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포터블 SSD T7 - samseong poteobeul SSD T7

외장하드(외장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넣어두고 가끔 이동하면서 사용해야 할 일이 생겨 다양한 제품에 대해 검색을 해보던 중 삼성전자에서 2020년 1월에 T5 외장하드 후속으로 출시한 T7 터치 외장하드 사용기입니다.

다양한 외장하드 제품들의 후기와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 결과 알루미늄 소재의 메탈 바디로 발열 해소에 뛰어난 "삼성 Portable SSD T5" 마음을 굳히고 있었는데 업그레이드가 된 "삼성 Portable SSD T7 터치" 제품이 출시되어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 삼성전자 공식 홈페이지

개인적으로 전자제품은 허용된 예산안에서 최신 모델을 구매해서 오래 사용하는 게 이득이라 생각하기에 큰 고민 없이 T7 터치를 구매하긴 했지만 외장 하드의 용량 때문에 조금 고민하긴 했네요..

이미지 출처 : 삼성전자 공식 홈페이지

삼성 Portable SSD T7 터치 제품 같은 경우 500GB 가 가장 최소 용량이며 바디 색상은 실버와 블랙으로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어 용도에 따라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삼성 Portable SSD T7 터치 주요 스펙

이미지 출처 : 삼성전자 공식 홈페이지

가장 눈에 띄는 점은 USB3.2 Gen2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UASP 모드를 활성화를 통해 전송 속도가 약 10G 정도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인 것 같네요..

흔히들 말하는 USB의 타입별 속도와 규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으며, T7 터치의 빠른 전송 속도를 100% 활용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는 USB 3.1 Gen2 Type-A 또는 Type-C 포트가 PC 또는 노트북에 있어야 합니다.

(USB 타입과 전송속도 등 USB 대해 자세한 설명은 너무 길어지는 탓에 자세히 다루진 않겠습니다.)

USB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또 다른 필요조건인 UASP 모드는 무엇인가?

UASP는 USB Attached SCSI Protocol의 약자로 USB 프로토콜 상에서 SCSI 명령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로 USB 3.0의 H/W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이라 생각하시면 되며, SSD와 같은 메모리 장치에 사용 시 랜덤 읽기/쓰기 속도가 크게 향상되는 기술입니다.

내 PC (또는 노트북)는 UASP를 지원하는 모델인가?

UASP 기능 지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PC (또는 노트북)의 메인보드 칩셋이 UASP를 지원하는 여부에 달려있습니다. 또한 OS는 Windows 8 이상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메인보드(칩셋)가 UASP를 지원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 일단 PC (또는 노트북)에 연결 후 저장소 컨트롤러에서 확인한다.

T7 터치를 PC에 연결하기 전 장치 관리자를 띄어 둡니다. (내 컴퓨터 -> 관리 -> 장치 관리자 ->저장소 컨트롤러)

T7 터치 연결 전 저장소 컨트롤러엔 USA라는 항목이 없습니다.

T7 터치 (또는 외장하드)를 연결하면 저장소 컨트롤러에 UAS 항목이 새로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메인보드 칩셋의 모델명을 구글링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사실 T7 터치 외장하드를 구매하기 전에 메인보드가 UASP를 지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 칩셋 모델명을 구글링 해서 정보를 찾아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참고 사항으로 제 메인보드는 ASROCK B85M PRO4 모델로 인텔 C220 칩셋을 사용 중이네요. 인텔 C220 칩셋 또는 그 이상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 UASP를 지원한다고 생각하셔도 될듯하네요. (2014년 이후 출시된 메인보드에서는 대부분 지원한다고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T7 터치 외장 하드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소 필요조건을 확인했으니 실사용을 하면서 느꼈던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T7 터치 외장하드 개봉기 & 사용기

T7 터치 외장 하드의 사이즈가 상당히 작은 편이기에 패키징 역시 미니멀 하며, 전면부에 포장된 제품의 색상과 용량의 표시가 되어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측면부엔 T7 터치 외장 하드의 스펙과 주요 특징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보증기간이 3년이라는 점이 든든함을 주네요.

겉 박스를 제거하면 더욱 심플한 속 박스가 나오고..

박스 상단 커버를 열면 깔끔한 디자인의 T7 터치 외장하드가 포장되어 있습니다. T7 터치 외장 하드의 첫인상은 작다.. 그리고 깔끔하다네요..

박스 하단엔 외장하드 연결을 위한 케이블과 매뉴얼이 동봉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포항 된 케이블은 USB Type-A to Type-C 케이블과 Type-C to Type-C 케이블 두 가지 종류가 모두 들어 있습니다.

T7 터치 외장 하드의 외관은 심플함 그 자체이며, 은색이라 그런가 알루미늄 소재의 메탈 느낌 더 잘 전달되며, 외장하드 사용 시 발생하는 열 또한 잘 해소 줄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측면엔 제품 관리를 위한 시리얼 넘버와 용량 등 스펙이 적여 있으며..

반대쪽엔 USB Type-C 단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장 하드의 보안을 위한 터치 방식의 지문인식 장치가 달려 있으며, 전제적인 디자인과 큰 이질감 없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터치 방식이라 버튼이 튀어나온다거나 들어간 느낌이 안 드는 게 마음에 드네요.

T7 터치 외장 하드의 크기와 두께를 쉽게 가늠해보기 위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나미 볼펜과 비교해 보았습니다.

언뜻 보면 사진이 합성한 것처럼 묘한 이질감이 있어 보이는데.. 외장 하드의 두께가 모나미 볼펜보다 얇은 건 확실하네요.

T5 외장 하드와는 다른게 조금 더 카드 비율에 맞게 만들어졌다고 하는 T7 터치 외장하드는 확실히 T5 대비 카드와 비슷 비유로 만들어져 있네요..

다음은 동봉된 케이블 2종입니다.

두 종류 케이블 모두 종이 밴드(?)로 깔끔하게 포장되어 있으며, 각각 케이블의 길이는 30cm 정도 되는듯하네요..

구성품에 포함된 메뉴 얼는 주요 국가별 언어로 번역되어 있으며..

매뉴얼 내용은 T7 터치 외장 하드의 간단한 조작 방법에 대해 안내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정식 구성품을 아니지만 사은품으로 함께 받은 파우치입니다.

파우치는 적당한 두께감과 파우치 내부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파우치가 T5 외장하드 규격에 맞춰 나온 걸 사은품 형태로 재고 소진? 을 하는듯하네요..

T7 터치 외장하드가 T5 외장 하드보다 조금 더 긴 형태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네요..

다음과 같이 파우치에 T7 터치를 넣으면 파우치에 쏙 안 들어가고 위아래 중 한쪽이 뜨는 증상이 있습니다. 파우치 퀄리티는 사은품으로 충분하지만 실사용엔 조금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파우치에 T7 터치 외장 하드와 케이를 모두 넣으면 다음과 같이 꽉 차게 들어간다는 느낌이 드네요..

어쨌든 사은품은 사은품 일뿐이고 T7 터치 외장 하드의 주요 목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 측정 테스트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SSD 벤치마킹 프로그램으로 많이 사용하는 CrystalDiskMark 6를 통해 속도 측정을 해보았습니다.

벤치마킹 테스트 1. 내부 메인보드에 연결된 SSD(+SATA3 )

스펙에 준하는 적당한 속도를 보여 주네요..

벤치마킹 결과 2. T7 터치 500GB

으엇? 무엇이 잘못되었나 싶어 여러 번 돌려보았는데 비슷한 수치가 나오네요..

USB Type-C to C 를 통해 연결한 한참 안되어 많은 고민을 했었는데 원인은 노트북의 USB Type-C 포트가 USB 3.1 Gen1 이였네요..

USB Type-C는 3.1 Gen2 규격만 있는 줄 알았는데.. 3.1 Gen1도 있었네요.. 어흑.. 포트 타입만 보고 당연히 지원되겠지라고 잘못된 생각을 했네요.. 이럴 거면 T5를 구매해도 충분했었는데..

어쨌든 다시 정신줄 부여잡고 실사용 속도 측정이라도 해보았습니다. 테스트 의욕이 급다운 되네요..

USB 포트의 전송 속도가 동일하기에 SSD 와 HDD까지 있는 PC에 붙여서 속도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참고사항으로 테스트를 진행 한 PC의 사양은 인텔 i7-4790 / 8GB / SSD(삼성 750 EVO) / HDD(시게이트 4TB) / Win 10 환경에서 진행하였습니다.

테스트 1. 내부 HDD -> T7 터치 약 16GB 단일 영상파일

평균 160MB/S 정도의 전송 속도를 보여 주네요..

테스트 2. 내부 HDD -> 내부 SSD 약 16GB 단일 영상파일

C 드라이브여서 그런 건지.. 생각보다 속도가 많이 나오진 않네요..

테스트 3. 내부 SSD -> T7 터치 약 16GB 단일 영상파일

SSD에서 SSD로의 데이터 전송이라 준수한 속도를 보여 주네요..

테스트 4. T7 터치 -> 내부 SSD 약 16GB 단일 영상파일

이건 왜 이런 걸까요?

테스트 5. 내부 HDD -> T7 터치 약 3.3GB 이미지 파일 840여 개

단일 파일보다는 확실히 전송 속도가 줄었네요..

테스트 6. 내부 HDD -> 내부 SSD 약 3.3GB 이미지 파일 840여 개

속도와 전송 안정성은 외부 SSD보다는 나은 결과를 보여주네요..

테스트 7. 내부 SSD -> T7 터치 약 3.3GB 이미지 파일 840여 개

SSD에서 SSD로 이동 역시 단일 파일보다는 파일 개수에 따라 속도에 영향이 있네요..

테스트 8. T7 터치 -> 내부 SSD 약 3.3GB 이미지 파일 840여 개

위에서 진행했던 전송 속도 측정 테스트를 간단히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일 파일 (약 16GB 영상 파일)

소스

복사 매체

속도

HDD

T7 터치

166MB/s

SDD

T7 터치

298MB/s

HDD

SDD

113MB/s

T7 터치

SDD

130MB/s

다수파일 (약 3.3GB 840여 개 사진 파일)

소스

복사 매체

속도

HDD

T7 터치

61MB/s

SDD

T7 터치

195MB/s

HDD

SDD

102MB/s

T7 터치

SDD

234MB/s

1회 성인 속도 측정 테스트이며 소스 측 전송 속도에 따라 전송 속도가 많은 차이가 발생하네요.. 게다가 USB 3.1 Gen1 환경에서 사용했을 때 대략적인 데이터 전송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T7 터치 외장 하드에 추가된 또 다른 기능은 지문인식 보안 기능 사용 방법은?

전송속도가 더 빨라진 것과 더불어 T5 외장하드 데비 추가된 지문인식 보안 기능은 외장 하드에 동봉된 SW의 설치를 통해서 보안 기능의 최초 활성화가 필요하며, 기본 설정 후 사용 가능합니다.

외장 하드에 기본적으로 다운로드 되어 있는 SW 설치 파일입니다. OS에 맞춰 설치를 진행하면 잠금 기능 여부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지문 등록 및 암호 등록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 가장 중요한 점은 설정된 인식 방법을 통해 추후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만 설정해 두었는데 만약 패스워드를 분실하여 초기화할 땐 외장하드를 공장초기화가 되어 데이터가 모두 삭제된다고 하니.. 패스워드+지문인식 조합으로 설정하는 걸 제조사에서 권장하네요.

만약 패스워드 설정만으로 사용하시면 패스워드를 절대 분실하시면 안 될 것 같네요..

실제 외장하드를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외장하드를 PC에 연결하게 될 경우 지문 인식 또는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받으며, 다음과 같이 새로운 창이 뜨면서 지문 인식 또는 비밀번호 인증에 대한 안내가 표시됩니다.

보안 인증 전에는 다음과 같이 인식된 외장하드가 바로 내부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 별도의 볼륨(T7 터치 내부 볼륨) 우선 적으로 보여주게 되어 있습니다.

해당 볼륨에 들어가 보면 다음과 같이 설치 SW와 안내용 텍스트 파일만 보이며, 내부 모든 파일은 읽기 전용으로 만 접근이 가능하네요..

지문 인증 또는 패드워드를 통해 보안 인증을 받을 경우 다음과 같이 안내 창의 내용이 변경되며, 읽기 전용 모드 역시 해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안 인증 후에야 테스트를 위해 외장 하드에 넣어 두었던 파일이 확인되네요..

위 내용처럼 기본 설정 이외 제품 사용 전 보안 인식 기능에 대해 궁금했던 보안 기능 몇 가지에 대해 테스트를 해보았으며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네요.

Q1. T7 터치가 연결(보안인증) 된 상태에서 재부팅 할 경우?

A1. 재부팅 이후 별도 추가 인증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단, 삼성 포터블 SSD SW 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Q2. T7 터치가 연결(보안인증) 된 상태에서 시스템 종료 후 다음날 부팅 할 경우?

A2. 이것 또한 삼성 포터블 SSD SW 가 설치되어 있으면 별도 인증 없이 재부팅 이후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

-> 어떤 조건인지 모르겠지만 상황에 따라 재부팅 후 인증을 요청 할때도 있네요.. (2020.02.18 업데이트)

Q3. T7 터치가 연결(보안인증) 된 상태에서 시스템 종료 후 분리 후 다른 디바이스 연결 없이 재연결 한 경우?

A3. PC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연결이 해제되면 부팅 후 다시 인증을 해야 합니다.

Q4. 삼성 포터블 SSD S/W 가 설치 안된 PC에 외장하드를 연결할 경우?

A4. 지문 인식 또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안내 창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문인식을 통해 보안 인증을 할 경우 외장하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Q5. 삼성 포터블 SSD S/W 가 설치 안된 PC에 연결(보안인증) 후 재부팅을 할 경우?

A5. 부팅 이후 다시 한번 지문인식을 통해 보안 설정을 풀어야 합니다.

위 내용은 제 경험을 통해 작성한 내용으로 사용자 환경마다 차이가 있어 정확한 결괏값은 아닐 수 있습니다.

(그냥 참고만 해주세요.) 확실한 건 T7 터치 외장하드를 자주 연결하는 PC는 삼성 포터블 SSD SW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훨씬 편할 듯하네요.

끝으로..

"삼성 Portable SSD T5" 제품 대비 빨리진 전송 속도와 지문인식을 통해 데이터의 보안 기능이 강화된 좋은 제품인 건 맞지만 주변에 누가 구매한다면 아직은 추천하고 싶지 않네요. 그 이유는 다음 과 같습니다.

첫째, 안정화되지 않은 가격

- 초기 생산단계라 그런가 가격 변동이 너무 심하네요. 제가 구매한 500GB 제품은 175,000원에 구매했는데 2일 뒤에 확인하니 166,600원 이 되어 있네요.. 쩝..

둘째, 아직은 비싼 가격 대

-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보안 기능이 추가된 건 알겠지만 T5 외장 하드나 다른 제조사 모델보다는 가격이 확실히 비싼 편입니다. T7 터치 500GB = T5 1TB 정도 하네요..

셋째, 주변 기기와 호환성

- T7 터치 외장 하드가 10G에 가까운 속도를 지원해도 주변기기가(PC, 노트북 이외 콘솔 게임기나 TV 등) 그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기에 아직은 구매하기가 좀 이른 감이 있긴 하네요.. 특히 저같이 USB 포트를 착각해서 구매하는 경우가 없기를 바랍니다. ㅠ_ㅠ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