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압 저기압 온도 - gogiab jeogiab ondo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신문, 인터넷을 통하여 기상예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예보의 핵심!! 고기압과 저기압은 무엇일까?
“오늘은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체로 맑겠습니다.”라든지 “저기압의 영향으로 흐리고 비가 오겠습니다.”라고 하는데, 무조건 고기압이면 날씨가 좋고, 저기압이면 날씨가 나쁜 것인가? 고기압이나 저기압의 성질을 알고 있다면 날씨변화에 따른 대처를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청 예보관들은 관측자료를 토대로 슈퍼컴퓨터로 작성된 일기도를 보고 고기압이나 저기압이 어디에서 발생되어 어디로 가는지를 세밀히 분석하여 기상예보를 발표한다.

과거 슈퍼컴퓨터가 없던 시절에는 일일이 일기도에 관측된 자료를 기입한 후 분석자는 고기압이나 저기압, 전선과 태풍 등을 분석하여 기상예보를 발표하였다. 한 장의 일기도를 완성하려면 최소한 4시간은 걸렸을 것이다.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필자도 고생을 많이 했다. 현재는 그것을 슈퍼컴퓨터가 대신하고 있으며, 그만큼 예보 생산시간도 크게 단축되었다.

고기압은 과연 어떤 것일까? 고기압은 말 그대로 기압이 높다는 뜻인데 몇 헥토파스칼(hPa, 과거에는 mb를 사용 함)이 고기압일까? 어떤 분은 표준대기압이 1013.25hPa이기 때문에 그 보다 높으면 무조건 고기압이 아니냐고 한다. 이것은 “땡~”이다. 고기압의 고高는 높다는 뜻인데, 예를 들어보면 주위에 1020, 1021, 1022hPa이 있다면 1022hPa이 고기압인 것이다. 그러니까 주위보다 기압이 조금만 높아도 그것이 고기압이다. 고층일기도에서 산처럼 능으로 된 곳은 고기압, 골짜기는 저기압에 해당된다. 그렇다면 고기압은 전부 날씨가 좋을까? 그렇지 않다. 물론 중심부근에서의 날씨는 좋지만 중심과 멀어지면 날씨는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고기압은 마찰력의 영향으로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불려나가게 되는데, 빠져나간 그 자리는 상층의 공기가 채워진다. 이때에 공기가 하강하면서 단열압축되어 온도가 높아져 구름이 생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날씨가 좋고, 바람도 잔잔하며 상쾌하다. 낮 10시에서 오후 2시경에 산에 올라 나무 등 식물들이 만들어낸 산소를 흠뻑 취하면 건강에도 좋다.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고기압 속으로 들어가 보자. 고기압의 중심에서 서쪽이나 남쪽은 북태평양상의 남동이나 남서풍이 불어와서 여름이면 후덥지근하면서 구름도 많이 끼며 천둥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내리기도 하고, 안개도 자주 발생한다. 동쪽은 오호츠크해로부터 유입되는 북동기류로 인해 습하고 찬 공기가 유입되어 농작물이나 각종 식물 등에 냉해를 입히기도 한다. 북쪽에서는 북극으로부터 차고 건조한 기류가 내려오기 때문에 비교적 날씨가 좋고, 겨울이면 바람도 강하게 불어 추위를 가져온다. 북태평양의 고기압은 여름에 무더위, 시베리아 고기압은 겨울에 한파를 몰고 오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기류 유입에 따라 계절이 분리되는 계절풍지역이다. 저기압은 어떤 것인가? 주위보다 기압이 제일 낮은 지역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중위도지역에 들어있어 기압은 대체로 960~1,025hPa 정도이다. 저기압에서의 바람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류가 불어 들어온다. 사방에서 불어 들어온 바람은 중심으로 모이게 되며, 계속해서 모인 공기는 어디론가 흘러가야 하는데, 어디로 갈까? 바로 상공으로 올라간다. 이것이 위험기상을 몰고 오는 상승기류이다.

출처: 날씨담은 항아리 (김학송)

고기압(高氣壓)은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을 가리킨다. 기호는 'H'이다.

고기압권 안에서는 보통 하강기류가 있으므로 날씨가 맑다. 그러나 소멸 단계의 고기압 또는 고기압 후면에서 하층이 가열되면 대기가 불안정하여 적란운이 발생하고 심하면 소나기, 뇌우를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은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분다. 이때 고기압은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이며 남반구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풍속은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약해진다. 이동성 고기압을 제외하면 대체로 아주 느리게 이동하거나 제자리에 위치한다.

특징[편집]

일기도에서 보면 중심 주위가 막힌 등압선으로 에워싸여 있으며 중심이 저기압만큼 뚜렷하지는 않다. 지상의 고기압 부분에서는 기류가 발산하여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상공에서 공기가 하강하기 때문에 고기압 안에는 하강 기류가 있다. 하강 기류가 있으면 공기는 단열적으로 온도가 올라가고, 수증기의 응결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고기압 내부는 구름이 적다.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는 낮은 층운형이 된다. 고기압 안은 이와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야간의 복사 냉각이 강하여 지면 부근의 온도가 낮아진다. 한편 고기압 내부에서는 바람이 약하기 때문에 접지(接地) 역전이 일어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추운 계절에는 아침 일찍 서리가 발생하기 쉽고, 도시에서는 스모그 발생이 많아진다.[1]

종류[편집]

고기압 지대에만 구름이 없다. 단, 고기압 지대와 구름 구멍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고기압의 중심은 이 사진에서 구름 구멍의 가장자리에 있다.

고기압에서 대기의 상층까지의 공기의 기둥을 생각해 보면 공기의 기둥 전체의 밀도가 주위보다 크거나 공기의 기둥에 흘러들어오는 공기의 양이 공기의 기둥에서 흘러나가는 공기의 양보다 많거나 둘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은 견해로 분류하면 고기압에는 두 종류가 있다. 첫째는 방사 냉각이 강하여 지표 부근의 공기의 밀도가 커져서 생기는 한랭 고기압이고, 둘째는 대기 순환 중에서 공기가 막혀 그 지표에 형성되는 온난 고기압이다. 그 외에 두 저기압 사이를 상당히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이동성 고기압이 있다.

각주[편집]

  1. 고기압의 성격, 《글로벌 세계 대백과》

같이 보기[편집]

  • 저기압
  • 저기압성 순환

참고 문헌[편집]

기상청2019. 7. 5. 10:10

알기 쉬운 기상 상식!

고기압과 저기압!

오늘은 고기압과 저기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혹시, 공기에도 무게가 있다는 사실을 아셨나요!?

공기가 누르는 압력을 "기압"이라고 합니다.

기압은 갈릴레이의 연구부터 시작되어,

파스칼이 높이에 따라 기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아내면서 기압의 역사가 이어졌습니다.

그렇다면, 일기예보에 매일 등장하는 고기압과 저기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는데요!

간단하게 말하면 주변보다 기압이 높은 곳은 고기압!

주변보다 기압이 낮은 곳은 저기압!

이라고 하는데요!

고기압과 저기압의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드릴게요!

1.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을 경우 "고기압"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을 경우 "저기압"

2. 바람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불 때 "고기압" 반시계 방향으로 불 때 "저기압"

3. 기류는 하강 기류일 때 "고기압" 상승기류일 때 "저기압"

4. 고기압일 때 날씨는 대체로 맑으며, 저기압일 땐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가 많겠습니다!

계절별로 영향을 주는 기압계로는

봄, 가을 : 이동성 고기압

여름 : 북태평양 고기압

겨울 : 대륙 고기압

이 있겠습니다~!

그런데 혹시 기압에도 '키'가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기압은 온도차에 의해서 조금씩 다른 형태를 보이는데요

키가 큰 고기압, 키 작은 저기압!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www.youtube.com/watch?v=SLsntsmNva0

알기 쉬운 기상 상식 "고기압과 저기압" 이해되셨나요?

앞으로 고기압과 저기압에 따라 날씨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느껴보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