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대학원 - seouldae uidae daehag-won

HOME > 학과소개 > 학과장인사말

학과장인사말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에 관심 갖고 방문하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대학원은 전문 지식의 최전선에서 학문적 발견과 창조를 교수와 학생이 함께 이뤄나가는 곳입니다.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의과대학에 자리잡은 의과학과는, 지적 변경의 단순한 확장 뿐만 아니라 기초과학적 깊이와 인류 건강의 증진이라는 높은 목표를 함께하는 61명 교수님들과 180명 재학생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의과학과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바는 ´In-Depth Science in Human Physiology and Diseases´를 통한 ´Quality Upgrading in Biomedical Research´ 입니다. 우리 의과학과에서 정성 들여 운영하고 있는 교육훈련 과정과 도전적인 성취 목표를 이루어내고 졸업하는 동문들은 세계적으로 의학과 생명과학 분야를 이끌어가는 인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의과학과의 역사는 10년이 조금 넘었습니다. 2007년에 서울의대의 여러 기초의학교실과 실험연구 및 첨단기술의 의학 적용에 매진하는 임상의학 교수님들이 뜻을 함께하면서 설립된 융합-협력의 본보기입니다. 대학원 운영의 기준을 높이 세우려는 서울의대의 전폭적 지지는 물론, 교육부 BK 사업 등을 통하여 대학원생들의 학업에 대한 최고 수준의 지원이 고르게 보장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의과학과 대학원생들은 건강과 질병의 과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중요한 질문을 발굴하고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는 연구능력을 배양하고 있습니다.

학부 배경에 따른 맞춤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의학 전공자에게는 자연과학분야의 첨단 지식을, 의학 이외 전공자에게는 기초의학 핵심지식을 준비하였습니다. 의학과 생명과학의 지식을 겸비하는 기본 과정과 함께, 신경과학, 면역학, 종양학, 분자의학, 시스템정보 그리고 바이오영상 분야 등 의생명과학 핵심분야의 전문 과정 프로그램이 충실하게 구비되어 있습니다. 지난 11년을 통하여 300여명의 석-박사 졸업생들이 배출되었으며, 세계 유수 대학과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과정을 통하여 꿈을 키워가는 졸업생들이 다수입니다만, 국내대학 전임교원 10여 명, 바이오제약기업과 병원급 연구소 등에서 많은 동문들이 서울대학교 의과학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우리 의과학과 교수들은 꿈을 가진 의욕적인 학생들과 연구자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체생리와 질환에 대한 심도있는 과학´을 발전시켜나가는 길을 함께 합시다. 앞으로 세계적인 의과학자가 될 모든 분들을 다시 한번 환영합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학과장 김종일

처음으로 학생인턴연구원프로그램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 110-799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의과학관 117호창아오시는길

연락처 | 대표전화 : 02-740-8093,5 FAX : 02-3673-2167 E-MAIL :

Copyright (C) 2014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ALL RIGHTS RESERVED

처음으로 학생인턴연구원프로그램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 110-799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3 의과학관 117호창아오시는길

연락처 | 대표전화 : 02-740-8093,5 FAX : 02-3673-2167 E-MAIL :

Copyright (C) 2014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과 ALL RIGHTS RESERVED

HOME > 교육 > 학사 > 학위이수요건

학위이수요건

지원일정

다음과 같은 수업연한 및 재학연한 사이에서 소정의 학점을 취득하고, 논문제출 자격시험에 합격한 후 논문을 제출하여 통과하면 학위를 수여한다.

대학원수료(석사, 박사, 석·박사통합)

  • 수업연한
  • 1)석사과정 : 2년 이상 ( 다만, 1년 이내의 범위에서 단축할 수 있다.)
  • 2)박사과정 : 2년 이상 ( 다만, 6개월 이내의 범위에서 단축할 수 있다.)
  • 3)석·박사 통합과정 : 통합과정 4년 이상 ( 다만, 1년 이내의 범위에서 단축할 수 있다.)
  • 재학 연한 ( 재학연한은 다음과 같으며, 이를 초과할 수 없다 / 학칙 제 53조)
  • 1)석사과정 : 4년 이내에 수료 해야 함
  • 2)박사과정 : 6년 이내에 수료 해야 함
  • 3)석·박사 통합과정 : 8년 이내에 수료 해야 함
  • 취득학점
  • 1)석사과정 : 24학점 이상
  • 2)박사과정 : 36학점 이상
  • 3)석·박사 통합과정 : 60학점(석사과정 취득학점 포함) 이상
  • 4)공통 : 전 교과목의 성적 평점평균은 3.0 이상이어야 한다.
  • 의과학과 필수 교과목
  • 1)2016학번부터 적용되는 석사·박사과정 필수학점
  • 가)석박통합과정 필수학점(9학점) : 의과학강독(806.501A), 우수의과학자특강(806.502A)은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이에 더하여 학부 졸업이 의학과인 경우에는 초급분자세포의과학(806.505) 또는 고급분자세포 의과학 (806.506) 중 1 과목, 학부 졸업이 의학과가 아닌 경우에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806.503) 또는 질병 발생의 의과학적 이해(806.622A)에서 1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 나)석사과정 필수학점(9학점) : 의과학강독(806.501A), 우수의과학자특강(806.502A)은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이에 더하여 학부 졸업이 의학과인 경우에는 초급분자세포의과학(806.505) 또는 고급분자세포 의과학 (806.506) 중 1 과목, 학부 졸업이 의학과가 아닌 경우에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806.503) 또는 질병 발생의 의과학적 이해(806.622A)에서 1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 다)박사과정 필수학점(6학점) : 석사 학위가 서울의대 의과학과가 아닌 경우에 한하여, 우수의과학자특강(806.502A)은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이에 더하여 학부 졸업이 의학과인 경우에는 초급분자세포의과학(806.505) 또는 고급분자세포 의과학 (806.506) 중 1 과목, 학부 졸업이 의학과가 아닌 경우에는 인체의 구조와 기능(806.503) 또는 질병 발생의 의과학적 이해(806.622A)에서 1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 한다. 서울의대 의과학과 석사학위 취득한 경우, 해당 필수학점을 모두 이수 하였으므로, 필수 학점이 적용되지 않는다.
  • 2)유의사항
  • 의과학과 석사과정에서 취득한 초과학점은 의과학과 박사과정에서 본인의 신청에 의하여 인정받을 수 있다(박사입학 첫 학기 초에 의과대학 홈페이지 통산인정 신청 안내 참조)
  • 과정 중 대학원논문연구를 석사 6학점, 박사 12학점, 통합 18학점까지 인정하나 잔여학점[이수학점(석사 24학점, 박사 36학점, 통합 60학점)에서 대학원논문연구 학점과 필수학점을 뺀 학점]의 50%이상을 전공과목으로 신청하여 이수하여야 한다.
  • 우수의과학자특강(806.502A)과 세포분자생리학세미나(806.626) 수강신청 시 이미 수강한 부제명과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강좌번호는 동일하더라도 강의 부제명은 학기마다 다르며, 각각 별도의 학점으로 인정됨)

대학원 졸업

  • 석사과정
  • 1)등록횟수 : 4회 이상 ~ 8회 이하
  • 2)취득학점 :
  • 가)24학점 이상
  • 나)의과학과 필수교과목 이수
  • 3)성 적 : 전 교과목 성적 평점평균이 3.0 이상
  • 4)자격시험 : 논문제출 외국어시험 및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 5)학위논문 :
  • 가)소속 대학(원)장이 위촉한 심사위원회에서 통과된 자
  • 나)연구내용을 제1저자로서 SCI(E)급 학술지에 1편 이상 투고한 자 (2011학번부터 권고사항으로 변경)
  • 박사과정
  • 1)등록횟수 : 4회 이상 ~ 12회 이하
  • 2)취득학점 :
  • 가)36학점 이상(석사과정 취득학점 포함 60학점)
  • 나)의과학과 필수교과목 이수
  • 3)성 적 : 전 교과목 성적 평점평균이 3.0 이상
  • 4)자격시험 : 논문제출 외국어시험 및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 5)학위논문 :
  • 가)대학원위원회에서 위촉한 심사위원회에서 통과된 자
  • 나)연구내용을 제1저자로서 SCI(E)급 학술지(impact factor 10이상)에 1편을 게재하거나 SCI(E)급 학술지(impact factor 10미만)에 2편 이상을 게재한 자
  • ※ 2011학번부터 변경사항 : 다음 실적에 해당하는 논문별책 또는 게재예정증명서(accept notice)를 심사신청시 제출(둘 중 택1)
  • ①제1저자로 발표 또는 게재예정인 논문(들)의 impact factor 합이 10 이상(단, 논문들 중 original article이 두 편 이상인 경우, 종설 논문도 최대 한 편까지 포함할 수 있음)
  • ②제1저자로 발표 또는 게재예정인 논문 2편 중 1편 이상이 SCI(E) category별 상위 25%이내인 실적
  • 석·박사 통합과정
  • 1)등록횟수: 6회 이상 ~ 16회 이하
  • 2)취득학점 :
  • 가)60학점 이상
  • 나)의과학과 필수교과목 이수
  • 3)성 적 : 전 교과목 성적 평점평균이 3.0 이상
  • 4)자격시험 : 논문제출 외국어시험 및 종합시험에 합격한 자
  • 5)학위논문 :
  • 가)대학원위원회에서 위촉한 심사위원회에서 통과된 자
  • 나)연구내용을 제1저자로서 SCI(E)급 학술지(impact factor 10이상)에 1편을 게재하거나 SCI(E)급 학술지(impact factor 10미만)에 2편 이상을 게재한 자
  • ※ 2011학번부터 변경사항 : 다음 실적에 해당하는 논문별책 또는 게재예정증명서(accept notice)를 심사신청시 제출(둘 중 택1)
  • ①제1저자로 발표 또는 게재예정인 논문(들)의 impact factor 합이 10 이상(단, 논문들 중 original article이 두 편 이상인 경우, 종설 논문도 최대 한 편까지 포함할 수 있음)
  • ②제1저자로 발표 또는 게재예정인 논문 2편 중 1편 이상이 SCI(E) category별 상위 25%이내인 실적

논문제출자격시험

  • 시험시기
  • 매년 1학기 3월경 예정
  • 매년 2학기 9월경 예정
  • 응시자격
  • 1)석사과정
  • 본교 대학원 석사과정에 2개 학기 이상 등록하고 12점 이상 취득한 학생. 응시한 시험에서 불합격과목이 있는 경우 해당 불합격과목만을 다시 응시할 수 있다.
  • 2)박사 및 석박통합과정
  • 본교 대학원 박사과정에 2개 학기 이상 등록하고 12학점(통산인정학점 포함) 이상 취득한 학생. 
  • 본교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은 2개 학기 이상 등록하고 12학점 이상 취득한 학생
  • 기 응시한 시험에서 일부 불합격과목이 있는 경우 해당 불합격과목만을 다시 응시할 수 있다.
  • 3)공통
  • 본교 석사, 박사과정 대학원생은 논문제출자격시험 응시원서 제출 시 환경안전 교육 수료증 사본을 첨부하여야 함.
  • 환경안전교육 미수료자에 대한 논문제출자격시험 응시제한(대학원학사위원회 2006. 11. 10)
  • 시험과목, 배점 및 합격기준
  • 1)시험과목
  • 가)영어시험(TEPS 또는 TOEFL 성적으로 대체)
  • 의대기준점수(2013. 2.개정) [TEPS 551점, TOFEL(CBT) 210점, (IBT) 77~78점이상] 취득
  • ※ TEPS 성적인정 : 본교생에 한하여 학부 대학원 입시 및 재학 중에 인정받았거나 취득한 모든 성적 인정
  • ※ 영어과목 합격 인정을 받고자 하는 자는 매학기 석·박사학위논문 제출 자격시험 신청 시 기준 점수 이상을
        취득한 성적을 의대 교학행정실에 제출하여야 한다.
  • 나)종합시험(전공)
  • 전공 구술고사
  • 각 학문(전공)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접수마감일까지 석사의 경우 국내외 각급 학술지에 게재, 게재 승인 또는 투고된 제1저자 논문 1편, 박사의 경우 SCI(E) 학술지에 게재 또는 게재 승인된 제1저자 논문 1편으로 갈음할 수 있다.
  • 2)배점 및 합격기준
  • 가)배 점
  • 석사과정 - 전공과목 각 100점 만점
  • 박사과정 - 전공과목 각 100점 만점
  • 가)합격기준
  • 각 과목별로 석사과정 60점, 박사과정 70점 이상 득점을 합격으로 함.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