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 주사 부작용 피부 - seuteloideu jusa bujag-yong pibu

안녕하세요 원장님^^ 글만 계속 읽다가, 이렇게 문의를 드립니다.

저는 2014년도 초반에, 피부과 시술을 받는 중간 접촉성 피부염이 와서 크게 고생을 했구요~ 그 이후에, 피부가 좋아지다가, 치료를 다시 시작하면서, ?**類觀龜?약하게 붉은기가 생겼습니다. 이에 스테로이드(비교적 약한등급이긴했습니다) 몇개월 동안 발라왔고, 중간중간 맞는 주사랑 먹는약도 복용했습니다. 문제는 그 이후, 얼굴에 열감이 너무 심하게올러오면서 시작이 됬는데요.(스테는 거의 4개월정도 매일은 아니지만 조금 오래 사용했습니다ㅜㅠㅜㅠ)

제 피부 상태를 2014년부터 봐온 선생님께서는 스테로이드 부작용이라고 말씀을 해주셨고, 얼굴에 열감이 굉장히 심한 상태로 다른 병원에 내원했을 때, 그 원장님은 주사라는 판정을 내리셨습니다.

현재 저의 상태는( 스테로이드 중단한지 2개월이 됩니다)

처음에는 방에 누울수도 없는 열감, 작열감, 얼굴이 비닐처럼되면서 각질이 벗겨지고, 욱씬욱씬거리는 통증이 있었으며, 그 이 후에는 여드름과 같은 작은 구진들이 얼굴을 덮었구요. 현재는 열감이 약간 있으며, 홍조가 있습니다. 물론 원래 피부같지는 않게 빨개지기도 하구요ㅜ 또한 각질이 조금씩 얼굴 전반에 일어납니다. 지금은 빨간 여드름같은 것은 사라졌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1., 제가 주사인건지 스테로이드부작용인건지 하는 것이구요.
2. 우선, 2달째 항생제 미노씬을 복용중인데, 첫번째 원장님께서는 이것이 오돌토돌 올라온 것에는 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열감은 스테 부작용에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안먹어도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거라거 하십니다. 2번째 원장님은, 우선 계속 복용하라고 하시규여.
어떤한 방법이 저에게 맞는 방법일까요?(항생제 내성도 걱정이됩니다)
3. 스테부작용일 경우, 시간이 흐르기를 기다리는 것밖에 없는지 궁금합니다. 스테부작용과 주사병명에는 큰 차이가 있는 건가요?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방순입니다.

피부 질환은 직접 상태를 보면서 병력을 들어 봐야 정확히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피부 상태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 제가 드리는 말씀은 참고가 될 뿐이고
직접 진료하신 선생님들의 의견을 더 존중하셔야 할 것입니다.

1. 제가 생각하기에는 주사입니다.
항상 얼굴이 붉으면서 얼굴이 붉어지는 증세가 있으면 주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피부 혈관이 늘어나서 뜨거운 피가 피부에 많이 몰리기 때문에
열감과 화끈거리는 증세가 생기면서 피부가 건조해 집니다.
증세가 더 심해지면 염증에 의해 여드름 비슷한 구진, 농포가 생길 수 있고요.
스테로이드를 오래 사용할 경우에도 비슷한 증상이 생길 수는 있지만
4개월 정도 간헐적으로 사용한 것 때문에
위와 같은 증상이 생기지는 않았으리라 생각합니다.

2. 스테로이드 부작용이든 주사에 의한 증세든 열감은 결국 혈관이 늘어나서 생깁니다.
그로 인해 염증이 반복되면서 혈관을 더 늘어나게 하는 악순환이 생기고요.
항생제는 염증을 줄여 줌으로써 혈관이 더 늘어나는 것을 막아주고
자극에 예민해 지는 것을 줄여 줌으로써 결국 열감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항생제를 사용하다가 좀 안정이 될 경우
용량을 줄이면 항생제 내성이 문제되지 않습니다.

3. 단순히 스테로이드 부작용일 경우 시간이 지나면 좋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약을 먹고 바르면서 IPL 같은 레이저 치료를 하면
좀 더 빨리 좋아질 수 있습니다.
지금은 주사라고 생각이 되기 때문에 기다리기 보다는
진료해 주시는 선생님의 처방에 따라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임기 여성에서  손목 통증으로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았다면 아마도  드꿰르벵씨 병일 것 같습니다. 

드꿰르벵씨 병도  결국  힘줄 터널에서 힘줄의 마찰에 의한 염증과 부기로  통증이 생기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는 방아쇠 수지와 비슷합니다 .  다만 부위가 다르고 방아쇠 수지처러 딸각거림은 없지만 엄지 힘줄이라서 생활에 상당히 불편합니다. 

이러한 마찰을 줄이기 위해 엄지 보조기를 착용시킵니다.  절대로 손목만 차는 보호대는 안됩니다. 안그래도 좁은 터널을 더 좁게 하기때문이죠 .  이 병의 원인은 손목이 아니라 엄지를 많이 움직여서 생긴 것이므로 엄지를 움직임을 제한해야만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염증을 줄여주기 위해 먹는 소염진통제 약을  처방합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약물치료에 효과가 없다면  스테로이드 주사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가장 강력한 소염(염증을 없애는)  작용을 하는게 스테로이드이기때문이죠.  염증을 효과적으로 없애주기때문에   일시적으로나마 통증은 확연히 좋아지는게 일반적입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가장 흔히 쓰는 약이 트리암시놀론입니다. 

//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sly.hst&where=nexearch&query=%ED%8A%B8%EB%A6%AC%EC%95%94%EC%8B%9C%EB%86%80%EB%A1%A0&oquery=%ED%8A%B8%EB%A6%AC%EC%95%94%EC%8B%A4%EB%A1%9C%EB%85%BC&tqi=hcJsywprvh8ssh7m7ZossssstVR-276461&acr=1

트리암실로논 주사는 의료보험이 되므로 비급여 주사인 다른 주사들에 비해  비용이 적으며   소염효과도  확실하기 때문에  여러 힘줄 염증 질환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다른 스테로이드 주사에 비해  가장 큰 장점은 효과  지속기간이 매우 길다는 것입니다. 다른 스테로이드 주사들은 1-2일면 효과가 없어지는데 비해  이주사는 보통은 3개월이상 효과가 지속됩니다. 

 가장 큰 단점은  피부 탈색과 지방 위축(살이 푹들어가 보임) 이 생길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젊은 여성에서 생리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당뇨환자에서 혈당을 올리는 점, 그리고 가끔  주사자체가  석회질을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른 스테로이드 주사 들도 이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마   트리암실로논 주사가 앞서 말씀드린 대로 다른 주사에 비해 매우 오래 약효가 지속되므로  그 부작용이 지속되는 기간도 길고 더 심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피부 탈색과 지방 위축은 보통 2주에서 몇달 사이에 나타납니다.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이 아니고  약간의 체질적 문제가 있으므로 방아쇠 수지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도 같은 부작용이 생길 확률도 높습니다.   (보고에 따라 다르지만 10명중에 한명꼴)     

주사 용량이 클수록,  주사 횟수가  많을 수록 이 부작용도 커진다고 합니다. 

방아쇠 수지와 같이  손바닥은 살이 두껍고 살 색이 하얀 뼈이니까  그나마  눈에 덜 띄는데  드꿰르벵 씨 병과 같은 손목 부위는 환자들이 보기 싫다고  불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www.google.com/search?q=steroid+depigmentation&sxsrf=ALeKk03p2f13xQAT9-4nlr6iJ2tWTpWHTg:1611381894122&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nxJWrsbHuAhXDfd4KHblWD7sQ_AUoAXoECBYQAw&biw=1870&bih=972

특별한 치료 방법은  없으며 기다리는게 최선이고 더이상의 주사 치료는 하시면 안됩니다. 

보통은 2개월에서 길게는 1년까지 색이 돌아오는데 시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사 횟수에 따라서는 회복안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지방위축은 더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아직 주사약이 몸에 남아있는건가요?  보통 주사약맞고 얼마정도 몸에 남아있는건지 

>  피부 탈색과  주사약이 아직 남아있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즉 피부 탈색은 주사 효과가 없어져도 더 오래 지속되는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 30-40일 이상 효과가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무래도 주사부위에 따라서도 다르고 환자분의 건강상태등에 따라서도 달라집니다. 피임약은  이 약물을 오래 지속되게 한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2) 임신계획중인데 임신해도 괜찮은걸까요? 

>  이부분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위에 말한 대로  약물이 없어지는 기간은 환자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저희 경험상 주사 효과가 떨어져 재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은 3개월정도이므로   아주 안전하게는 주사후 6개월정도는  지나서 임신하셔야  그나마 조금은 안심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앞서 말씀드린 대로 이 주사 자체가 생리에 영향을 주기때문에  태아에 영향을 주는 것 외에도 임신율 자체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생리 문제와 피부탈색 문제로 저희 병원에서는  젊은 여성에게는 트리암시놀론은 거의 쓰지 않거나  정말 어쩔 수 없는 경우는 환자분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고 주사를 합니다.  

> 주사를 떠나서 드꿰르벵씨 병 자체가   임신과 출산으로 발병하거나 악화되므로  만약 임신을 계획하신다면  미리 수술을 하시는게 권장됩니다.   임신 말기 8-10개월에 급격히 악화되어 도저히 생활이 안될 정도로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고 임신중에는 어떤  약물, 주사도 안디고 수술도 어렵기때문입니다.   드꿰르벵 씨 병 자체가  어느정도 선천적으로 힘줄의  변이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양측에 잘 생기고 한번 발병하면 재발도 잘합니다.   환자분이 무엇때문에  젊은 나이에 이 병이 생겼는지 모르지만 단순히 글씨를 쓰는 것만으로도  앞서 말씀드린 체질적 문제로 발병할수 있습니다. 

만약  임신할 경우 이 병은  재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제가 진료한 환자중에 한분은 첫째때  너무 고생해서  첫째 출산후 증상이  많이  좋아졌는데도 둘째를 임신하기 전에 수술하신 경우도 있었습니다. 

> 다만 피부가 탈색되고 지방 위축이 온 경우는 수술후 상처가 아무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수술을 하더라도 피부가 어느정도 회복된 다음에 하셔야 됩니다.  

3)  주사맞고 손목통증은 아직 없고 색이 변색된게  주사약이 아직 몸에 남아있어서 그런건가요? 

> 앞서 답변드린 대로  피부 변색과  주사 약물이 남아있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 

> 아직 통증이 없는 것은  주사후 3개월이 넘지 않았다면 아직 약물 효과때문일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일년에 몇번?

현재 의료계에서 신경주사의 권장 횟수 대해서 딱히 합의된 바는 없지만, 많은 권위 있는 의사들이 1년 3-4회 정도로 제한해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고, 세계 최초로 스테로이드를 개발하여 노벨상을 받은 미국 메이요클리닉에서도 스테로이드를 1년 3-4회로 권유하고 있습니다.

뼈주사가 뭔가요?

일명 뼈주사는 과거에 무릎 관절염등에서 관절안에 직접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것에 유래된 말입니다. 스테로이드는 강력한 항염증 치료제(염증을 줄이는 작용)이므로 매우 심한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이라도 이주사를 맞으면 2-3개월은 전혀 아프지 않는 정도로 통증이 좋아집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