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 연결 전환과 같이 설정을 변경합니다 - deiteo tongsin yeongyeol jeonhwangwa gat-i seoljeong-eul byeongyeonghabnida

데이터 통신 연결은 데이터 제한이 있는 인터넷 연결입니다. 일부 앱은 데이터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통신 연결에서 다르게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Windows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설치되지 않습니다.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통신 연결로 설정됩니다. Wi-Fi 및 이더넷 네트워크 연결은 데이터 통신 연결로 설정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 통신 연결은 아닙니다.

데이터 통신 연결로 설정 설정이 켜져 있고, 다음 위치에서는 이 설정을 끌 수 없도록 회색으로 표시됨을 알 수 있습니다.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셀룰러  > 고급 옵션을 선택합니다.

  • 설정 > & Wi-Fi > Wi-Fi > 연결된 Wi-Fi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 설정 > & 이더넷 > > 이더넷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데이터 통신 연결로 설정 설정을 변경하려는 경우,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세요.

  • 데이터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합니다. 이를 수행하려면 다음을 수행하세요.

    1. 시작 단추를 선택한 다음 설정 > 네트워크 & 상태 > 선택합니다.    

    2.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사용 현황을 선택합니다.

    3. 네트워크 선택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선택한 다음 제한 제거 > 제거를 선택합니다.

  •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로그인했는지 확인합니다.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세요.

    1. 시작 단추를 선택한 다음 설정 > >선택합니다.   

    2. 계정 이름 아래에 관리자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IT 지원 담당자에게 확인하세요. 데이터 통신 연결 설정은 사용자가 속한 조직에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습니다.

참고: 데이터 통신이 아닌 연결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했지만 여전히 제한된 데이터 요금제가 있는 경우, 해당 네트워크의 데이터 제한을 초과하여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추가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Windows10 - 데이터 통신 연결로 설정

BlueHorn072020. 2. 11. 23:57

네트워크 설정 화면을 살펴보면, 이런 [데이터 통신 연결로 설정]에 대한 활성 버튼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실 평범한 컴퓨터 사용자는 이 기능에 대해 전혀 몰라도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다.

다만, 윈도우에 내장된 컴퓨터에 유심(USIM)을 장착해 와이브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데이터 통신 연결'에 대한 기능에 대한 설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데이터 통신 연결]에 대해 삼성전자는 다음과 같이 답변하고 있다.

즉, 데이터 통신 연결은 데이터의 제한이 있는 네트워크(데이터 요금제, 데이터 종량제)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핫스팟이 아니라 인터넷 선을 이용하거나 공유기를 사용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일반 가정은 이 데이터 통신 연결과 무관하다고 할 수 있다.

유심(USIM)이나 데이터 사용량에 제한이 있는 네트워크를 쓰지 않는다면, 데이터 통신 연결에 대한 설정은 인터넷 사용과 무관하다.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데 갑자기 인터넷 연결이 끊기나 인터넷이 되지 않는 경우에 굉장히 당황스러운데요. 빨리 인터넷을 해야하는 상황인데 대체 무슨 문제인지 모르겠고 이런 경우에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막막할 것 같습니다. 와이파이 인터넷 연결이 잘 되지 않을 때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적인 상태라면 위와 같이 작업표시줄에 저런 아이콘이 보여지게 됩니다. 저 아이콘을 눌렀을 때 [네트워크 연결됨]이라고 나오시면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인터넷 연결 확실치않음으로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으면 위와 같이 다른 아이콘이 나오게됩니다. 해당 아이콘을 눌렀을 때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데이터 통신 연결 전환과 같이 설정을 변경합니다라고 표시됩니다.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버튼을 눌러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네트워크 상태] 창이 열립니다.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해보면 [연결되지 않음]이라고 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참고로, 현재 테스트를 위해서 랜선을 뽑아둔 상태입니다.

왜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지 궁금하실 때에는 [문제 해결]을 눌러주세요.

그럼 [Windows 네트워크 진단]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네트워크 진단을 통해서 네트워크 연결이 되지 않는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저는 임의로 랜선을 뽑아둔 상태인데 정확하게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하라고 진단이 나옵니다.

다음 사항을 좀 더 살펴보기 위해서 [문제 해결 여부 확인]을 눌러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랜선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발견된 문제]에 네트워크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손상된 것 같습니다라고 해결안됨이라고 표시가 됩니다. (참고로 테스트를 위해 현재 랜선을 뽑아둔 상태입니다.)

[네트워크 옵션 변경]을 클릭하시면 [네트워크 연결] 창이 열립니다. [네트워크 연결] 창에서도 현재 이더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더넷 아래에 '네트워크 케이블 언플러그됨'이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랜선이 뽑혀있는 것을 계속해서 알려주고 있습니다.

인터넷 연결이 확실치않은 경우에는 먼저 위와 같이 네트워크 진단 마법사의 도움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만약 위에서 알아본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해보았지만 그래도 인터넷 연결이 안되시는 경우에는 윈도우 검색에서 [실행]을 검색하신 후 열어주세요.

[실행] 창에서 [devmgmt.msc] 라고 입력하신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그럼 [장치 관리자] 창이 열립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현재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wireless'가 들어있는 네트워크를 찾을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어댑터] 목록에서 [wireless]가 들어있는 네트워크를 선택하신 후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해당 네트워크 제거 후 다시 재설치 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다고 하실 때, 인터넷 케이블이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제일 먼저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본체에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와이파이 공유나 모뎀에 케이블이 잘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해주시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