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패드 인코딩 변경 - wodeupaedeu inkoding byeongyeong


메모장 저장 할 때 UTF-8로 저장하는 법(Notepad++도 포함)




메모장 저장 시에 저장 버튼 왼쪽에 인코딩에서 UTF-8 형식으로 저장해줄 수 있다




Notepad++에서는 상단의 인코딩->UTF-8로 변환을 누른 후 해당 파일을 ctrl+s를 눌러 저장해주면 된다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na27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IT > 문제 해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 등록되어있는 서비스 삭제하기  (0)2017.11.06MalformedByteSequenceException 톰캣 오류  (0)2017.11.06Could not contact localhost:8005. Tomcat may not be running error while shutdown tomcat 오류  (0)2017.11.06XML파일에서 Invalid byte 1 of 1-byte UTF-8 sequence 오류  (0)2017.11.06아파치, 톰캣 포트번호 변경하기  (0)2017.11.06

반응형

노트패드에서 작성한 HTML 소스를 웹 페이지로 띄웠을 때 한글이 깨진 채 화면에 나타난다면 두 가지 방법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인코딩 메타태그를 HTML 소스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작성한 html 파일의 문자 인코딩을 UTF-8 유니코드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보통 국가별 인코딩인 EUC-KR 를 쓰기도 하지만 호환성을 위해서 UTF-8 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 번째 방법인 메타태그를 HTML 헤더에 추가해서 문제를 해결해 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한 소스가 웹 브라우저에서 제대로 표현이 되지 않는다면 인코딩 메타태그를 추가합니다.

 

 

메타 태그를 추가하는 위치는 <head> 태그 사이입니다. 반드시 charset 값으로 UTF-8 을 입력합니다. 요즘은 대부분 HTML5 를 지원하므로 4.01 에서 사용하던 긴 소스를 그대로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head>
 
HTML 4.01 :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HTML 5 : <meta charset="UTF-8">

 

 

 

※ 아래는 참고하면 좋을 만한 글들의 링크를 모아둔 것입니다.
노트패드++(Notepad++) 자동 백업 파일로 작업 내용 복구하기
노트패드++ (notepad++) 자동 줄바꿈 설정하기
노트패드 Notepad++ 기본 파일 확장자 연결하는 방법
노트패드++(Nodepad++) 파이썬 코드 실행하기
트패드++(Nodepad++) 파이썬 코드 실행하기

 

 

 

 

두 번째로 문서를 UTF-8 로 인코딩을 변경합니다. 노트패드 상단에 인코딩 > UTF-8 로 표시 메뉴를 선택합니다

 

만약 새로 생성하는 문서에도 동일하게 기본 인코딩으로 UTF-8 을 세팅하고 싶다면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설정 > 환경 설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환경 설정 페이지에서 왼쪽 메뉴 목록에 새 문서를 선택합니다. 오른쪽 화면으로 이동해서 ANSI -> UTF-8 로 변경합니다. 다음에 새 문서를 추가할 때 기본 인코딩을 UTF-8 로 바꾸는 설정입니다

※ 아래는 참고하면 좋을 만한 글들의 링크를 모아둔 것입니다.
노트패드++(Notepad++) 자동 백업 파일로 작업 내용 복구하기
노트패드++ (notepad++) 자동 줄바꿈 설정하기
노트패드 Notepad++ 기본 파일 확장자 연결하는 방법
노트패드++(Nodepad++) 파이썬 코드 실행하기
트패드++(Nodepad++) 파이썬 코드 실행하기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녹두장군 - 상상을 현실로

저작자표시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