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가스 요금 - LPG gaseu yogeum

도시가스 정보

참다운 빛을 전하는 민족기업, 참빛영동도시가스

  • home
  • 도시가스정보
    • 회사소개
    • 도시가스 정보
    • 안전관리
    • 요금관리
    • 민원서비스
    • 고객서비스
    • 마이페이지
  • 에너지 가격비교
    • 신규사용절차
    • 공급경로
    • 에너지 가격비교
    • 시설분담금안내

에너지 가격비교

가정용

2022년 11월 1일 열량기준, 부가세 포함 에너지 가격비교(가정용)에 관한 표입니다.구분LNG(열량제 적용)LPG 집단공급LPG등유전력
원재료비(A)/공급비용(B) 866.87원/㎥ 198.61원/㎥ 3,003.45원/㎥ 2,209.00원/㎏ 1,585.60원/ℓ 92.51원/㎾
소비자요금(A+B)(C) 1,065.47원/㎥
열량(D) 10,144㎉/㎥ 24,000㎉/㎥ 12,000㎉/㎏ 8,790㎉/ℓ 860㎉/㎾
열효율(E) 90% 90% 90% 80% 100%
유효열량 천㎉당 / 단가(C/D/E) 116.70원/천㎉ 139.04원/천㎉ 204.53원/천㎉ 225.48원/천㎉ 107.56원/천㎉
LNG 대비 비교기준 △19.0% △75.0% △93% ▽8.0%
비고 소비자가 아파트공급가 판매소 판매가 강릉주유소평균가 기타계절

영업용, 업무용, 수송용, 연료전지

2022년 11월 1일 열량기준, 부가세 포함 에너지 가격비교(영업용, 업무용, 수송용, 연료전지)에 관한 표입니다.구분영업용업무용수송용연료전지
원재료비 789.67 1,591.60 1,478.81 1,417.08
공급비용 197.21 190.65 33.00 33.00
소비자요금 986.88 1,782.25 1,511.81 1,450.08

산업용

2022년 11월 1일 열량기준, 부가세 포함 에너지 가격비교(산업용)에 관한 표입니다.구분20만이하30만이하40만이하50만이하60만이상
원재료비 1,484.56 1,484.56
1,484.56
1,484.56
1,484.56
공급비용 174.76 174.76 174.76 174.76 174.76
소비자요금 1,659.32 1,659.32
1,659.32
1,659.32
1,659.32

열병합

2022년 11월 1일 열량기준, 부가세 포함 에너지 가격비교(열병합)에 관한 표입니다.구분동절기(12~3월)하절기(6~9월)기타월(4,5,10,11월)
원재료비


공급비용


소비자요금

서울의 한 주택가 가스계량기. /연합뉴스

정부가 겨울철 난방용 가스에 붙는 관세를 한시적으로 0%까지 내린다.

고등어와 바나나, 명태 등 서민 밥상에 올라가는 식품도 한시적으로 관세를 없애거나 낮춰 물가 부담을 줄인다.

정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할당관세 확대 시행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난방용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에 대해 내년 3월 말까지 할당관세 0%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가구당 월 1천400원 수준의 도시가스 요금 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겨울철 소비가 많은 고등어도 연말까지 무관세로 들여올 수 있게 된다.

바나나·망고·파인애플 등 열대과일류도 연말까지 관세율을 현재 30%에서 0%까지 낮춘다.

명태의 경우 내년 2월까지 조정관세를 한시 폐지해 관세율을 22%에서 10%로 인하한다.

남해읍 지역 LPG 배관망 공급 공사가 완료된 후 지난 12월 7일부터 가스 공급이 본격화된 가운데, 가스요금이 많이 나왔다는 민원이 제기되면서 남해군이 ‘LPG 배관망 가스요금’과 관련한 안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남해군은 지난해 11월 ㈜보물섬에너지와 LPG배관망 공급 및 관리 운영 계약을 체결한 후 12월 7일부터 각 가정에 가스 공급을 하고 있다.

가스요금은 매월 1일부터 31일(또는 30일)까지 기준으로 책정돼 고지서가 발송된다.
다만 이번달(2월)은 각 가정마다 가스 공급 시기가 달랐던 관계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 31일까지 가스사용량을 기준으로 가스요금이 부과됐다. 이에 일부 가정에서는 요금이 과다하다고 오인할 수 있다.

고지서의 기본요금에는 5년 뒤 가스계량기 교체에 필요한 비용을 매월 각각 1100원(주택용), 1650원(상업용)씩 부과하고 있다. 
이와 함께 남해군은 정유사 공장 출하가격에 따라 매월 가스 요금이 변동될 수 있다는 점도 안내했다. 
2월 고지분은 1768원/㎥, 3월 고지분은 1949원/㎥ 이다. 연중 3~4월 고지분의 공장도 출하가격이 최고로 비싸고 나머지 달은 비교적 저렴하다.

김영근 친환경에너지 팀장은 “예전 기름보일러 사용 시에는 한번에 기름을 넣고 난 후 몇 달을 잊고 지냈다면 이번 LPG 가스요금은 딱 한 달 분 요금이 아니다 보니 더 많게 느껴질 수 있다. LNG(도시가스)에 비해서 LPG요금이 비싼 건 사실이지만, 발열량을 따지면 LPG의 가성비가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도시가스(LNG)는 천연가스를 정제하여 얻은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여 총 발열량이 10,290kcal/N㎥ 이다. 액화석유가스(LPG)는 석유의 생산이나 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석유 가스 중에서 프로판ㆍ부탄 등을 희석해 압력을 가하고 액화시킨 가스를 말하는데, 가정에는 프로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총 발열량은 24,700kcal/㎥ 이다. 따라서 LPG가 총 발열량이 높은 대신 LNG에 비해 가스요금은 비싸다.
총 발열량으로 환산한 가스요금은 LPG와 LNG(도시가스)가 비슷한 수준이다. 참고로 실내등유의 총발열량은 8,770/ℓ이다. 

난방비를 절약하려면 보일러 끄기보다 실내온도 설정이 중요
겨울철 실내온도 설정을 19℃~22℃ 정도에 맞춰 사용하고, 외출할 때도 보일러를 끄지 말고 외출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일러 전원을 껐다가 켜게 되면 재가동할 때 평상시보다 훨씬 더 많은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온도조절기 주변에 외풍이 심하다면 바닥온돌 모드로, 외부온도 영향이 적은 장소라면 실내온도 모드로 전환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김영근 팀장은 “여러 주택 및 사용 환경을 동일하게 만든 다음 온도 조절기를 다양하게 설정해 놓고 실험해 보았지만 예상과 다른 결과로 인해 난방비 절약방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다”며 “실내온도, 바닥온돌, 예약 등 여러 가지 기능들을 사용해 보면서 매일 가스계량기의 사용량을 확인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고 밝혔다.

아울러 김 팀장은 “혹시나 가스요금이 지나치게 많이 나온다 싶거나 이상하다 싶다면 언제라도 연락주시면 저희가 직접 현장에 나가 보겠다”며 “가스요금 관련해 언제라도 지역활성과(☎055-860-3217)로 문의하면 친절하게 안내하고 가정 상황에 맞는 난방 효율을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저렴하고 안전한 연료를 공급하게 된 LPG 배관망 구축사업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겠다”고 당부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