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뜨는 시간 변화 - dal tteuneun sigan byeonhwa

한 달은 근사적으로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대개는 각 월마다 음력의 한달은 29일 또 한달은 30일이 모여서 평균적인 한 달이 된다달이 뜨고 지는데 따른 모양의 변화에 따라 초승달, 반달, 보름달 등으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달이 뜨는 시간이나 지는시간 등은 해처럼 거의 일정하지 않고 지구의 자전과 공전 및 달의 공전에 의해 매일 약 50분씩 늦게 달이 뜨게 되고 조금, 만조, 간조 등 물때(1~15물 까지)를 형성하기도 한다. 아래에서 처럼 "초승달, 상현반달, 보름달, 하현반달, 그믐달, 그믐" 으로 구분하여 보면 금방 이해가 간다

남중 (南中) : 천체가 자오선을 통과하는 것으로 천체의 높이는 이때가 가장 높으며 태양의 남중은 정오(正午)에 해당하나 달은 모양에 따라 남중을 각각 달리한다.

1) 초승달은 음력으로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 동안에 뜨는 달로 음력 3일경 태양이 진 후 서쪽하늘에서 잠시 보이다 지는 달이다. 초승달은 서쪽부터 뜨는 것은 동쪽에 있을 때는 해가 떠 있어 안보이다가 해가지면 동에서 서로 움직이는 것 같은 달이 비로소 서쪽에서 보이게 되는 것으로 그런 후 지구자전에 의해 서쪽으로 금방 없어진다

▶초승달 : 뜨는시각 09시 / 남중시각 15시 / 지는시각 21시 (아침에 떠서 안보이다가 해지고 서쪽하늘에서 잠시봄)

2) 상현달(상현반달) 음력 매달 7~8일경 정오에 남쪽 하늘에서 떠서 자정에 서쪽 하늘로 지는 달이다. 상현달은 해가질 때 남쪽에서부터 보여 지구자전에 의해 자정까지 보이다가 서쪽으로 지는달이다.

▶상현달 : 뜨는시각 12시 / 남중시각 18시 / 지는시각 24시 자정 (정오에 떠서 자정에 지는 달)

3) 보름달 음력 15일 해가질 때 동쪽에서부터 떠서 지구자전에 의해 자정이 지나서 까지 보이다가 서쪽으로 지는달이다.

보름달 : 뜨는시각 18/ 남중시각 24시 자정 / 지는시각 06(해지고 떠서 아침에 지는 달)

4) 하현달(하현반달)음력 매달 22~23일경 자정에 동쪽 하늘에서 떠서 지구자전에 의해 새벽까지 남쪽 하늘에서 보이다가 정오에 서쪽으로 지는 달이다. 활 모양의 현()을 엎어 놓은 것 같은 모양이다. 지구가 태양을 등지고 있는 밤 12시 무렵에야 동쪽 지평선에서 하현달이 떠오른다. 하현달이 뜨는 건 음력으로 23~24일 무렵, 그러니 이때는 초저녁에 아무리 달이 뜨길 기다려도 소용없다. 하현달은 한밤중인 12시 무렵에 동쪽 지평선에서 떠오르기 때문에 낮에 하현반달을 볼 수 가 있다. 태양빛 때문에 잘 안보이지만 음력 17~18일 에는 맑은날 아침해가 뜨기 전까지 서쪽하늘에 또렷이 떠 있는 달을 감상할 수가 있다

▶하현달 : 뜨는시각 24시 / 남중시각 06시 / 지는시각 12시 정오 (자정에 떠서 정오에 지는 달)

5) 그믐달음력 매달 26, 27일경 해뜨기 직전에 동쪽하늘에서 먼저 뜨는 달로 새벽에 떠서 해 뜨기 직전까지 동쪽 하늘에서 관찰가능한 달이다. 그믐달은 너무 동쪽이라 안보이다가 해가 뜨기 직전 동쪽에서 잠깐 볼 수 있는 달이다.

그믐달 : 뜨는시각 03/ 남중시각 09/ 지는시각 15(새벽에 떠서 오후에 지는달)

6) 삭 (朔, 그믐)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들어가 일직선을 이루는 때로 합삭() 또는 삭일(日) 이라고도 하며 음력으로 그달의 마지막 날인 대개 29일이나 30일 즉 그믐날을 의미한다. 이때는 달이 뜨지 않아 달을 볼 수가 없다

아래그림과 사이트도 참고하시면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되실겁니다.

<참조> 

▶ 달이 보이는 방향과 시간?

//terms.naver.com/entry.nhn?docId=1393252&cid=47340&categoryId=47340 

해가 지고 나면 항상 달이 뜨나요?

//terms.naver.com/entry.nhn?docId=1023895&cid=47309&categoryId=47309  

이곳도 들러 보아요...//blog.naver.com/namgu1654/221684522609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