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마이너스케일 - piano maineoseukeil

마이너 스케일 (Minor Scale)

마이너 스케일은 장음계인 메이저 스케일에 비해 슬프고 우울한 느낌을 주는 단음계입니다.

마이너 스케일에는 자연단음계((natural minor scale), 화성단음계 (harmonic minor scale), 가락단음계 (melodic minor scale) 등이 있습니다.

자연단음계의 규칙은 2~3음과 5~6음이 반음이고 다른 음은 온음 간격입니다.

A natural minor scale은 라-시-도-레-미-파-솔-라

메이저 스케일에서 단3도 내려오면 마이너 스케일이 됩니다.

화성단음계 (harmonic minor scale)은 자연단음계 구성음에서 7음을 반음 올린 것입니다.

A natural minor scale은 라-시-도-레-미-파-솔-라

A harmonic minor scale은 라-시-도-레-미-파-솔#-라

가락단음계 (melodic minor scale)은 화성단음계의 6음을 반음 올린 것입니다.

A natural minor scale은 라-시-도-레-미-파-솔-라

A harmonic minor scale은 라-시-도-레-미-파-솔#-라

A melodic minor scale은 라-시-도-레-미-파#-솔#-라

한나의 피아노동산

마이너스케일 12키 (minor scale 12key) - 한나의 음악노트 음계편 - 2

마이너스케일 12키 (minor scale 12key) - 한나의 음악노트 음계편 - 2

오랜만에 음계편 - 2 포스팅을 올렸네요 :) ​ 

음계편 - 1 보고 오신 분들은, 이제 메이저스케일 습득하셨나요~ ?

이번 음계편 - 2 에서는 마이너스케일과 마이너스케일 3가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 메이저스케일 12키 새댁의 음악노트 음계편 - 1 > 

//blog.naver.com/sjiylove/220815350525

먼저, 저번시간에 major scale (메이저스케일) 공부하면서   

이오니안 스케일 혹은 다이아토닉 스케일과 같은 명칭으로 이해하셔도 된다고 말씀 드렸는데요!

다이아토닉 스케일은 마이나스케일도 포함하고 있답니다.

즉, 메이저스케일 = 이오니안스케일 

다이아토닉스케일 = 메이저스케일 & 마이너스케일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마이나스케일 minor scale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major 장화음은 밝은 느낌을 가지고 있고 / minor 단화음은 어두운 느낌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구분하자면 위와같이 말할 수 있지만, 곡에서 적절하게 사용되면 꼭 minor 라고 

우울한 느낌만을 주는 것은 아니라는 걸 연주하시면서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major 메이져와 비교해서 minor 마이너 공부를 하시면

코드나 스케일을 연습할 때 먼가 어둡다는 기분이 드실 수 있는데,

그 어두운 느낌과 minor scale 세가지의 차이를 귀로 잘 느껴주셔야 

나중에 연주하실 때 더 도움이 되실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음악이론을 머리로 잘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과 함께 귀로 느끼는 것도 중요하단 거 기억해주세요.  

마이너스케일 minor scale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가 있습니다.

자연단음계 natural minor scale 

화성단음계 harmonic minor scale

가락단음계 melodic minor scale 

위의 세가지 단음계는 비슷하면서도 차이가 있는데 

major scale 과 비교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확인하실 수 있는 건 , 위의 4개의 음계의 1음 2음 4음 5음이 같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이너 스케일 3개의 1~4음이 같다는 것입니다. 

장음계에서는 3음이 미(E)였다면, 3개의 단음계에선 모두 미b(Eb)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장음계와 가락 단음계의 5~7(솔라시) 음이 같습니다.

연이어 확인하실 수 있는 건, 자연단음계와 화성단음계의 6음이 라b(Ab) 인 것입니다.

그리고 헷갈리지 마셔야 할 부분!

자연단음계의 7번째음은 시b(Bb)이지만, 화성단음계는 시(B)라는 것입니다.

결국 화성단음계의 7번째 음은 장음계와 가락단음계와 같다는 것이구요.   

여기까지 이해되셨나요?

많이 헷갈리시나요~ 

도저히 모르겠다.. 하시는 분은 "하농을 펴시고 39번을 연습" 해보시면서

이해하시고 습득해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처음 접하시는 분들중 지금은 이해했다고 생각하셔도

다음에 다시보시면 또 헷갈리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래서 충분히 이해가 되셨다고 해도, 그냥 넘어가시지 않고  

단음계 3가지 종류를 각 12키로 하나하나 적으시고

계속 치면서 숙달시키시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물론, 당장 외운다고 곡에 바로 예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씩 하나씩 쌓이다보면 조금씩 나아지리라 생각해봅니다.  ^^

제가 여기서 잠깐 나란한 조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나란한 조를 미리 다뤄야 단음계에 대해서 더 이해될 것 같아서 적어봅니다. 

나란한 조 - 조표가 같은 메이저 조성과 마이너 조성. 

예를 들면 , C major(다장조)는 조표 (플랫이나 샵이 높은음 자리표 옆에 붙는 것)가 붙지 않습니다. 

그런데 a minor (가단조) 또한 조표가 붙지 않습니다. 임시표(조표가 아닌, 곡 중간에 샾이나 플랫이 붙는 것) 가 붙을 뿐 입니다. 

즉, 다장조와 가단조 - C Major와 a minor는 나란한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로 나란한 조 세 개만 적어보겠습니다.

C - am / 도미솔 - 라도미 

  F - dm / 파라도 - 레파라   

Bb - gm / 시b레파 - 솔시b레

맨 위의 CM 코드는 '도미솔'로 구성되어있고, am 코드는 '라도미'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보이시나요?

'도' 와 '미'가 중복된 음이라는 것이요. 

이처럼 나란한 조의 조표가 같다는 것은 결국 '겹치는 구성음이 많은것이다' 라고 이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나란한 조 구하는 방법은, 장화음 스케일에서 6음위의 음을 단화음으로 만들면 됩니다.

다장조 - 도레미파솔라시 중 6음인 '라'음으로 단화음을 만들면 가단조(am)가 되기 때문에 

다장조와 가단조는 나란한조가 됩니다. 

아까는 예시 악보에서 같은으뜸음조인 C 메이져음계와 c 마이너음계 3개를 비교해보았다면,

지금은 나란한조인 C 메이져음계와 a 마이너음계 3개를 비교해보겠습니다.

다장조음계와 가단조 자연단음계는 음계 구성음이 같습니다.

조표와 임시표가 모두 붙지 않죠! 

이름처럼, 나란한 조인 다장조 음계와 자연적(natural)으로 음이 같다고 이해하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이어서 보실 화성단음계와 가락단음계는 조표는 없지만 임시표가 붙어있죠!

조표가 같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다장조와는 나란한 조 이지만, 음계에 차이가 조금 있습니다.

화성단음계는 1~6음 까지는 자연단음계와 구성음이 같지만 7음은 반음이 더 올라간 솔#입니다.

가락단음계는 6음 파#을 제외하곤 화성단음계와 구성음이 같습니다.    

지금까지 나란한조를 포함해서 단음계 minor scale의 3가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연단음계 / 화성단음계 / 가락단음계

위의 음계에 대해서 한번에 이해가 되지 않더라도, 계속 읽고 치시면서 공부하시면

어느샌가 단음계를 자유로이 연주하실 수 있으실거라고 응원합니다!

장음계 편에서 처럼

12키로 연습하시는거 꼭꼭 기억하시구요^^

★ 참고하세요!

장음계 : 3-4 / 7-8음 반음

자연단음계 : 2-3 / 5-6음 반음 

화성단음계 : 2-3 / 5-6 / 7-8음 반음 + 6-7 증2도

가락단음계 : 2-3 / 7-8음 반음 

으아,길어졌네요~ 다음편에서는 다이아토닉 코드- 3화음코드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나의 음악노트 음계편 - 2 였습니다 ♬  

 

//blog.naver.com/sjiylove/222577416541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