되었는지 그 뒤로는 민서와 사이좋게 붙어다니고 있으며 시리즈 내내 이런저런 모험을 함께 하며 최고의 파트너로 자리매김한다.

요정계에서는 인간계의 간식 종류가 주식으로 활용되는데, 미르모가 가장 좋아하는 건 초콜릿. 그냥 초콜릿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초콜릿이 들어간 케이크, 아이스크림 등의 여러 간식 앞에서는 사족을 못 쓴다. 원작에서는 민서가 벨기에산 초콜릿을 구해서 미르모를 낚는 장면이 초창기 때 있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냥 일반적인거였고, 원작과 애니 공히 후반부에 가면 구름 모양으로 뭉쳐진 '구름 초코'에 미르모가 푹 빠지면서 허구헌날 민서와 실랑이를 벌인다. (...) 심지어 4기에서는 아예 레시피까지 개발해가며 여러 바리에이션을 만들어 손수 즐긴다. (...)

결국 민서가 우진이랑 완전히 커플이 되자 결과적으로 인간 세상에서의 수행을 끝마치게 되었으나 민서하고 작별을 고하려고 민서를 찾아다니다 끝내 요정나라로 돌아올 시간 제한을 어기는 바람에 요정으로서의 모습과 기억을 잃고 토끼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민서가 간절히 바란 끝에 결국엔 원래대로 돌아왔다.

원작 마지막 12권에서는 아르므와 결혼한다. 그런데 웃긴 점이 끝까지 결혼을 반대했다가, 아르므의 웨딩드레스를 입은 모습을 보고 반해버렸다.단순한 미르모

3. 기타

한국판에서는 SBS와 대원방송(애니원/챔프TV)에서 1기와 골든(2기)을 방영할 때 김서영이 맡았는데, 대표 캐릭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좋은 연기를 선보였다. 그래서 2015년 투니버스가 마지막 시리즈인 챠밍(4기)을 재더빙하면서 김율로 교체했을 때는 많은 이들이 우려를 표했으나 정작 실제 연기를 보면 김서영 버전 못지 않은 명연기에다가 오히려 독특한 어투로 호평을 받았다. 참고로 둘 다 꾸러기 닌자 토리에서 주인공 토리를 맡기도 했다.[3]

같은 작가의 후속작인 베베데빌의 애니판에서는[4] TV에 나오는 까메오로 잠깐 등장한다. 여담으로 투니버스 더빙판에선 해당 장면을 김서영이 맡았다.

트위치 스트리머 풍월량이 이 캐릭터와 닮은 꼴이라고 언급된다.

[1] 김율은 미르모 퐁퐁퐁 작가의 후속작인 베베데빌의 마오를 맡았다.[2] 더빙판에선 당시 유행어인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로 업그레이드 돼버렸다.[3] 이는 김서영 성우가 당시 출산휴가로 인해 김율이 잠시 대타로 맡은 것이다.[4] 투니버스판 기준 6화

분류

  • 미르모 퐁퐁퐁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르모 퐁퐁퐁 아세요??
가히리에서 한채언님한테 진심인 사람이었다면 이때는 성우 김서영님 진심으로 좋아했음
약간 콧구멍인지 눈구멍인지 모를 헤롱이같이 생겼는데 머리카락 다 있는 애들이 귀여운 내용이에요
쥔공이랑 뒤에 금장발 애 제일 좋아했어요 도대체 왜 남캐 두고 싸우는지 노이해였음 pic.twitter.com/TEKuQPia2s

— 로해 (@Doit_or_D) April 5, 2020

마라카스+트라이앵글 : 반사 마법. 상대방의 공격을 2배의 위력으로 반사시키는 힘을 가졌다. 첫 등장은 카에데 일행이 다니는 학교가 합체 크리켓의 공격으로 없어질 위기에 처했을 때 학교를 지키는 데에 공헌했다. 여담이지만 미루모와 야시치가 이 마법을 쓰려다 엉덩이가 아파서(...) 실패한 적도 있다.

  • 탬버린+작은북 : 순간이동 마법. 특정 사물이나 사람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가졌다. 이 마법으로 마츠타케와 모모가 절벽에서 추락할 때 안전한 곳으로 이동되었다. 그러나 자칫 잘못하면 엉뚱한 곳으로 이동할 수도 있는 듯.

  • 마라카스+작은북 : 변화 마법. 주변에 있는 사물을 어떤 것이든 요정으로 변화시키는 마법이다. 마루모가 칠리소스를 먹고 병에 걸려 기억을 잃었을 때 이 마법으로 근처에 있던 연필을 요정으로 변화시켜 사리아와의 첫만남을 떠올리게 해 자연스레 기억을 되찾게 해준다.

  • 탬버린+트라이앵글 : 합체 마법. 문자 그대로 주변에 있는 사물과 요정을 하나로 합친다. 미루모가 이 마법으로 사슴벌레랑 합체되었을 때 말투까지 합체되었다.(...) 와루모단한테 썼을 때는 사오리네 집의 벽과 합체되었다.

  • 작은북+트라이앵글 : 입체화 마법. 이 마법에 걸리면 몸이 입체영상처럼 투명해지고 벽도 통과할 수도 있다. 이 덕분에 펭귄들이 사는 방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다. 여담이지만 펭귄들은 이걸 보고 지레 겁먹었다.(...) 게다가 등장도 이게 전부.

  • 마라카스+탬버린 : 복구 마법. 주변 사물들을 예전 상태 그대로 되돌리는 마법이다. 이 마법으로 아즈미의 동생과 그 친구들이 세운 비밀기지가 돌아왔다. 그리고 이 때를 계기로 미즈키가 불가사의한 일의 진상을 알게 되는 데에 더 빠져들게 된다.(...)리루무가 미루모와 함께하는 세션마법이 생겨났다며 기뻐하는 건 덤 여담으로 후속작인 미루모데퐁 원더풀에서 미루모 일행의 세션마법 중에서 유일하게 등장하였고 사오리의 플루트를 고쳐주었다.

    • 3명의 세션마법 : 3명이서 사용하면 나머지 한 명의 요정의 힘이 일시적으로 강화되는 패턴이다. 그 힘을 받은 요정은 황금빛으로 빛나게 된다. 다크와의 첫 대결에서 발동되고 미루모의 힘이 강화되어 다크의 육체를 봉인하는 데에 공헌한다.

    • 4명의 세션마법 : 4명의 요정 모두가 사용하는 마법. 다크와의 결전에서 발동되었다. 참고로 미루모 일행의 악기를 고쳐준 토푸루조차도 4명이서 쓸 수 있는 세션마법은 설정해 놓지 않았다고 독백한다. 설정상으로는 세상에 기적을 일으키는 힘을 지닌 마법인 듯. 이 마법의 힘이 사오리의 플루트에 부가되어 황금색 플루트로 변화시키고 사오리가 그것으로 연주를 하자 카에데 일행을 포함한 인간들의 선한 마음의 힘을 끌어내어 다크를 쓰러뜨리고 인간계와 요정계의 멸망을 막아냈다.

    6. 미디어 믹스[편집]

    6.1. 애니메이션[편집]

    미르모 퐁퐁퐁 (2002~2005)
    わがまま☆フェアリー ミルモでポン!

    작품 정보 ▼

    원작

    시노즈카 히로무(篠塚ひろむ)

    감독

    카사이 켄이치 (1~2기)
    후쿠시마 토시키(福島利規) (3~4기)

    시리즈 구성

    츠치야 미치히로(土屋理敬)

    캐릭터 디자인

    온지 마사유키(音地正行) (1~3기)
    코누마 카츠스케(小沼克介)

    이펙트 원안

    미야카와 요시카즈(みやかわよしかず)

    미술 감독

    마츠다이라 사토시(松平聡)

    색채 감독

    카키우치 마사미(垣内雅美), 쿠마가야 시즈카(熊谷静香) (1~2기)
    나가노 마사미(長野雅美) (3기)
    사카이 나루미(境成美) (4기)

    촬영 감독

    와타나베 노부유키(渡辺宣之) (1기 1~28화)
    미야카와 요시카즈 (1기 29화~2기)
    미츠나 유스케(三品雄介) (3~4기)

    음악

    히토요시 노비타(ヒトヨシノビタ) (1~2기)
    네기시 타카유키(根岸貴幸) (3~4기)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히바리

    제작

    TV 도쿄
    쇼가쿠칸 프로덕션

    방영 기간

    2002. 04. 06. ~ 2005. 09. 27.

    방송국

    TV 도쿄 / (토) 08:30 → (화) 19:30

    SBS, 대원방송, 투니버스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72화

    국내 심의 등급

    모든 연령 시청가

    링크


    わがまま☆フェアリー ミルモでポン!(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 퐁!)이라는 제목으로 TV 애니메이션화되었는데, 연재처인 <챠오> 창간 25주년을 기념하면서 기획된 것이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스튜디오 히바리가 했다. 제작협력에 대원C&A홀딩스가 참여했다. 2002년 4월 6일부터 2005년 9월 27일까지 TV 도쿄계 채널에서 방영되었으며, 총 4기 172화[11] 구성의 장기 방영작.

    무려 원작 연재 3개월만에 에니메이션화 된 이례적인 케이스로, 그 때문에 원작과 애니메이션은 스토리가 판이하게 다르다.

    3기부터는 코나미가 스폰서로 참여해서인지, 오프닝곡은 파킷츠, 엔딩곡은 Sana라는 심히 팝픈뮤직스러운 조합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 작품을 바탕으로 한 TV 애니메이션 코믹스는 총 5권으로 완결됐다.

    6.1.1. 시리즈 일람[편집]

    시리즈 제목

    화수

    방영연도
    (국내 방영 연도)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 퐁!
    (미르모 퐁퐁퐁!)

    78화

    2002년
    (2005년)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 퐁! 골든
    (미르모 퐁퐁퐁 2[12])

    24화

    2003년
    (2006년)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 퐁! 원더풀[13]

    48화

    2004년

    제멋대로☆요정 미루모데 퐁! 챠밍
    (제멋대로 요정 미르모 퐁퐁퐁!)

    22화

    2005년
    (2015년)


    방영 당시부터 VAP 사가 VHS 비디오테이프 및 DVD로 묶어서 내왔으며, 반다이 채널과 U-NEXT, 비디오마켓 등지 유료 동영상 사이트에서 다시보기 서비스를 하고 있다. 2019년 <챠오> 유튜브 공식채널에서 일부 회차들을 공개했다.

    6.1.2. 한국 방영[편집]

    6.1.2.1. 1~2기[편집]

    한국에서는 애니메이션 제작협력에 참가한 대원C&A홀딩스가 판권을 따내 SBS 및 9개 지역민방[14]에서 용의 전설 레전더 후속으로 2005년 7월 25일부터 2006년 1월 24일까지 방영되었다. 2005년 7월 25일부터 11월 29일까지는 오후 5시에 방송했으나, 같은 해 12월 5일부터 오후 4시 25분으로 시간대를 앞당겨 방송하다가[15], 2006년 1월 24일에 중도 종영되었다. 번역은 안미영, 녹음연출은 권영숙 PD가 담당했다.

    성우진은 권영숙 PD의 빼어난 역량이 담긴 데다 만화왕국 SBS답게 적절하나, 중복 캐스팅이 심하다는게 단점. 주제가는 할리우드 매너가 번안한 곡으로, 오프닝과 엔딩 모두 이정은이 불렀는데 퀄리티가 잘 뽑혀서 팬들에게 잘 만들었다며 호의적인 평을 들었다. 일부 에피소드는 왜색이 짙어 방영되지 않았으며[16], 이 SBS 1기 방영분은 후에 대원방송 계열 채널에서 재방영되었다.

    이후 2006년 7월 17일부터 대원방송 계열 채널에서 1기의 53~78화와 2기(골든)를 합쳐 "미르모 퐁퐁퐁 2"라는 제목으로 방영하기 시작. 번역은 서희정, 연출은 김정령. 주제가는 일본판 2기(골든) 주제가를 사용하지 않고, SBS에서 번안한 1기 오프닝, 엔딩을 그대로 가져와 사용했지만 화면은 일부 교체를 했는데, 오프닝은 기존 1기 오프닝 화면에 일본판 1기 3번째 오프닝의 몇몇 장면을 끼워넣었고[17], 엔딩은 일본판 1기 5번째 엔딩 화면에 1번째 엔딩곡을 입혀 방영하였다. 또한 SBS 특유의 자막 폰트를 대원방송 특유의 폰트 스타일로 변경과 동시에, 지상파의 광고 사정으로 인해 스탭롤 자막이 끝나기 무섭게 끝났던 엔딩은 SBS와 달리 만화채널이라는 이점을 이용해 엔딩은 끝까지 내보내는 모습을 보여줬다.

    건강상 이유로 참여하지 못한 야초 역의 박은숙[18]을 대신해 조현정 성우가 캐스팅된 것과 1기에서 조·단역으로 출연했던 최한 성우가 하차한 것을 제외하면 기존 SBS에서 캐스팅했던 성우진들이 모두 유지되었으며, 그 외에 노계현, 서지연, 유지원, 장경희, 홍희숙이 추가로 캐스팅되면서 중복이 좀 줄어든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2기 종영 후 그대로 소식이 뚝 끊겨 후속 시리즈 방영은 한참동안 없었다.

    방영 당시 대원씨아이가 '대원키즈' 브랜드로 애니북을 총 5권이나 냈으며, 번역은 원작을 맡던 장혜영이 꿰찼다.

    6.1.2.2. 4기[편집]


    #

    그러다 한참이 지나 투니버스에서 2015년 1월 신작으로 방영되었다. 연출은 김진아. 번역은 권이강. 인물들의 이름 현지화는 변경없이 그대로 갔으나 성우진이 모두 변경되었는데, 채민서에 방연지[19], 미르모에 김율, 연우진에 김명준 등 모두 자사 성우들로 교체되었다.[20] 4기(챠밍)부터 등장하는 신 캐릭터인 고지용(스미타 코이치)의 경우 외부 성우인 장민혁으로 낙점. 이외에도 이봄은 대원방송에서 방영한 2기에 출연했던 유지원[21]이 맡았으며, 마루모 역[22]에는 원로 성우인 황원이 캐스팅되었다.[23]

    이 소식이 공개되었을 때 커뮤니티에서는 투니버스가 전편을 한큐에 질러버린 것으로 추측했으나...

    투니버스 공식 SNS에서 예고편이 공개되면서 마지막 시리즈인 4기(챠밍)만을 방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이는 후속 시리즈를 방영하는 것이므로 재더빙이라고 하기엔 뭔가 애매해져버렸다.

    주제곡은 일본판 4기(챠밍) 오프닝과 엔딩을 그대로 번안했다. 오프닝 엔딩

    2015년 1월 7일 첫 방영 후 교체된 주역 성우진들의 연기가 생각보다 잘 뽑혔고 요정들도 귀엽다고 호평이 자자하다. 그러나 첫 시리즈부터 재더빙한 것이 아닌 후속편 만을 방영하면서도 기존 성우진을 유지하지 않고 투니버스 성우들 위주로 다 갈아엎었다는 점이 성우 갤러리에서 상당한 논란이 되었었다. 4기를 처음 접하면서도 재밌게 본 사람들이 매우 많은 편이지만 등장인물간의 관계라든가 요정들과 만나게 된 계기 등을 모르는 신규 시청자들의 경우에는 내용 이해가 안된다는 반응도 있어서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그래도 꾸준히 성우 갤러리에 본방 시간에 맞춰 불판이 세워지고 매우 열띤 반응을 보이는 걸 보면 이래저래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풍문에 의하면 시청률도 잘 나온다고 한다. PD와 성우들도 즐겁게 작업한다고.

    챠밍(4기) 164화는 여름 축제가 배경으로 나온 에피소드인데, 기모노 등의 일본 문화가 짙게 나와 미방영되었으며 이 때문에 일본판과 한국판의 화수 차이가 있다. (투니판 13화 = 일본판 163화, 투니판 14화 = 일본판 165화)

    허나 이제는 미르모 더빙에 대한 좋은 언급은 거의 없고, 그저 '성우팬들의 투니버스와 대원방송의 반응 차이에 대한 이중성'에 대해 비판할 때 예시로 쓰이는 수단이 되어버렸다(...). 미르모 퐁퐁퐁에 대한 한 커뮤니티의 반응에 대한 비판

    7. 캐릭터 사업[편집]


    한국 판권사업은 대원C&A홀딩스가 맡았으며, 최초 수입 시기인 2005년에는 미르모 퐁퐁퐁 장난감을 KFC에서 사은품으로 증정하기도 했다.


    제품 콜라보는 CJ(주)가 쁘띠첼에서 최초로 시도했고, 2006년에는 천재교육 우등생 해법 시리즈 1, 2학년 2학기 교재에도 콜라보되기도 했다.[24]

    8. 기타[편집]

    • 미르모가 외치는 '미루모데 퐁'은 "미루모로 퐁!", "미루모에서 퐁!" 정도로 해석되며, 국내 방영시에는 미르모 얏 퐁!으로 번안되었다.

    • 코나미에서 게임보이 어드밴스용 게임 6개, PS1용 게임 하나를 발매하였다.

    9. 외부 링크[편집]

    • 네이버 카페 '미르모 공식카페': 2005년 개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윤단비(미르모 퐁퐁퐁)

    윤단비(미르모 퐁퐁퐁)

    문서의 r6 판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윤단비(미르모 퐁퐁퐁)

    윤단비(미르모 퐁퐁퐁)

    문서의 r6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

    , 번 문단

    (이전 역사)

    [1] 1979년 3월 27일 후쿠오카현 출생. 고교 졸업 후 1999년 쇼가쿠칸 <챠오 DX> 여름호를 통해 '탁구소녀'로 데뷔했다. 그의 또 다른 작품으로는 <베베데빌>과 <사랑은 ON AIR!>, <사랑하는 푸딩!> 등이 있다.(공식 트위터)[2] 한국만화박물관 만화도서관에서도 2021년 경 이후 보존서고로 들어가 열람이 안 되며,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는 11권까지만 소장돼 있다.[3] 주연 데뷔작이다.[4] 투니버스 단독 방영.[5] 챠밍 성우진 중 유일하게 2기 녹음에 참여했던 성우.[6] 당시엔 본명인 '이명선'으로 활동.[7] 미루모의 머그컵은 코코아, 리루무의 머그컵은 흰 우유, 야시치의 머그컵은 보리차, 무루모의 머그컵은 토마토 주스, 아쿠미의 머그컵은 오렌지 주스, 야마네의 머그컵은 녹차, 파피의 머그컵은 딸기우유를 부으면 된다. 단, 판타의 머그컵은 좀 어이없는 게 판타가 파트너 계약을 맺기 위해서는 머그컵에 살아있는 문어(...)를 넣어야 했다.오죽하면 하루타가 당황했을 정도[8] 카에데는 유우키랑 이어지는 소원, 유우키는 소설가가 되고 싶다는 소원, 아즈미는 카에데가 유우키 곁에서 떨어지길 바라는(...) 소원, 마츠타케는 카에데가 자길 좋아하게 해달라는 소원, 사오리는 아마 음악가가 되고 싶다는 소원인 걸로 추정되고, 모모는 마츠타케랑 잘되길 바라는 소원, 스미타는 카에데랑 이어지는 소원, 하루카는 만화가가 되고 싶다고 빌었다.[9] 예외로 사오리는 처음에 요정 파트너 없이도 요정을 볼 수 있었는데 다크한테 조종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걸로 밝혀졌다.[10] 미루모는 초콜릿, 리루무는 슈크림, 야시치는 카링토, 무루모는 마시멜로, 사스케는 양갱, 한조는 화과자, 아쿠미는 캐러멜[11] 1기는 부제가 없고, 2기는 '골든', 3기는 '원더풀', 4기는 '차밍'이라는 부제가 붙는다. 화수는 1기 78화, 2기 24화, 3기 48화, 4기 22화.[12] 1기 53화~78화와 병합되어 방영되었다.[13] 국내에 방영되지 않은 시리즈이다.[14] PSB(현 KNN), TBC, KBC, TJB, UBC, CJB, JTV, GTB(현 G1), JIBS.[15] 2005년 12월 5일부터 오후 5시에는 "빛의 전사 프리큐어"(매주 월요일 방영)와 "두근두근 비밀친구"(매주 화요일 방영)가 방송되었다.[16] 19화는 일본 전통의 마츠리 혹은 불꽃놀이를 현지화하는 데에 걸림돌이 된 것으로 추정되고, 34화는 대놓고 일본 설화 중 하나인 모모타로가 쓰여서 짤린 것으로 보인다.[17] 도입부의 뭔지 모르는 것들이 충돌하는 장면, 플룻을 뒷배경으로 하여 강예지가 나오는 장면, 블랙망토단과 앙크미가 등장하며 앙크미가 다크를 보고 헬렐레하는 장면, 요정들이 행진하는 걸 채민서가 바라보는 장면, 4명의 요정과 인간 파트너들이 파이팅 넘치는 포즈를 취하는 장면.[18] 참고로 박은숙 성우는 개국 이래로 현재까지 대원방송 출연이 없다.[19] 사실 원래 맡던 성우인 박영희가 최근 들어 성우 활동을 하고 있지 않기에 교체는 불가피했다.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때도 루팡 3세의 다른 등장인물들은 모두 성우가 그대로 유지됐는데 산드라만 김현심으로 변경된 사례가 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