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치업 나무 선 - seukechieob namu seon

한글처럼 쉽게 쓰는, 아무도 모르는 저 세상 문자

관종이 제발 유료로 내자고 빌어서 나온 시라폰트 사주시면 압도적 감사 (이미지는 관종님께서 만들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용 예) 트위터의 많은 분들께서 흥미를 가져주셨던 제 글씨를 폰트로 제작했습니다! 이 세상 어느 나라의 문자도 아닌 것 같지만 알고 보면 한글인 이 문자, 이제는 한국어 문장을 타이핑하듯 편리하게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창작 세계관...

스케치업의 2D 컴포넌트는 사용방법이 다양합니다.
제 책인 '웹툰 스케치업'에서는 인물 컴포넌트를 세우는 방법으로 알려드렸지만, 배경에 나무를 배치하는데도 꽤 쏠쏠하게 사용됩니다.


그런데, 나무 컴포넌트를 세우다 보면 나무끼리 겹쳐지면서 이상한 하얀 테두리가 남는 경우가 발생해서 골머리를 아프게 합니다.


이게 나무를 그리다 보면 어쩔 수 없이 나오게 되는 반투명 알파 찌꺼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인데요.
눈에 엄청 거슬리는 부분이라, 나오게 되면 무척 속상합니다. 게다가 이걸 지우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죠.

해결 방법은?

의외로 간단한데요
스타일에서 알파 채널 처리 방법을 Faster -> Nicer로 바꾸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깔끔하게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s. 이 내용은 한 독자분의 질문을 정리해서 올린 내용입니다.
p.s.2 나무 리소스가 필요하시면 이곳에서 받으세요.

//elfism.com/dcr/tree/start

나무 [Elf'sNote]

elfism.com

  • 씨스꿀 홈페이지
  • 씨스꿀 CD/DVD/USB 강좌
  • 씨스꿀 방문교육 신청
  • 씨스꿀 단체 교육 신청

컴퓨터스쿨 씨스꿀 스케치업 문의 답변입니다.

-----------------------------------------------------

내용 : 스케치업에서 외곽선 지우는 방법 과 선 색 바꾸는 방법 알려주세요
----------------------------------------------------------------

스케치업 의 메뉴 중
윈도우->스타일->edit->edges 를 선택하시면 선이 안보입니다.
윈도우->스타일->edit->color 를 선택하시면 색을 변경합니다.

감사합니다.

 컴퓨터스쿨 씨스꿀 www.cscul.com

웹툰용 스케치업 모델링에서 자주 쓰이는 2D 나무 소재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작업과정은 먼저 클립스튜디오로 나무 이미지를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이 나무 이미지를 벡터로 변환시켜 줍니다. 마지막으로 스케치업에서 2D 나무 컴포넌트로 만들어 줍니다.

나무 이미지 만들기

작업도구 - Photoshop, Clip Studio, Krita(free), Sai tool, Corel PaintShop Pro, Affinity Photo, FireAlpaca(free) 중 택일

최종 결과물은 배경이 투명한 png 파일로 만들어 줍니다.

벡터 변환하기

작업도구 - 일러스트레이터, 잉크스케이프(free) 중 택일

* 벡터 App 중 비트맵 이미지를 벡터로 컨버팅 해주는 기능이 있는 App을 사용하면 됩니다.

벡터 형식으로 변환은 스케치업에서 라인을 인식 시키기 위한 것으로 나무 이미지의 가장자리만 선으로 인식 시켜주면 됩니다. 저장 역시 8비트의 dwg나 dxf 파일로 저장 해주어야 스케치업에서 정상적으로 인식 합니다.

스케치업으로 불러오기

- 가져오기 메뉴를 통하여 dwg 파일을 불러 옵니다.

- 불러온 파일은 그룹으로 묶여 있으므로 그룹을 풀고 면을 생성해 줍니다.

- png로 된 나무 이미지를 불러와 분해하여 재질로 등록 합니다.

- 나무 객체에 맵핑을 하면 끝.

스케치업에서 png 파일을 직접 불러 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그림자를 적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반 png 파일을 직접 불러오면 스케치업은 이 객체를 작사각형의 면으로 인식 하므로 그림자 역시 직사각형 입니다. 때문에 투병한 부분을 제거 해줘야 하는데, 일일히 선을 그어 면을 분할 한 뒤 삭제 하는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우므로 벡터로 변환하여 불러오는 방법을 사용 합니다.

작업과정 영상을 보시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youtu.be/BL8sV-GXxiQ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