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염 완치 사례 - jogjeogeunmag-yeom wanchi salye

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은 발뒤꿈치 바닥에서 생기는 통증의 가장 흔한 질환이며, 족저근막이 발뒤꿈치뼈, 즉 종골에 부착되는 부위에 미세손상이 반복되어 생기는 과사용 증후군의 일종이다.
발은 바닥으로부터 신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부드럽게 되어야 하고, 신체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단단해져야 한다(양용준. 족저근막염. 가정의학회지 제23권 제11호 별책 2002).
하지만 달리기, 걷기, 등산 등 발바닥에 무리가 가는 경우 족저근막이 손상되어 족저근막염이 생기기도 하며, 나이가 들어 족저근막에 퇴행성 변화가 생기고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져도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위험이 올라간다. 특히 갱년기 여성은 발바닥의 지방층이 얇아져 족저근막염이 생기기 쉬운 환경이 된다.

족저근막의 염증은 實熱보다는 虛熱에 가까워
족저근막염의 치료는 국소적인 염증을 가라앉히는 방법이 우선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침이나 봉약침 등으로도 차도가 없거나 좋아지더라도 마무리가 잘 안되는 경우, 약물치료를 병행해볼 수 있을 것이다.
족저근막에 생긴 염증은 급성적인 조직손상이라기 보다는 과사용으로 인해서 생기는 염증이기에 한의학적으로도 실열보다는 허열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혈허나 음허로 변증되는 족저근막염 환자에게 국소적인 치료로도 차도가 없거나 경과가 더딜 경우 자음강화탕 보험한약을 병행해볼 수 있겠다.

첫 번째 케이스
올해 2월에 20대 초반 여자환자가 자전거를 타다가 오른쪽 발목과 발뒤꿈치가 아파서 내원하였다. 발목의 통증은 족관절 염좌로 진단을 내렸고, 발뒤꿈치 통증은 페달을 밟으면서 족저근막이 과신장(over-stretched)되면서 생긴 족저근막염으로 진단하고, 구허혈을 중심으로 족외과 주위 혈자리와 함께 방광경근을 이완시켜줄 목적으로 양측 상양 지음 위중 족삼리 등을 선택하여 침 치료를 시행하였다.
3주 동안 8차례 정도 치료를 하는데 발목은 대부분 호전되었지만, 발뒤꿈치 통증은 큰 차도가 없다는 것이다. 이 환자는 더위를 많이 타는 편이었고, 얼굴은 약간 상기되어 붉은 편이었고, 여드름이 군데군데 있었으며, 상체는 약간 통통한 반면 하체는 가는 편이었다.
맥도 가늘고 빠른 편이어서 陰虛한 체질로 판단하였으며, 음허로 인한 虛熱로 진단을 내리고 자음강화탕 보험한약을 3일분 처방하였다. 그 후로 발뒤꿈치 통증이 가벼워지기 시작하였으며 3일분 더 처방을 한 연후에 치료를 종결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케이스
올해 5월에는 30대 중반의 여자환자가 족저근막염으로 내원하였는데, 작년 9월부터 양측 발뒤꿈치가 아팠으며, 특히 보행 후에 심해져서 정형외과에서 치료 중 큰 차도가 없어 본원에 내원하였다.
약간 통통한 환자였으며, 손발이 차고 추위도 많이 타고, 변비가 조금 있고,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血虛證에 가깝다고 생각되었지만, 만성적인 통증은 虛熱이라 생각이 되어 자음강화탕 보험한약과 함께 부류 태계 등 신장경락을 위주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한 달 동안 총 6차례 정도 치료하였는데, 통증은 처음 내원당시보다 30% 정도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걷는데 크게 불편하지 않다고 하였다.


* 글을 쓰는데 도움을 준 경희원한의원 류한진 원장에게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필자 주)

이준우 / 경기 탑마을경희한의원 원장

저작권자 © 민족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Ȱ�� �α��� �����Կ� ���� �������ٸ����� ȯ�ڵ� �ظ��� ���� �߼���. �ǰ�����ɻ��򰡿� �ڷῡ ������ ȯ�� ���� 2012�� 13��8000�������� 2020�� 25���������� �� ������ �þ���.

�����ٸ����� �� �ڲ�ġ�� �ٴڿ� �ݺ��� �ջ��� �׿� ������ ������ ����� ��ȯ�̴�. ������ ��̳� ü�� ����, ������ �� ������ �Ź� ������ �������� ����ȴ�. �๰�̳� ������ ����, ���� ġ��, ü�������, ���� ���� ġ����� ������ ȿ���� �Ͻ����̸� 30~50%�� �������� ����ȴ�.

�ֱ� �̷� ���� �����ٸ��� ġ�ῡ ���̼����ƻ�����(TAME)���̶�� ���������� ����� �ָ�ް� �ִ�. �Ϲ������� �����ٸ��� ������ ����� ����а� ��Ҹ� �����ϴ� �Ż������� �Ű��� �����ȴ�. �Ż������� ������ Ű��� ���޷��� ���̴�.

�̼����ƻ������� ��Ÿ������ ���𵿸��� ���� ���� 1�������� �����ٶ� ���� ������ �ִ� ���� �������� ���ٽ�Ų �� ���������̶�� ��ü���� ������ ����־� ���� ���� �Ż������� ���������ν� ����а� ���, �������� ������ �����ϴ� ������. ��� ������ �������а� �����ǰ� �����Ѵ�. ����ġ�÷����������� �̻�ȯ �����Ǵ� 28�� ������ �๰�̳� ���� ġ��� ������ ��������� ������ ���� �ð��� ������ ����ϱ� �ʻ��̶�� ���ݸ� �̼����ƻ������� �ü� �� �ٷ� 50% ���� ������ �پ��� 6���� ������ ������ ���� ������� ��� ���ɼ��� ���١��� �����ߴ�. �ü��� ���Ҹ��� �Ͽ� 1�ð� ���� �̷����� ���� ����� �����ϴ�. �ٸ� �ּ� 3���� �̻� ����� ���� ������ ���� ȯ�ڰ� ġ�� ����̴�.

�� �������� �ֱ� ���� �����౸ ���� 2���� �� ������� �������� �����ٸ��� ġ�ῡ �����߰� 2~3���� ���� ��� Ǯ Ÿ���� ��ȭ�� ������ ������ ��ʰ� �˷����鼭 ��� ġ�ᰡ ���� �հ� �ִ�.

2010��� �Ϻ����� ���ߵ� �̼����ƻ������� �̻�ȯ �����ǰ� 2016�� ���� ó�� ���� ������ ���� ġ�ῡ �����߰� �Ϻ� ���к��������� ����ǰ� �ִ�. �� �����Ǵ� ������ �Ȳ�ġ �����(�ϸ� ���� ����) ġ�� ���������� ���� �м����� ��ǥ�ѵ� �̾� �ֱ� ��ų�����ǿ� ȯ�ڿ� ������ ��������� �Ϲ� ���ͺ��ǿ�������ȸ��(JVIR)�� ������ ���� �ɻ簡 �������̴�. �� �����Ǵ� ��29���� ��ų�����ǿ� ȯ�ڸ� �̼����ƻ������� ġ���� ��� 86% ȯ�ڿ��� 6���� ���ı��� ������� �ʰ� ȿ���� �����Ǵ� �ɷ� ��Ÿ���١��� ���ߴ�.

���¿� ������������

아침이면 쑤시는 발바닥! 족저근막염 조기에 치료해야..!

윤병기 기자 | 입력 : 2021/06/04 [10:23]

【후생신보】 아침에 일어나서는 발을 딛기조차 힘들다며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발바닥의 옴폭 들어간 부분과 발 뒤꿈치 부분 사이가 발을 디딜 때마다 마치 부은 듯이 아프고 주로 아침에 일어나 첫발을 디딜 때 통증이 심하고, 활동을 하는 오후에는 통증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무릎이나 고관절, 허리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평소 운동을 전혀 하지 않던 사람이 갑자기 운동을 많이 한 경우나 또는 최근 비만으로 발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사람 혹은 발바닥 아치가 심한 사람, 발에 맞지 않는 구두, 장거리 달리기 배구 계단 오르기 에어로빅 등 발을 딛는 바닥이 딱딱한 장소에서 점프하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져 외상을 입은 사람들에게 잘 온다.

인대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면서 인대에 염증이 나타나는 족저근막염이 주원인이다. 주로 활동하면 통증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아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지만 한번 발병하면 오래가고 재발도 잦아 초기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에스엘서울병원 남지훈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자가진단으로 엄지발가락을 뒤로 젖혔을 때 통증이 있다면 의심해 볼 수 있고, 초음파를 통해 족저근막이 두꺼워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며 "진단 후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와 같은 기본적인 치료로 시작하지만 상당수는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고 만성화되면 오랜 시간 통증으로 고통받을 수 있는만큼 자가진단 후 의심되면 초기에 병원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그 원인이 드물게는 골의 변형 등에 의한 경우도 있어 초기에 전문의의 의견을 구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족저근막염은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보존적 치료나 비수술적 방법을 이용해 대개 약 6주에서 8주 사이 증상이 호전된다. 조기 증세일때 1~2주간 안정을 취하고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면 쉽게 완치된다. 그러나 치료시기를 놓쳐 통증이 계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비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해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족저근막염 유리술’을 받는 것이 좋다.

이어 남원장은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려면 종아리 근육이 뭉치지 않도록 자주 마사지하고, 스트레칭해줘야 한다” “신발 사이즈를 본인의 발에 맞는 것으로 신는 게 중요하다”며 “발볼이 넉넉하고 발바닥 부분이 적당히 쿠션감이 있는 신발을 신어야 하고 바닥이 딱딱한 신발, 체중이 앞쪽으로 쏠리는 하이힐과 같은 굽 높은 신발, 무거운 부츠는 피하는 것이 좋다.” “오랜 시간 걷거나 서있었다면 캔이나 페트병 폼롤러 등을 발바닥 안쪽으로 굴리며 뒷꿈치 주변을 마사지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며 덧붙였다.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